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제도사를 주로 취급하고 있는 한국 지적사에 있어서, 양전 시 지적단위(地積單位)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계통적으로 다루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통일신라시대에 시행된 결부제(結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71486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7-61(1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토지 제도사를 주로 취급하고 있는 한국 지적사에 있어서, 양전 시 지적단위(地積單位)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계통적으로 다루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통일신라시대에 시행된 결부제(結負...
토지 제도사를 주로 취급하고 있는 한국 지적사에 있어서, 양전 시 지적단위(地積單位)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계통적으로 다루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통일신라시대에 시행된 결부제(結負制)는 결부속파(結負束把)를 지적단위로 하는 우리나라의 특유의 단위제이다. 구한말 양전 개혁 시 독자적으로 이 제도를 시행하고자 노력했지만 일제의 간섭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경무제(頃畝制)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토지면적 단위에 경(頃)을 사용했다는 사실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널리 나타난다. 일본의 영집해(令集解)에 나타난 고구려의 단보제(段步制)는 1단 250보로, 중국의 240보와는 차이를 갖는 독창적 제도이다. 일제시대에 들어와서 조선토지조사사업을 착수하기 전에는 두락제(斗落制)를, 착수 후에는 정단법(町段法)을 사용하였다. 정단법을 우리가 흔히 평정법(坪町法)이라고도 하는데, 현재도 ‘아파트 크기가 30평’이라고 하는 등 잔재가 남아있다. 1963년에 우리나라의 도량형 단위가 미터법으로 개혁되었지만, 실제로 건물과 토지는 1983년에 마지막으로 미터법이 사용되었으며, 지적단위는 유도단위로 ㎡를 사용하게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port aims to explain when the land surveying unit system enforced first time and what it’s social function in old time dynasty. The enforcement of the land surveying system was made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 in Silla. The Silla managed...
This report aims to explain when the land surveying unit system enforced first time and what it’s social function in old time dynasty. The enforcement of the land surveying system was made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 in Silla. The Silla managed the area of land by the unit of Gyeou-Bu-jae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 on the relations of land ownership. Moreover the use of these were found also in the historical record of Koryo and Yi-dynasty.
At first Goguryeo is likely to use ‘Kyung’ as a unit of area influenced by the China’s Kyung-mu System. It has not been well-known whether Goguryeo’s Kyung-mu was equivalent to the China’s, which had the same area and contents. Goguryeo’s Tanbo system is likely to be enforced at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The carved stone(sokgak), found in Nongori Mountain Castle that was built under the reign of King Yang-Won(AD 555) in Taechun-gun, Pyunganbuk-do, is a significant landmark by which the Tanbo system had been instituted.
The land-size measurement system, which was heavily related to the general measurement system, also went through some series of similar modifications. During the early days when the Chinese Han-cheok system was still being prominently used, the Goguryeo government must have adopted the Kyung-Mu-jae policy han dynasty, in measuring the size of the lands. but in subsequent periods, when the Goguryeo government established the Goguryeo-cheok and developed a new measurement system, the governments also developed s new and independent way of measuring the size of lands, which was referred to as the Dan-Bo-jae system.
Considering improvement of the Yangjun system was deeply relevant to enforcement. The Tanbo system could come a long way. In Silla, the Yangjun system was first established under King Beopheung’s reign. The Kyolbu system was instituted after Dang’s systems and Chuck were introduced to Silla. Thus the Tanbo system was settled down at the reign of King Sosurim(AD 373), when the las system was enforced and the Koguryeo chuck was rearranged.
Yangjun system changed to Jung-dan law through Durak syste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1910~1945). After the Liberation Day in 1945, Jungdan law had been used. Since 1964 Metric system introduced to transaction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and Metric system extended to buildings and land in 1983.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흥수, "한중도량형제도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2 배영순, "한말 일제 초기의 토지조사와 지세개정"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2
3 리진호, "한국지적사" 바른길 1999
4 서철수, "한국의 지적사" 기문당 2001
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1997
6 이종봉, "한국 중세 도량형제 연구" 혜안출판사 1993
7 전영길, "토지조사사업의 목적인식에 대한 비교연구" 13-25, 2008
8 김추윤, "측량사" 바른길 2009
9 류병찬, "최신지적사" 건웅출판사 2012
10 대한지적공사, "지적문화유산" 2005
1 박흥수, "한중도량형제도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2 배영순, "한말 일제 초기의 토지조사와 지세개정"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2
3 리진호, "한국지적사" 바른길 1999
4 서철수, "한국의 지적사" 기문당 2001
5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도량형" 1997
6 이종봉, "한국 중세 도량형제 연구" 혜안출판사 1993
7 전영길, "토지조사사업의 목적인식에 대한 비교연구" 13-25, 2008
8 김추윤, "측량사" 바른길 2009
9 류병찬, "최신지적사" 건웅출판사 2012
10 대한지적공사, "지적문화유산" 2005
11 박상표, "조선의 과학기술" 현암사 2008
12 이동현, "조선시대의 토지개혁사상; 균전제와 여전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 (4) : 2002
13 남영우, "일제의 한반도 측량 침략사" 법문사 2011
14 손세원, "양안과 토지대장의 비교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 : 1999
15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 도량형" 2003
16 단국대학교 출판부, "도량형 600선" 2011
17 김양식, "근대권력과 토지" 해남출판사 2000
18 권영국, "譯註 高麗士 食貨志" 韓國情神文化硏究院 1996
19 법제처, "續大典" 1965
20 令集解, "日本 律令集"
21 윤국일, "新編 經國大典" 신서원 2005
22 一然, "三國遺事"
23 金富軾, "三國史記"
A Discourse on the Paradigm Shift of National Risk Management in Risk Society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9-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4 | 0.635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