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환경주의와 탈물질주의 = 태안지역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의 가치관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209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카페를 통해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높은 환경의식이 로날드 잉글하트(Ronald Inglehart)가 주장해 온 탈물질주의와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1차 자원봉사자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후속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1)자원봉사자들의 경우, 탈물질주의자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의 비중이 40%에 달했다. 이러한 비중은 연구자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을 뿐만 아니라 전국 표본 조사를 통해 파악된 탈물질주의자의 비중(2005년도의 경우 2%)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 (2)탈물질주의자로 분류된 사람들은 물질주의자 및 혼합형으로 분류된 사람들에 비하여 높은 환경주의와 정치적 참여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체로 잉글하트의 탈물질주의 이론을 지지해준다. (3)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의식에는 직업, 종교, 가치유형, 성별,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태도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등과 같은 국가에서 나타나는 높은 환경주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환경문제로 인한 것이라고 한 잉글하트의 주장과 차이가 보인다. 왜냐하면 본 조사의 연구결과, 주요 환경문제에 대한 태도가 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이 보다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카페를 통해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높은 환경의식이 로날드 잉글하트(Ronald Inglehart)가 주장해 온 탈물질주의와 어떤...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카페를 통해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방제작업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높은 환경의식이 로날드 잉글하트(Ronald Inglehart)가 주장해 온 탈물질주의와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8년 1차 자원봉사자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후속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1)자원봉사자들의 경우, 탈물질주의자로 분류될 수 있는 사람의 비중이 40%에 달했다. 이러한 비중은 연구자들이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높은 수치였을 뿐만 아니라 전국 표본 조사를 통해 파악된 탈물질주의자의 비중(2005년도의 경우 2%)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 (2)탈물질주의자로 분류된 사람들은 물질주의자 및 혼합형으로 분류된 사람들에 비하여 높은 환경주의와 정치적 참여 의식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체로 잉글하트의 탈물질주의 이론을 지지해준다. (3)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의식에는 직업, 종교, 가치유형, 성별,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태도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등과 같은 국가에서 나타나는 높은 환경주의는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환경문제로 인한 것이라고 한 잉글하트의 주장과 차이가 보인다. 왜냐하면 본 조사의 연구결과, 주요 환경문제에 대한 태도가 환경의식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이 보다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aean clean-up volunteer workers’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post-materialist values as proposed by Ronald Inglehart.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E-mail survey, the subjects of which were the clean-up volunteer workers recruited through internet cafe or by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This survey belongs to a follow-up study, for the volunteer workers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once interviewed in 2008 for the similar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proportion of those classified as post-materialists to all respondents amounts to 40%. The figure is far greater than expected and far exceeds the previous measurements (2% as of 2005) provided by national survey researches. Second, those classified as post-materialists came out to have much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ism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materialist and mixed groups. This results strongly support Inglehart’s post-materialism theory. Thir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found to be affected by such factors as job, religion, value orientation, sex, attitudes toward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order named. This finding is not congruent with Inglehart’s argument that the strong environmentalism found in Kore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is not from post-materialist values but mere reflection of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is is because it has been found that although environmental problems induc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affec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ut post-materialist values exert a greater effects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aean clean-up volunteer workers’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post-materialist values as proposed by Ronald Inglehart.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E-mail survey, the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aean clean-up volunteer workers’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post-materialist values as proposed by Ronald Inglehart.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E-mail survey, the subjects of which were the clean-up volunteer workers recruited through internet cafe or by environmental movement organizations. This survey belongs to a follow-up study, for the volunteer workers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once interviewed in 2008 for the similar research purpose.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proportion of those classified as post-materialists to all respondents amounts to 40%. The figure is far greater than expected and far exceeds the previous measurements (2% as of 2005) provided by national survey researches. Second, those classified as post-materialists came out to have much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ism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materialist and mixed groups. This results strongly support Inglehart’s post-materialism theory. Thir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found to be affected by such factors as job, religion, value orientation, sex, attitudes toward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order named. This finding is not congruent with Inglehart’s argument that the strong environmentalism found in Kore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is not from post-materialist values but mere reflection of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is is because it has been found that although environmental problems induc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affec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ut post-materialist values exert a greater effects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연구 문제
      • 2. 탈물질주의와 자원봉사활동
      • 3. 연구방법과 자료
      • 4. 조사 결과 분석
      • 5. 결론
      • 1. 연구 문제
      • 2. 탈물질주의와 자원봉사활동
      • 3. 연구방법과 자료
      • 4. 조사 결과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식, "환경주의와 탈물질주의적 가치에에 대한 태도 연구" 9 : 135-180, 2005

      2 박재묵,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사회적 대응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7-42, 2008

      3 박종민, "환경가치와 신념의 근원: 脫물질주의, 정치이념 및 문화편향" 한국행정학회 39 (39): 369-387, 2005

      4 윤순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자원봉사자 연구 : 참여 동기와 사건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145-179, 2008

      5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재난보도, 무엇이 문제인가?. in: 허베이스피르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안면도 오션캐슬 93-116, 2008

      6 박재묵,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자원봉사자 분석: 의사결정 요인과 봉사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173-216, 2009

      7 어수영, "한국인의 가치변화와 지속성 그리고 민주화" 33 (33): 111-131, 1999

      8 강원택, "한국의 이념 갈등과 진보ㆍ보수의 경계" 4 (4): 193-217, 2005

      9 마인섭, "한국에서의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의 등장과 사회적 균열구조의 변화"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3 (13): 29-52, 1997

      10 이현출,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한국정치학회 39 (39): 321-343, 2005

      1 김두식, "환경주의와 탈물질주의적 가치에에 대한 태도 연구" 9 : 135-180, 2005

      2 박재묵,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 :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사회적 대응 분석"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7-42, 2008

      3 박종민, "환경가치와 신념의 근원: 脫물질주의, 정치이념 및 문화편향" 한국행정학회 39 (39): 369-387, 2005

      4 윤순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자원봉사자 연구 : 참여 동기와 사건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145-179, 2008

      5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재난보도, 무엇이 문제인가?. in: 허베이스피르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안면도 오션캐슬 93-116, 2008

      6 박재묵,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자원봉사자 분석: 의사결정 요인과 봉사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173-216, 2009

      7 어수영, "한국인의 가치변화와 지속성 그리고 민주화" 33 (33): 111-131, 1999

      8 강원택, "한국의 이념 갈등과 진보ㆍ보수의 경계" 4 (4): 193-217, 2005

      9 마인섭, "한국에서의 탈물질주의적 가치관의 등장과 사회적 균열구조의 변화"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3 (13): 29-52, 1997

      10 이현출,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한국정치학회 39 (39): 321-343, 2005

      11 이시재, "태안사태와 자원활동, 그리고 시민운동"

      12 성기환, "태안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매스미디어의 역할 분석. in: 허베이 스피르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태안군 안면도 오션캐슬 117-135, 2008

      13 이진복, "탈물질주의적 가치 변동의 양가성" 241-266, 2004

      14 김욱,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한국과 일본의 정치문화변동 비교" 5 (5): 89-124, 2006

      15 성기중, "탈물질주의: 진실인가, 허구인가?" 7 (7): 143-173, 1999

      16 잉글하트, 로날드, "조용한 혁명(The Silent Revolution: Changing Values and the Political Styles among Weatern Republics" 종로서적 1980

      17 이창현, "자원봉사는 태안을 살리고 자원봉사 보도는 삼성만 살렸다" (446) : 86-91, 2008

      18 정태석,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역사에서 유럽과 한국의 유사성과 차이" 비판사회학회 (72) : 125-147, 2006

      19 정철희, "문화변동과 사회민주화: 탈물질주의 가치와 공중-주도 정치" 31 : 61-83, 1997

      20 조기숙, "광장의 정치와 문화적 충돌: 2008촛불집회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정치학회 42 (42): 245-270, 2008

      21 어수영, "가치변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1990-2001년 간의 변화 비교연구" 한국정치학회 38 (38): 193-214, 2004

      22 이창현,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언론보도 내용분석 연구. in: 허베이 스피르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언론의 역할과 사회 방제시스템의 문제" 충남 태안군 안면도 오션캐슬 1-24, 2008

      23 Inglehart, Ronald, "Public Support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Objective Problems and Subjective Values" 57-71, 1995

      24 Brechin, "Global Environmentalism: A Challenge to Postmaterialism Thesis" 75 (75): 245-269, 1994

      25 Dunlap, Riley E., "Global Concern for the Environment: Is Affluence a Prerequisite?. in: The Environment and Society Reader" Allyn and Bacon 202-215, 2001

      26 Warwick, Paul V., "Disputed Cause, Disputed Effect: The Postmaterialist Thesis Reexamined" 62 : 583-609, 1998

      27 Inglehart, Ronald,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28 Inglehart, Ronald, "Changing Values among Western Publics from 1970 to 2006" 31 (31): 130-146, 2006

      29 조기숙, "2008 촛불집회 참여자의 이념적 정향 : 친북반미좌파 혹은 반신자유주의?" 한국정치학회 43 (43): 125-148,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7 1.24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