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토지의 면적 증감이 발생한 경우에 ⅰ) 인접하는 토지소유자 사이에 물권변동이 발생하는지 ⅱ) 면적이 증감된 토지소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71488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1-95(1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토지의 면적 증감이 발생한 경우에 ⅰ) 인접하는 토지소유자 사이에 물권변동이 발생하는지 ⅱ) 면적이 증감된 토지소유...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토지의 면적 증감이 발생한 경우에 ⅰ) 인접하는 토지소유자 사이에 물권변동이 발생하는지 ⅱ) 면적이 증감된 토지소유자에게 지급하거나 징수할 조정금의 법적 성격이 무엇인지 ⅲ) 토지면적의 증감이 기존 토지위에 설정되어 있는 저당권자, 지상권자, 임차인 등의 권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 토지소유권을 중심으로 한 사법적 쟁점이 해명되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사법적 쟁점을 해결하고 이를 통해 새로이 야기될 수 있는 토지소유권의 범위를 둘러싼 법적 분쟁 해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there are legal issues which are not settled including ⅰ) Change in a real right between owners of the adjacent land, ⅱ) legal characterics of the compensation which will increase or decrease in relati...
In a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there are legal issues which are not settled including ⅰ) Change in a real right between owners of the adjacent land, ⅱ) legal characterics of the compensation which will increase or decrease in relation to the size of land area, ⅲ) change of lease and mortage in relation to the size of land area.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bove legal issues and contribute to settlement of legal disputes between owners of the adjacent la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석, "지적재조사특별법시행에 따른 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427) : 2012
2 류병찬, "지적재조사특별법(안)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40 (40): 217-239, 2010
3 이정빈, "지적재조사사업에 따른 일필지 등록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42 (42): 165-184, 2012
4 김진, "지적재조사사업 시 토지에 담보물권을 가진 자의 법률관계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42 (42): 59-78, 2012
5 김준현, "지적재조사를 위한 면적증감 필지의 비용조정 모형개발" 한국지적학회 26 (26): 25-43, 2010
6 지종덕, "지적의 이해" 기문당 2001
7 국토해양부, "지적선진화추진계획" 2011
8 대한지적공사, "지적선진화(재조사)사업"
9 신국미, "지적불부합지의 법적 쟁점: 경계확정에 수반되는 제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16 (16): 81-93, 2014
10 신국미, "부동산 부합의 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법학회지 (17) : 113-139, 2010
1 장경석, "지적재조사특별법시행에 따른 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427) : 2012
2 류병찬, "지적재조사특별법(안)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40 (40): 217-239, 2010
3 이정빈, "지적재조사사업에 따른 일필지 등록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42 (42): 165-184, 2012
4 김진, "지적재조사사업 시 토지에 담보물권을 가진 자의 법률관계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42 (42): 59-78, 2012
5 김준현, "지적재조사를 위한 면적증감 필지의 비용조정 모형개발" 한국지적학회 26 (26): 25-43, 2010
6 지종덕, "지적의 이해" 기문당 2001
7 국토해양부, "지적선진화추진계획" 2011
8 대한지적공사, "지적선진화(재조사)사업"
9 신국미, "지적불부합지의 법적 쟁점: 경계확정에 수반되는 제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16 (16): 81-93, 2014
10 신국미, "부동산 부합의 법리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법학회지 (17) : 113-139, 2010
11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15
12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2001
13 김병두,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에 관한 일고찰 - 경계확정에 수반되는 제문제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3 (13): 435-468, 2012
14 이준현, "2012년 지적재조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민사법적 함의" 2 (2): 3-29, 2013
A Discourse on the Paradigm Shift of National Risk Management in Risk Socie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9-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4 | 0.635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