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남저수지 내 신규 조성된 인공습지의 관속식물상과 생활형 = Vascular Plants and Life Form at Artificial Wetland Maded Newly at Junam Resevoir in Changwon, Gyeongn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48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ascular plants and life form of artificial wetland at Junam reservoir in Changwon were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inland artificial wetland, with a tot...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ascular plants and life form of artificial wetland at Junam reservoir in Changwon were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inland artificial wetland, with a total 156 taxa, 48 families, 118 genera, 147 species, 1 subspecies, and 8 form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1 taxa including Euryale ferox, Hydrocharis dubia and Ludwigia ova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26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Potentilla amurensis and Galinsoga ciliata, Ambrosia artemisifolia, and their naturalized ratio and urban index were analyzed to be 16.7% and 8.1%, respectively. Compositae plants were dominant containing 13 taxa(50% of the total natularized plants). Therophytes (Th) and Hydrophytes(HH) among 8 life forms showed high percentage and these species comprised 73.8% of the whole flora at artificial wetland in Junam reservoir. Hydrophytes were observed having 48 taxa including Limnophila sessiliflora, Marsilea quadrifolia and Salvinia natans, whereas emergent plan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내륙인공습지의 생태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주남저수지 인공습지의 관속식물상과 생활형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상은 48과 11...

      본 연구는 내륙인공습지의 생태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주남저수지 인공습지의 관속식물상과 생활형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상은 48과 118속 147종 1아종 8품종의 총 15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가시연꽃, 자라풀, 눈여뀌바늘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좀개소시랑개비, 털별꽃아재비, 돼지풀 등 2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16.7%와 8.1%였다. 국화과 식물이 전체 귀화식물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 결과, 일년생식물과 수생식물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들 두 생활형이 전체 관속식물상의 73.8%를 차지하였다. 수생식물은 구와말, 네가래, 생이가래 등 48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정수식물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2 이기숙, "창원시 주남 습지의 관속식물상" 한국농림기상학회 15 (15): 67-75, 2013

      3 김창환,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식물의 생활형에 대한 4년간의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30-40, 2009

      4 오경환, "우포늪과 토평천의 식물상" 한국습지학회 6 (6): 107-118, 2004

      5 박수현,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2002

      6 최돈혁,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습지학회 12 (12): 25-33, 2010

      7 김창환, "순천시 신평천 인공습지 조성 후 3년간 식생 및 생활형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5 (25): 57-64, 2011

      8 이상현, "생태적 인공습지를 이용한 회야댐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13 (13): 489-497, 2011

      9 박성준,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370-382, 2011

      10 최봉수, "돼지풀이 작물과 잡초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한국잡초학회 30 (30): 34-42, 2010

      1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2 이기숙, "창원시 주남 습지의 관속식물상" 한국농림기상학회 15 (15): 67-75, 2013

      3 김창환,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식물의 생활형에 대한 4년간의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30-40, 2009

      4 오경환, "우포늪과 토평천의 식물상" 한국습지학회 6 (6): 107-118, 2004

      5 박수현,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2002

      6 최돈혁,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습지학회 12 (12): 25-33, 2010

      7 김창환, "순천시 신평천 인공습지 조성 후 3년간 식생 및 생활형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5 (25): 57-64, 2011

      8 이상현, "생태적 인공습지를 이용한 회야댐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 13 (13): 489-497, 2011

      9 박성준,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370-382, 2011

      10 최봉수, "돼지풀이 작물과 잡초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한국잡초학회 30 (30): 34-42, 2010

      11 유주한, "대구광역시 안심습지의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1 (21): 162-170, 2008

      12 김중현,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481-504, 2008

      13 강방훈,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2 (12): 33-48, 2009

      14 김창환, "군산시 주요 4개 인공습지의 식물상 및 생활형" 한국환경과학회 20 (20): 1125-1140, 2011

      15 임동옥, "광주광역시 도심하천의 이화학적 환경과 수생식물 분포 비교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 23 (23): 120-128, 2005

      16 전승훈,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159-172, 2008

      17 김경진, "가축폐수 처리 위한 인공습지에서 수생식물의 영양염류 흡수 특성" 한국습지학회 14 (14): 121-130, 2012

      18 Kang, H. J., "Water treatment using constructed wetlands and research perspectives in Korea" 6 : 57-63, 2004

      19 Kim, J. W.,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ield vegetation" 21 : 203-215, 1998

      20 Ko, K. S.,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 : 25-35, 1995

      21 Gerberg, R. M., "Role of aquatic plants in wastewater treatment by artificial wetland" 20 : 363-368, 1986

      22 Spell, I. F., "Monitoring Ecological Change" Cambridge Univ. Press 334-, 1991

      23 Chun, S. H., "Floral change during three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ouido ecology park" 28 : 76-86, 2000

      24 Lim, Y., "Flora of vascular plants of wetland in Hwapo(Gimhae, Gyeungsangnam-do)" 10 : 313-323, 2004

      25 Park, W. G., "Flora of natural mashes in Wondae-ri(Inje-gun, Kangwon-do)" 16 : 50-68, 2000

      26 Kim, C. W.,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techniques" 122 : 155-156, 2007

      27 Cowardin, L. M.,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103-, 1979

      28 Muller-Dombois, D.,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29 Adamus, P. R., "A method for wetland functional assessment; Volume Ⅰ: Critical review and evaluation concepts" US Dept. of Transfortation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