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경관은 지형, 생태, 심미적 가치가 복합된 주요 자연환경요소 중 하나로, 최근 산림경관의 다원적 가치를 고려한 경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시각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71484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1-35(1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산림경관은 지형, 생태, 심미적 가치가 복합된 주요 자연환경요소 중 하나로, 최근 산림경관의 다원적 가치를 고려한 경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시각 중...
산림경관은 지형, 생태, 심미적 가치가 복합된 주요 자연환경요소 중 하나로, 최근 산림경관의 다원적 가치를 고려한 경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시각 중심의 산림경관평가에서 벗어나 산림경관의 심미성뿐만 아니라 식생을 위주로 한 생태성과 사운드스케이프를 고려한 산림경관평가기법(Integrated Forest Landscape Assessment:IFLA)을 제시하고 강원도 점봉산을 대상으로 평가기법을 적용하였다. 식생다양성과 시각적 민감도 평가 결과를 중첩하여 종합적 산림경관 등급을 총 4개로 구분하였다. 1등급 지역은 식생 등급이 우수하여 경관관리요구가 높고 4등급 지역은 비교적 시각적 민감도가 낮은 지역으로 개발사업으로 인해 산림경관이 훼손된 지역이고 경관의 복원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산지의 고도에 따른 지형유형(산정형, 산록형, 계곡형), 중첩등급결과,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의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을 고려한 산림경관 평가기법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ests are considered the nature ecosystem to require landscape management as important preferred landscape. The research suggested that the forest landscape assessment method to integrated soundscape diversity and ecological properties with the trad...
Forests are considered the nature ecosystem to require landscape management as important preferred landscape. The research suggested that the forest landscape assessment method to integrated soundscape diversity and ecological properties with the traditional landscape assessment based solely on a visual aspect. We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ivity by applying the new assessment tool to the forest landscapes in Mt. Jumbong in Gangwon-do. The Integrated Forest Landscape Assessment (IFLA) was drawn by overlaying the results of visual sensitivity with the ones of vegetation diversity, classifying the forest landscape to four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accounts for the forest landscapes with the highest visually sensitive and ecologically sound area, and thus requires the greatest landscap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the Forth category includes the forest landscapes with ecological degradation by land development to some degree and visually less influenced area which rather requires landscape restoration. This stud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classification by IFLA and soundscape d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ree landscape types(ridges, hillsides, and valley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훈희, "하천변 산림경관벨트 산림경관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경북 상주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7-29, 2013
2 유승화,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247-256, 2012
3 이관규, "시각적 질 평가에 의한 산림경관 관리구역 구획방법" 한국임학회 101 (101): 148-157, 2012
4 장래익,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한국조경학회 37 (37): 22-31, 2009
5 산림청, "산림현장유형별 경관디자인 기술개발 연구" 5-9, 2012
6 박인환, "산림식생유형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43-52, 2012
7 이관규, "산림경관의 시각적 관리등급 설정기법 현장적용 연구 - 하이원 리조트 일대의 산림경관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2 (22): 65-78, 2013
8 강미희,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 99 (99): 777-784, 2010
9 한명호, "사운드 스케이프" 세계의 조율 24-26, 2008
10 환경부, "백두대간 보호지역 생태계 조사" 2010
1 김훈희, "하천변 산림경관벨트 산림경관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경북 상주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7-29, 2013
2 유승화,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247-256, 2012
3 이관규, "시각적 질 평가에 의한 산림경관 관리구역 구획방법" 한국임학회 101 (101): 148-157, 2012
4 장래익,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한국조경학회 37 (37): 22-31, 2009
5 산림청, "산림현장유형별 경관디자인 기술개발 연구" 5-9, 2012
6 박인환, "산림식생유형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43-52, 2012
7 이관규, "산림경관의 시각적 관리등급 설정기법 현장적용 연구 - 하이원 리조트 일대의 산림경관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2 (22): 65-78, 2013
8 강미희,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 99 (99): 777-784, 2010
9 한명호, "사운드 스케이프" 세계의 조율 24-26, 2008
10 환경부, "백두대간 보호지역 생태계 조사" 2010
11 오정학, "도시숲 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모형 개발"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178-185, 2010
12 유재평, "덕유산국립공원의 산림환경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5 (25): 132-144, 2011
13 김한수, "경관지수를 활용한 농촌마을 유형분류: 경관생태학적 접근" 한국농촌계획학회 17 (17): 1-13, 2011
14 정성관, "경관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계열적 패턴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8 (8): 145-156, 2005
15 임승빈, "경관분석론(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부 307-, 2009
16 British Columbia Canada, "Visual Impact of Partial Cutting" 1997
17 Prato, T., "Sustaining Rocky Mountain Landscapes: Science, Policy and Management for the Crown of the Continent Ecosystem" Routledge 2007
18 Ross, E. L. D., "Sightseeing tourrist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18 : 226-237, 1991
19 British Columbia Canada, "Recreation Manual-Forest Landscape Management" 2008
20 Boutin, S., "Landscape ecology and forest management: developing an effective partnership" 12 (12): 390-397, 2002
21 Kuersten, E., "Landscape Ecology of Urban Forest Corridors" 6 (6): 242-244, 1993
22 Lundquist, J. E., "Integrating concepts of landscape ecology with the molecular biology of forest pathogens" 150 (150): 213-222, 2001
23 박경훈, "GIS 및 RS 기법을 활용한 낙동강 유역의 통합환경평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3
24 British Columbia Canada, "Forest Landscape Handbook" 1981
25 British Columbia Canada, "Clearcutting and Visual Quality: A Public Perception Study" 1996
26 Gobster, P. H., "An Ecological Aesthetic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18 (18): 54-64, 1999
27 Poiani, K. A., "A GIS-based index for relat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to potential nitrogen leaching to wetlands" 11 (11): 237-255, 1996
A Discourse on the Paradigm Shift of National Risk Management in Risk Socie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9-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4 | 0.635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