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태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남자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연구 대상을 유행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태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남자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연구 대상을 유행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태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남자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연구 대상을 유행 선도자, 유행 추종자, 유행 지체자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집단에 따른 인구 통계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이 사용되었다. 향수에 대한 구매 행동을 분류하며, 국산 향수와 외제 향수에 대한 평가를 밝히고, 향수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기술 통계량 분석, 교차분석, ANOVA 분석, x2-검증,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수입이 많을수록, 특히 자신의 월 용돈 액수가 높을수록 유행 선도력이 높았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사용량에 있어서 유행 선 도력이 높을수록 하루에도 여러 차례 향수를 뿌리는 비율과 매일 사용하는 비율이 많았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구매량에서는 유행 선도집단의 경우 최근 외제 향수 구매량이 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며, 선물량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소장하고 있는 향수의총 개수에 있어서 유행 선도자 집단은 유행 지체자 집단에 비해 많은 향수를 보유하고 있었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 선택 기준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향기를 가장 중요한 기준변인으로 이용하였다. 유행 선도력의 정도에 따른 국산 향수의 평가에 있어서는 집단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유행 선도력에 따른 외제 향수의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은 외제 향수에서 평가 값이 가장 높았다. 향수의 용기 및 상표의 이미지만족도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판촉 활동에 있어서는 유행 선도자 그룹에서 광고와 홍보가 향수의 이미지와 일치한다고 하였으며, 향수의 가치 평가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자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외제 향수의 소장가치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향수로 취향을 표현하는 정도에 더 긍정적 평가를 내렸고, 기분 전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가되었다. 유행 선도력에 따른 향수에 대한 다양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유행 선도력과 정적인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향수로 인해 즐거움을 얻고, 자신감을 얻으며, 만족감을 느끼고, 기분전환이 되며, 자신감이 상승하고, 분위기 전환에 도움이 되며, 감각을 자랑하고, 남성미를 표현하는 내적 쾌락 추구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은 향수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자신과 향수의 어울림을 더 많이 고려하였으며, 신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고, 향수의 유행에 흥미가 더 많으며, 정보 탐색에 노력을 더 기울이고, 제품의 평가에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ttitude toward perfume by fashion leadership in male university student. To achieve this goal of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male university student. 334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ubject wer...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ttitude toward perfume by fashion leadership in male university student. To achieve this goal of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male university student. 334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ubject were classified three group by the degree of fashion leadership. Group 1 as fashion leaders, group 2 as fashion followers and group 3 as fashion laggard. Cross tabulations was done to fi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the survey wa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 perfume purchase behavior, attitude toward perfume and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domestic 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It was the frequency analysis, Percent, Cross-tabs, ANOVA, -test and duncan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show that grade, monthly gross income and monthly allowance has similar differences to the degree of fashion leadership. Also,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In case of fashion leaders, the frequency of perfume usage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is result have the same force in the purchasing quantity. And, fashion leaders have got a large amount of perfume products. In perfume purchase, most important factors was fragrances. Most important factors are the same in al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consumers` evaluation of domestic perfume products between the groups on fashion leadership. On the other hand, imported perfume produc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The result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regarding the participant`s fashion leadership showed highest scores in fashion leaders group. The group who high scored in imported perfume products was fashion leaders group. Fashion leaders group were satisfied with the fragrance, bottle, trademark image, promotion activity, possession value, preference and refresh oneself.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s in perfume attitude among groups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it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the pursuit of pleasure, brand directional characteristics, the pursuit of attraction, in harmony with image and the interest. The higher fashion leadership, the much positive consumers` attitude of the perfume products. It showed that as for the seven variables, fashion leaders group has more perfume interest than other groups, and that fashion laggard group has the lowest perfume interest.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길, "향료와 향수" 신광출판사 2007
2 여은아, "향기 감성 요인이 향수 제품의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령과 구매 수준 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 29 (29): 772-782, 2005
3 매일경제, "패션하우스와 향수의 상관관계, 패션의 영역은 무한대… 향수 시장의 80% 명품 패션 하우스 점령"
4 이주영, "의복 및 화장유행선도력, 정보원과 지속적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157-169, 2013
5 최윤영,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류은정, "유행선도력에 따른 향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38 (38): 2000
7 김정희, "유행선도력에 따른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8 이화연, "유행선도력에 관한 연구 Ⅱ -유행선도력에 따른 집단들의 특성-" 13 (13): 1989
9 신현경, "유행선도력과 패션제품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활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10 이연희, "유행선도력과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의 상관 연구 : 이화여대생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1 한상길, "향료와 향수" 신광출판사 2007
2 여은아, "향기 감성 요인이 향수 제품의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령과 구매 수준 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의류학회 29 (29): 772-782, 2005
3 매일경제, "패션하우스와 향수의 상관관계, 패션의 영역은 무한대… 향수 시장의 80% 명품 패션 하우스 점령"
4 이주영, "의복 및 화장유행선도력, 정보원과 지속적 정보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157-169, 2013
5 최윤영,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류은정, "유행선도력에 따른 향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38 (38): 2000
7 김정희, "유행선도력에 따른 의복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8
8 이화연, "유행선도력에 관한 연구 Ⅱ -유행선도력에 따른 집단들의 특성-" 13 (13): 1989
9 신현경, "유행선도력과 패션제품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활동"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10 이연희, "유행선도력과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의 상관 연구 : 이화여대생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11 최수경, "여성소비자의 선호의복이미지가 선호향수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73-480, 2012
12 고애란, "성인남성의 성적지향에 따른 의복행동과 심리적 특성의 관련연구" 22 (22): 1998
13 김용숙, "남성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향수 구매 및 사용행동"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33-944, 2009
14 한국경제, "[화장하는 남자] 은은하게 때론 강렬하게…그 남자의 향수"
15 Craik Jennifer, "The Face of Fashion-Cultural Studies in Fashion" Routledge 1994
16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1995
17 Rogers, E. M., "Communicat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197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