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Future goals of women's colleges in Korea  :  An empirical approach = 韓國 女性高等敎育의 機能 變化 - 男女間의 敎育機會均等 問題를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95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筆者의 原論文은 韓國女性高等敎育에 關하여 變遷하는 社會, 經濟, 政治適 機能과 더불어 女性高等敎育機關 자체가 將次 어떤 役割을 해야 할 것인가를 考察 한 것이다. 즉 이 論文은 두 가지 一般的 質問을 設定하였다.
      (1) 韓國의 女性高等敎育의 國家的 目的이 時代를 通하여 어떻게 變遷하였는가?
      (2) 韓國의 女性高登敎育이 將次 어떤 防向으로 變해 갈 것으로 보여지는가?
      第一質問에 대한 硏究方法으로서는 美國과 漢國에서 찾아 볼 수 있는 文獻을 통하여 記述的 文獻硏究를 土臺로 하였고, 第二質問에 대해서는 韓國의 女性高等敎育을 四年制大學 및 大學校에 局限시킴으로써 女子大學敎育機關 자체의 敎育目的을 質問紙法을 利用하여 訓練된 面接者를 動員하여 究明하기로 하였다.
      標集에는 310名의 女大生, 100名의 敎授기 相對되었고 150名의 社會人士도 포함되었다. 學生과 敎授는 2개 女子綜合大學校와 11개 女子單科大鶴 중에서 random sampling方法으로 추출되었고 社會人社는 韓國內의 對企業體와 社會機關內에 봉사하는 指導層人士를 같은 random sampling 方法으로 選出하였다.
      여기 論叢에 發表되는 部紛은 主로 第二質問에 해당하는 것이며 왜 이와 같은 質問이 硏究課題로 登場되었으며 또한 어떤 附隨的 質問들이 뒤따르게 되었는가 若干의 紹介가 必要할 것 같아 몇 마디 附言하기로 한다.
      돌이켜 보건대 韓國에서 최초로 女子高等敎育機關이 設立된 것은 우리나라 歷史家들이 말하듯 開化期(1880-1910) 의 일이었다. 또한 1945年 以前까지만 해도 一般女性敎育의 目的과 女性考等敎育의 目的은 女性의 自由와 社會的 地位向上 그리고 女性指導者 養成에 있었다.
      그러나 1945年 以後 特히 韓國이 日本으로부터 政治的 獨立을 한 後 韓國 女子對學 交育의 目適은 茶樣化 하였다. 다시 말해서 우리나라 女子大學(女性高等敎育)의 目的은 變遷하는 韓國社會와 經濟發展에 順應하여 是正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1945年 以前에 韓國 내에 存在한 女性考等敎育機關의 數는 不過 셋이었으나 1971年 現在는 그 數는 43으로 增加하였다(1,400 퍼어센트 증가). 學生數로 말하면 1939年 當時의 1,131名으로부터 1971年 현재 51,289名으로 增加하였다(4,535퍼어센트 증가). 女性高等敎育機關과 女學生數가 이렇게 增加함에 따라 이것과 더불어 여러 가지 부수적인 問題가 發生한다. 그 중의 하나는 女性의 社會的 位置의 問題요 女性에 대한 差別問題이다. 비록 表面的으로는 한국여성에게 "向上"이 있었다고 하나 女大生의 數는 男大牲에 比해 아직도 1/3 밖에 해당하지 않는다. 職業上에 나타난 女大生의 경우도 허다한 差別現象이 나타나고 있다. 職業戰線에 나서는 女大卒業生의 數는 같은 자격을 가진 男性에 比해 21 對 79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女大卒業生들이 차지할 수 있는 職業은 男性들에게는 매력이 가장 없다. 反對로 男性들에게 人氣있는 職業은 女性들에게 人氣가 없고 또 감히 차지하지도 못한다. 이러한 社會經濟的 환경 속에서 우리나라 女子大學敎育機關이 가지는 任務는 무엇인가? 女子大學은 그들의 敎育目的으로 과연 男女同等을 그대로 모방하여 복사할 것인가? 變遷하는 社會에서 그렇다면 大學敎育機能은 무엇인가? 하는 質問은 너무나 절실하고 重要하다. 따라서 筆者는 위와 같은 중요한 (적어도 우리 社會와 우리나라 女子大學에 가장 뜻있다고 느껴지는) 敎育目的 20개를 設定하여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20개의 敎育目的은 (1) 현대 각 女子大學(校) 이 追究하고 있다고 믿어지는 "現在目的"과 (2) 장래 각 女子大學이 追究해야 한다고 믿어지는 "將來目的"으로 區分되었다. 따라서 質問應答에서 나타난 應答對象者의 反應은 (1) 어떤 敎育目的이 응당 바람직한 것인가? 그리고 (2) "現在 敎育目的"과 "將來 敎育目的" 사이에 어떤 差異가 있나를 알아보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와 같은 두 目的 사이의 差異에 대한 "意義"(significance)를 측정하기 위하여 t Test 를 使用하였으며 각 敎育目的間의 順位相關度에 대해서는 Spearmandml Rho(ρ)를 使用하였다.
      번역하기

      筆者의 原論文은 韓國女性高等敎育에 關하여 變遷하는 社會, 經濟, 政治適 機能과 더불어 女性高等敎育機關 자체가 將次 어떤 役割을 해야 할 것인가를 考察 한 것이다. 즉 이 論文은 두 ...

      筆者의 原論文은 韓國女性高等敎育에 關하여 變遷하는 社會, 經濟, 政治適 機能과 더불어 女性高等敎育機關 자체가 將次 어떤 役割을 해야 할 것인가를 考察 한 것이다. 즉 이 論文은 두 가지 一般的 質問을 設定하였다.
      (1) 韓國의 女性高等敎育의 國家的 目的이 時代를 通하여 어떻게 變遷하였는가?
      (2) 韓國의 女性高登敎育이 將次 어떤 防向으로 變해 갈 것으로 보여지는가?
      第一質問에 대한 硏究方法으로서는 美國과 漢國에서 찾아 볼 수 있는 文獻을 통하여 記述的 文獻硏究를 土臺로 하였고, 第二質問에 대해서는 韓國의 女性高等敎育을 四年制大學 및 大學校에 局限시킴으로써 女子大學敎育機關 자체의 敎育目的을 質問紙法을 利用하여 訓練된 面接者를 動員하여 究明하기로 하였다.
      標集에는 310名의 女大生, 100名의 敎授기 相對되었고 150名의 社會人士도 포함되었다. 學生과 敎授는 2개 女子綜合大學校와 11개 女子單科大鶴 중에서 random sampling方法으로 추출되었고 社會人社는 韓國內의 對企業體와 社會機關內에 봉사하는 指導層人士를 같은 random sampling 方法으로 選出하였다.
      여기 論叢에 發表되는 部紛은 主로 第二質問에 해당하는 것이며 왜 이와 같은 質問이 硏究課題로 登場되었으며 또한 어떤 附隨的 質問들이 뒤따르게 되었는가 若干의 紹介가 必要할 것 같아 몇 마디 附言하기로 한다.
      돌이켜 보건대 韓國에서 최초로 女子高等敎育機關이 設立된 것은 우리나라 歷史家들이 말하듯 開化期(1880-1910) 의 일이었다. 또한 1945年 以前까지만 해도 一般女性敎育의 目的과 女性考等敎育의 目的은 女性의 自由와 社會的 地位向上 그리고 女性指導者 養成에 있었다.
      그러나 1945年 以後 特히 韓國이 日本으로부터 政治的 獨立을 한 後 韓國 女子對學 交育의 目適은 茶樣化 하였다. 다시 말해서 우리나라 女子大學(女性高等敎育)의 目的은 變遷하는 韓國社會와 經濟發展에 順應하여 是正되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1945年 以前에 韓國 내에 存在한 女性考等敎育機關의 數는 不過 셋이었으나 1971年 現在는 그 數는 43으로 增加하였다(1,400 퍼어센트 증가). 學生數로 말하면 1939年 當時의 1,131名으로부터 1971年 현재 51,289名으로 增加하였다(4,535퍼어센트 증가). 女性高等敎育機關과 女學生數가 이렇게 增加함에 따라 이것과 더불어 여러 가지 부수적인 問題가 發生한다. 그 중의 하나는 女性의 社會的 位置의 問題요 女性에 대한 差別問題이다. 비록 表面的으로는 한국여성에게 "向上"이 있었다고 하나 女大生의 數는 男大牲에 比해 아직도 1/3 밖에 해당하지 않는다. 職業上에 나타난 女大生의 경우도 허다한 差別現象이 나타나고 있다. 職業戰線에 나서는 女大卒業生의 數는 같은 자격을 가진 男性에 比해 21 對 79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女大卒業生들이 차지할 수 있는 職業은 男性들에게는 매력이 가장 없다. 反對로 男性들에게 人氣있는 職業은 女性들에게 人氣가 없고 또 감히 차지하지도 못한다. 이러한 社會經濟的 환경 속에서 우리나라 女子大學敎育機關이 가지는 任務는 무엇인가? 女子大學은 그들의 敎育目的으로 과연 男女同等을 그대로 모방하여 복사할 것인가? 變遷하는 社會에서 그렇다면 大學敎育機能은 무엇인가? 하는 質問은 너무나 절실하고 重要하다. 따라서 筆者는 위와 같은 중요한 (적어도 우리 社會와 우리나라 女子大學에 가장 뜻있다고 느껴지는) 敎育目的 20개를 設定하여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20개의 敎育目的은 (1) 현대 각 女子大學(校) 이 追究하고 있다고 믿어지는 "現在目的"과 (2) 장래 각 女子大學이 追究해야 한다고 믿어지는 "將來目的"으로 區分되었다. 따라서 質問應答에서 나타난 應答對象者의 反應은 (1) 어떤 敎育目的이 응당 바람직한 것인가? 그리고 (2) "現在 敎育目的"과 "將來 敎育目的" 사이에 어떤 差異가 있나를 알아보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와 같은 두 目的 사이의 差異에 대한 "意義"(significance)를 측정하기 위하여 t Test 를 使用하였으며 각 敎育目的間의 順位相關度에 대해서는 Spearmandml Rho(ρ)를 使用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Prologue
      • Ⅰ. Design of the Study
      • Ⅱ. Findings of the Study
      • Ⅲ. The Gap Between Perceived And Preferred Goals
      • Ⅳ. Oth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 Prologue
      • Ⅰ. Design of the Study
      • Ⅱ. Findings of the Study
      • Ⅲ. The Gap Between Perceived And Preferred Goals
      • Ⅳ. Oth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 Bibliography
      • Appendix
      • 국문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