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조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혼합한 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9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생리활성과 향미가 우수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건조한 후 중급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밀감-녹차 및 유자-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 동정하고 비교하였다. 밀감과 녹차를 1:1(w/w)로 혼합한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2종을 동정하였다.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limon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s의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유자와 녹차를 1:1(w/w)로 혼합한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3종을 동정하였다. 유자-녹차에는 건조유자의 향기성분 44종과 녹차의 향기성분 21종 및 공통으로 포함된 16종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유자의 향기성분으로는 건조밀감과 거의 유사하게 달콤한 과일향을 띄는 terpene hydrocarbon류인 limonene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번역하기

      다양한 생리활성과 향미가 우수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건조한 후 중급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밀감-녹차 및 유자-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GC 및...

      다양한 생리활성과 향미가 우수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건조한 후 중급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밀감-녹차 및 유자-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 동정하고 비교하였다. 밀감과 녹차를 1:1(w/w)로 혼합한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2종을 동정하였다.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limon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s의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유자와 녹차를 1:1(w/w)로 혼합한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3종을 동정하였다. 유자-녹차에는 건조유자의 향기성분 44종과 녹차의 향기성분 21종 및 공통으로 포함된 16종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유자의 향기성분으로는 건조밀감과 거의 유사하게 달콤한 과일향을 띄는 terpene hydrocarbon류인 limonene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aroma of green tea blended with dried citrus fruits containing peeler. Whether middle or low grade green tea is consumed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health benefits, but it does havean influence on flavor. Therefore, two kinds of citrus fruits (mandarin orange and citron) were used to infuse the teas with aromatic flavors. This process turned unflavored tea into special tea with a good color and preferable flavor. Aroma compounds were extracted by SDE method. The concentrated aroma extracts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The main aroma components of the green tea blended with mandarin orange were limonene (72.18%), (Z)-ocimene (8.29%), phenyl acetaldehyde (6.15%), γ-terpinene (5.14%), β-elemene (1.80%) and linalool (1.00%). The main aroma components of the green tea blended with citron were limonene (71.74%), γ-terpinene (9.76%), (Z)-ocimene (5.38%), (E)-ocimene (4.36%), linalool (1.00%) and β-mycrene (0.87%). The aromas of green tea blended with dried citrus fruits were mainly mono - and sesquiterpenic compoun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aroma of green tea blended with dried citrus fruits containing peeler. Whether middle or low grade green tea is consumed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health benefits, but it does havean influence on 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aroma of green tea blended with dried citrus fruits containing peeler. Whether middle or low grade green tea is consumed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health benefits, but it does havean influence on flavor. Therefore, two kinds of citrus fruits (mandarin orange and citron) were used to infuse the teas with aromatic flavors. This process turned unflavored tea into special tea with a good color and preferable flavor. Aroma compounds were extracted by SDE method. The concentrated aroma extracts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The main aroma components of the green tea blended with mandarin orange were limonene (72.18%), (Z)-ocimene (8.29%), phenyl acetaldehyde (6.15%), γ-terpinene (5.14%), β-elemene (1.80%) and linalool (1.00%). The main aroma components of the green tea blended with citron were limonene (71.74%), γ-terpinene (9.76%), (Z)-ocimene (5.38%), (E)-ocimene (4.36%), linalool (1.00%) and β-mycrene (0.87%). The aromas of green tea blended with dried citrus fruits were mainly mono - and sesquiterpenic compoun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감사의 글
      • Reference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감사의 글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희, "한국 자생나리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생명과학회 15 (15): 548-552, 2005

      2 김혜영b, "유자 과피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713-720, 2006

      3 이수정, "산지별 유자의 이화학적 특성, 유리당 및 향기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92-98, 2010

      4 김상희, "보성산 녹차의 채엽시기에 따른 화학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6 (36): 542-546, 2004

      5 신정혜, "남해산 유자 과피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79-87, 2010

      6 장지원, "국내산 시판 발효차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차학회 16 (16): 132-1369, 2010

      7 Selli, 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range juice obtained from the cv. Kozan of Turkey" 18 : 789-796, 2004

      8 Choi,S.H, "Volatile aroma compounds of Korean semi-fermented teas" 33 : 529-533, 2001

      9 Durr, P, "The contribution of some volatiles to the sensory quality of apple and orange juice odor, In flavor 81" Walter de Gruyter 179-179, 1981

      10 Jeong, W. 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Citrus unshiu peels" 6 : 292-296, 1997

      1 최성희, "한국 자생나리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생명과학회 15 (15): 548-552, 2005

      2 김혜영b, "유자 과피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713-720, 2006

      3 이수정, "산지별 유자의 이화학적 특성, 유리당 및 향기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92-98, 2010

      4 김상희, "보성산 녹차의 채엽시기에 따른 화학 성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6 (36): 542-546, 2004

      5 신정혜, "남해산 유자 과피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79-87, 2010

      6 장지원, "국내산 시판 발효차류의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차학회 16 (16): 132-1369, 2010

      7 Selli, S.,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range juice obtained from the cv. Kozan of Turkey" 18 : 789-796, 2004

      8 Choi,S.H, "Volatile aroma compounds of Korean semi-fermented teas" 33 : 529-533, 2001

      9 Durr, P, "The contribution of some volatiles to the sensory quality of apple and orange juice odor, In flavor 81" Walter de Gruyter 179-179, 1981

      10 Jeong, W. 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Citrus unshiu peels" 6 : 292-296, 1997

      11 Calabro, M. L., "Study of the extraction procedure by experimental design and validation of a L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flavonoids in citrus bergamia juice" 35 : 349-363, 2004

      12 Lee, C. Y.,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lavor constituents of Korean Milgam (Citrus unshiu) juice" 23 : 106-114, 1980

      13 Miyake, Y., "Protective effect of lemon flavonoids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33 : 689-695, 1998

      14 Lawarence, B. M, "Progress in essential oils" 12 : 58-58, 1987

      15 Langer, S,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CRC Press 2-12, 1984

      16 Akahoshi, G, "Kouryonokagaku (in Japanese)" Dainihontosyo 148-315, 1983

      17 Choi,S.H, "Korean tea and world tea" Jungang Life Publishing 37-37, 2002

      18 Kuhnan,J, "In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24 : 117-191, 1976

      19 Pierpoint, W. S, "In flavonoids in the human diet. In plant flavonoids in biology and medicine, bi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Alan R. Liss Inc 125-140, 1986

      20 Thomas, E. F, "Handbook of flavor ingredients, vol. 2" CRC press 1975

      21 Jeong, J. W.,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26 : 709-712, 1994

      22 Im, Y. K., "Elimination of fenitrothion residues during dietary fiber and bioflavonoid preptions from mandarin orange peels" 29 : 223-229, 1997

      23 Yang, Y. H, "Citrus fruits illustrated of cheju" Dea Young Publishing Company 11-14, 1994

      24 Kim,Y.B, "Citron culture technology" O-sung press 55-, 1994

      25 Jeong, T. S., "Cholesterol lowering or antiatherogenic effects of citrus bioflavonoids and their mechanism" 5 : 21-26, 2000

      26 Rapp, A, "Changes in aroma substances during the storage and ageing of white wines, In Shelf life studies of food and beverages"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mpany INC 891-922, 1993

      27 Rosen, H. B., "Bioerodible polyanhydrides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4 : 131-131, 2004

      28 Cha, Y. J., "Aroma-active compounds in salt-fermented anchovy, In Flavor and lipid chemistry of seafood" American Chemical Society 131-147, 1997

      29 Choi, S. H, "Aroma compounds of bran rice-green tea" 3 : 37-45, 1997

      30 Lee, H. Y., "Aroma components in Korean citron (Citron medica)" 19 : 361-365, 1987

      31 Chung, D. H., "Analysis of the Aroma constituents of Korean mandarin (Citrus reticula) and Orange Juices by Capillary GC and GC/MS" 19 : 346-354,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