신문이나 잡지에 소설을 연재하면서 ‘대중소설가’임을 자처했던 김말봉의 『꽃과 뱀』은 남녀의 애정문제를 소재로 종교적인 색채와 판타지적 요소를 함께 보여주는 소설이다. 지금까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22224
2013
-
김말봉 ; 대중소설 ; 통속성 ; 꽃과 뱀 ; 양면성 ; Kim Mal-bong ; popular novel ; popular vein ; Flower and Snake ; Ambilaterality Expressed
3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95-111(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신문이나 잡지에 소설을 연재하면서 ‘대중소설가’임을 자처했던 김말봉의 『꽃과 뱀』은 남녀의 애정문제를 소재로 종교적인 색채와 판타지적 요소를 함께 보여주는 소설이다. 지금까지...
신문이나 잡지에 소설을 연재하면서 ‘대중소설가’임을 자처했던 김말봉의 『꽃과 뱀』은 남녀의 애정문제를 소재로 종교적인 색채와 판타지적 요소를 함께 보여주는 소설이다. 지금까지 김말봉 문학연구는 『찔레꽃』에 집중되어 있었고, 통속성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문학연구 범위의 확대와 다양화를 위해 『꽃과 뱀』을 텍스트로 하였다. 특히 본고는 대중소설과 본격소설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 그의 소설이 가지고 있는 양면성에 집중해서 고찰하였다. 김말봉은 이 소설에서 대중성과 예술성, 욕망의 세계와 종교의 세계, 현실과 판타지 등의 양면성을 그려내고, 독자의 흥미와 정서에 부합하는 이야기와 구성으로 인기 소설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ower and Snake』 of Kim Mal-bong, who posed as ‘a public novelist’ while publishing novels in installments in a newspaper or a magazine, is a novel that shows both a religious tinge and a fantasy element with a material of man and woman’s ...
『Flower and Snake』 of Kim Mal-bong, who posed as ‘a public novelist’ while publishing novels in installments in a newspaper or a magazine, is a novel that shows both a religious tinge and a fantasy element with a material of man and woman’s love. So far, studies of Kim Mal-bong’s literature have been made with a focus on 『Wild Rose』 and they couldn’t get out of a popular vein. Therefore, 『Flower and Snake』 was selected to expand and diversify the scope of the literature studies. Especially, this dissertation was studied with a focus on ambilaterality expressed in his novel, getting out of dichotomical thought as a popular novel and a serious novel. Kim Mal-bong described the ambilaterality in this novel: popularity and artistry, a world of desire and a world of religion, reality and fantasy, and so on. Moreover, he was showed as a popular novelist by constructing the story consistent with reader’s interest and emo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명희, "현대소설의 이론과 분석" 푸른사상사 2006
2 정영자, "한국현대여성문학론" 도서출판지평 1988
3 신동욱, "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3
4 정혜경,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의 변모과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5 신동욱, "여성의 운명과 순결미의 인식, In 김말봉의 문학과 사회" 종로서적 57-58, 1986
6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92
7 서정자, "삶의 비극적 인식과 행동형 인물의 창조-김말봉의 [밀림]과 [찔레꽃]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8) : 190-230, 2002
8 이정옥, "대중소설의 시학적 연구 : 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9 말봉, "꽃과 뱀, In 바람의 향연" 청산문화사 1976
10 김미영, "김말봉의《密林》과《찔레꽃》의 독자수용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한국어문학회 (107) : 219-243, 2010
1 송명희, "현대소설의 이론과 분석" 푸른사상사 2006
2 정영자, "한국현대여성문학론" 도서출판지평 1988
3 신동욱, "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3
4 정혜경,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의 변모과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5 신동욱, "여성의 운명과 순결미의 인식, In 김말봉의 문학과 사회" 종로서적 57-58, 1986
6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992
7 서정자, "삶의 비극적 인식과 행동형 인물의 창조-김말봉의 [밀림]과 [찔레꽃]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8) : 190-230, 2002
8 이정옥, "대중소설의 시학적 연구 : 1930년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9 말봉, "꽃과 뱀, In 바람의 향연" 청산문화사 1976
10 김미영, "김말봉의《密林》과《찔레꽃》의 독자수용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고찰" 한국어문학회 (107) : 219-243, 2010
11 서정자, "김말봉의 현실인식과 그 소설화" 한국문명학회 4 (4): 31-43, 2003
12 이정숙, "김말봉의 통속소설과 휴머니즘" 한국언어문화학회 13 : 558-565, 1995
13 정희진, "김말봉의 『찔레꽃』 연구 : 서사기법과 독자 흥미유발 요소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0
14 박종홍, "김말봉 ?밀림?의 통속성 고찰" 한국어문학회 76 : 341-362, 2002
15 오혜진, "근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장르믹스의 변모양상 - 염상섭의 「사랑과 죄」와 김말봉의 「찔레꽃」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7) : 209-238, 2009
16 최미진, "광복 후 공창폐지운동과 김말봉 소설의 대중성" 한국현대소설학회 (32) : 97-120, 200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9-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1 | 0.555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