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행정사 연구 분석: 1956~2016년까지 발간된 연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Focused on the Researches Published from 1956 to 201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54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행정사의 연구영역은 크게 일반 행정사와 분야별 행정사로 나눌 수 있는데, 그동안 한국행정사의 연구영역은 분야별 행정사가 대부분이고, 그 가운데서도 사상·이념과 정책·제도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한동안 특정 인물에 관한 연구가 큰 흐름을 이루다가 최근에는 관료제에 관한 연구가 늘고 있다. 행정사 연구를 통해 과거 행정으로부터 교훈을 얻고 미래를 예측하려면 행정사 연구는 광범한 사학 일반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시대별로는 조선시대 행정사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모든 시대에 걸친 한국행정사 연구 경향의 일반화를 도모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그동안 극소수의 연구자가 행정사를 연구하고 있어 행정사 연구는 행정사의 일반이론 발전 및 한국행정사의 특수성 규명에 그다지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행정사 연구의 목적이 과거의 행정을 설명하고, 교훈을 얻으며, 미래를 예측하여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과거의 행정을 설명하는 준거를 명확히 하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진정한 우리의 `근대성`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행정사의 연구영역은 크게 일반 행정사와 분야별 행정사로 나눌 수 있는데, 그동안 한국행정사의 연구영역은 분야별 행정사가 대부분이고, 그 가운데서도 사상·이념과 정책·제도가 대다�...

      행정사의 연구영역은 크게 일반 행정사와 분야별 행정사로 나눌 수 있는데, 그동안 한국행정사의 연구영역은 분야별 행정사가 대부분이고, 그 가운데서도 사상·이념과 정책·제도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한동안 특정 인물에 관한 연구가 큰 흐름을 이루다가 최근에는 관료제에 관한 연구가 늘고 있다. 행정사 연구를 통해 과거 행정으로부터 교훈을 얻고 미래를 예측하려면 행정사 연구는 광범한 사학 일반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시대별로는 조선시대 행정사 연구에 집중되어 있어 모든 시대에 걸친 한국행정사 연구 경향의 일반화를 도모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그동안 극소수의 연구자가 행정사를 연구하고 있어 행정사 연구는 행정사의 일반이론 발전 및 한국행정사의 특수성 규명에 그다지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행정사 연구의 목적이 과거의 행정을 설명하고, 교훈을 얻으며, 미래를 예측하여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과거의 행정을 설명하는 준거를 명확히 하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진정한 우리의 `근대성`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areas of administrative history are divided largely into general administrative history and sectoral administrative history. Meanwhile, the research area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mostly comprise sectoral administrative history, inter alia, thoughts or philosophies, and policies or institutions. While the research on specific persons formed the largest flow, research on bureaucracy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Research of the administrative histor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wide range of general history in order to learn from the past as revealed in administrative history and to predict the future. Because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trend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across all ages has not been promoted. Meanwhile, very few researchers have studied administrative history and the study of administrative history has not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theory of administrative history and to an identific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When th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history study finds “the authentic human lif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clarify the criteria that explicate the past administration. To do so, we will have to find our own true modernity.
      번역하기

      The research areas of administrative history are divided largely into general administrative history and sectoral administrative history. Meanwhile, the research area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mostly comprise sectoral administrative history, i...

      The research areas of administrative history are divided largely into general administrative history and sectoral administrative history. Meanwhile, the research area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mostly comprise sectoral administrative history, inter alia, thoughts or philosophies, and policies or institutions. While the research on specific persons formed the largest flow, research on bureaucracy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Research of the administrative histor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wide range of general history in order to learn from the past as revealed in administrative history and to predict the future. Because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trend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across all ages has not been promoted. Meanwhile, very few researchers have studied administrative history and the study of administrative history has not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theory of administrative history and to an identific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Korean administrative history. When th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history study finds “the authentic human lif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clarify the criteria that explicate the past administration. To do so, we will have to find our own true moder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老子, "老子 道德經(제1・2권)" 교림 2011

      2 한승연, "행정지도에 관한 역사적 연구: 대한제국시대부터 국민의정부까지" 14 : 215-257, 2004

      3 한승연, "행정사의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한국행정학회 43 (43): 81-104, 2009

      4 김춘식, "행정사 연구와 교육의 역사적 변화" 12 : 111-129, 2003

      5 한승연, "행정개혁기구의 성공 조건: 통리기무아문과 그 후속기구의인사행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9 (49): 269-311, 2015

      6 김종미, "한비자의 법가사상에 대한 정치・행정적 함의" 33 (33): 21-33, 1999

      7 박병련, "한국행정학 50년(1956~2006)" 한국행정학회 2006

      8 김경수, "한국행정사학회의 연구현황과 과제" 18 : 251-270, 2006

      9 장동희, "한국행정사" 법문사 1988

      10 박문옥, "한국행정론" 법문사 1981

      1 老子, "老子 道德經(제1・2권)" 교림 2011

      2 한승연, "행정지도에 관한 역사적 연구: 대한제국시대부터 국민의정부까지" 14 : 215-257, 2004

      3 한승연, "행정사의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한국행정학회 43 (43): 81-104, 2009

      4 김춘식, "행정사 연구와 교육의 역사적 변화" 12 : 111-129, 2003

      5 한승연, "행정개혁기구의 성공 조건: 통리기무아문과 그 후속기구의인사행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9 (49): 269-311, 2015

      6 김종미, "한비자의 법가사상에 대한 정치・행정적 함의" 33 (33): 21-33, 1999

      7 박병련, "한국행정학 50년(1956~2006)" 한국행정학회 2006

      8 김경수, "한국행정사학회의 연구현황과 과제" 18 : 251-270, 2006

      9 장동희, "한국행정사" 법문사 1988

      10 박문옥, "한국행정론" 법문사 1981

      11 김운태, "한국행정 근대화 100년의 시발: 한말 개화기를 중심으로" 34 (34): 347-375, 2000

      12 백완기, "한국정치학회오십년사: 1953년-2003년" 한국정치학회 309-358, 2003

      13 박문옥, "한국정부론" 박영사 1963

      14 윤재풍, "한국의 행정사" 대영문화사 17-32, 2001

      15 이병갑, "한국의 정치학: 현황과 전망" 법문사 81-103, 1997

      16 유완빈, "한국의 전통적 관료제도와 현대적 행정에 관한 연구(Ⅰ) : 한국행정사의 정립을 위하여" 1 (1): 1-14, 1992

      17 박동서, "한국관료제도의 역사적 전개" 한국연구도서관 1961

      18 정시채, "한국관료제도사" 화신출판사 1978

      19 안용식, "한국관료연구" 대영문화사 2001

      20 백완기, "한국 행정학 50년 : 문헌 검토를 중심으로" 나남출판 2005

      21 공기두, "한국 행정사학의 연구방법론 서설" (창간) : 15-28, 1992

      22 김운태, "한국 행정 근대화 100년의 회고: 미군정의 과도기를 중심으로" 35 (35): 1-17, 2001

      23 박종민, "한국 국가관료제의 세 가지 전통" 한국행정학회 48 (48): 1-24, 2014

      24 한승연, "한국 行政指導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25 김춘식, "퇴계의 행정사상에 관한 연구: 《조선왕조실록》에 비친 安民思想을 중심으로" 26 (26): 249-264, 1993

      26 김춘식, "퇴계의 사직소(辭職疏)에 나타난 인재등용관" 한국행정사학회 (25) : 197-218, 2009

      27 劉澤華, "중국정치사상사 : 선진편(하)" 동과서 2008

      28 이상엽, "조선후기 지방행정에 있어서 이서(吏胥)의 부패유발요인과 반부패개혁론" 한국행정학회 36 (36): 19-37, 2002

      29 우홍준, "조선후기 관변자치제도인 ‘수령향약’의 특성" 한국행정사학회 (29) : 203-219, 2011

      30 한승연, "조선총독부 관료제 연구: 비상통치기구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7 (47): 23-48, 2013

      31 이병갑, "조선조의 정책과정에 있어서 이익갈등분석: 16세기 동인과 서인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26 (26): 819-834, 1992

      32 이병갑, "조선조 사회・경제정책과정에 있어서 정파간의 이익갈등분석: 16세기 붕당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33 (33): 75-87, 1999

      33 이강선, "조선조 관료제의 유교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1 (1): 131-146, 1992

      34 박병련, "조선조 ‘修己治人’론의 사상사적 변용과 실학사상" 32 (32): 173-187, 1998

      35 김운태, "조선왕조행정사 : 근세편" 박영사 1970

      36 김운태, "조선왕조행정사 : 근대편" 일조각 1970

      37 우홍준, "조선시대 향약정착의 한 원인으로서의 유교정치사상" 34 (34): 103-114, 2000

      38 오영석, "조선시대 자연자원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34 (34): 327-345, 2000

      39 안병일, "조선시대 선전관청(宣傳官廳)의 운영과 기능, 그리고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48 (48): 25-47, 2014

      40 유석영, "조선시대 과거답안에 관한 연구" 21 (21): 239-259, 1987

      41 김용욱, "조선말 정치체계와 동학민중운동" 21 (21): 443-458, 1987

      42 한승연, "조선 후기 民國再造와 民개념의 변화: ‘民人’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6 (46): 51-78, 2012

      43 이대희, "조선 시대 문화 정책의 역사적 변화" 한국행정학회 37 (37): 215-231, 2003

      44 김운태, "정치・행정학의 한국화를 지향하여: 나의 학구편력" 25 (25): 1-46, 1987

      45 박병련, "전통시대 한국 관료제의 역사적 전개과정" 19 (19): 3-24, 1996

      46 Diamond, Jared,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 김영사 2016

      47 Woodside, A., "잃어버린 근대성들: 중국, 베트남, 한국 그리고 세계사의 위험성" 너머북스 2012

      48 김운태, "일본제국주의의 한국통치" 박영사 1986

      49 김춘식, "이퇴계의 인사행정관" 6 : 45-58, 1998

      50 김상준, "유교의 정치적 무의식" 글항아리 2014

      51 배병삼, "우리에게 유교란 무엇인가" 녹색평론사 2012

      52 Bernheim, Ernst, "역사학입문" 정음사 1978

      53 Skinner, Quentin, "역사를 읽는 방법 : 텍스트를 어떻게 읽고 해석할 것인가" 돌베개 2012

      54 유종해, "신고 한국행정사" 대영문화사 1990

      55 이대희, "시정연설 속에 나타난 최고행정권자의 가치" 21 (21): 315-333, 1987

      56 미야지마 히로시, "미야지마 히로시, 나의 한국사 공부" 너머북스 2013

      57 윤형섭, "미군정의 정치적충원에 관한 발전론적 연구" 8 : 175-202, 1974

      58 유상근, "미군정기의 행정기구(1945. 8. 15. -1984. 8)" 7 (7): 121-131, 1973

      59 김상준, "맹자의 땀 성왕의 피 : 중층근대와 동아시아 유교문명" 아카넷 2011

      60 전성우, "막스 베버 사회학 연구 논문집" 나남 2013

      61 박병련, "동양적 관료체제에 관한 비교연구 : 조선조와 명조를 중심으로" 27 (27): 1247-1261, 1993

      62 미야지마 히로시,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 : 동아시아의 새로운 이해를 찾아서" 너머북스 35-61, 2015

      63 미야지마 히로시,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 266-301, 2015

      64 이문영, "논어맹자와 행정학" 나남출판 1996

      65 배수호, "노자 '도덕경'에서 물에 대한 은유 및 관점: 수자원정책 및 관리에 주는 함의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6 (46): 293-314, 2012

      66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67 한승연, "국가주도 경제개발정책의 연속과 단절: 경제엘리트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5 (45): 1-32, 2007

      68 김필수, "관자/개정판" 소나무 2015

      69 유석영, "고려시대 정부조직에 관한 고찰" 9 : 143-162, 2000

      70 김운태, "고려 정치제도와 관료제" 박영사 2005

      71 한승연, "갑오개혁 전후 의정부와 6조 당상관 인사이동 비교 연구" 한국행정학회 48 (48): 179-209, 2014

      72 한승연, "간접행정지도에 관한 역사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38 (38): 147-169, 2004

      73 이병갑, "蒼狗客日 연구: 밀암 이재의 유배시종실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53-382, 2014

      74 韓非子, "民國國學文庫: 韩非子(平裝)" 中华书局 2014

      75 한승연, "制令을 통해 본 총독정치의 목표와 조선총독의 행정적 권한 연구" 정부학연구소 15 (15): 165-215, 2009

      76 우홍준, "「독자영역」으로서의 향약의 권위와 국가권위와의 관계" 한국행정학회 40 (40): 25-49, 2006

      77 Hejtmanek Milan, "Rationalism and “Modernity” in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of Chosǒn Korea: an Analysis of Munkwa Examination Rosters, 1545-1720" 정부학연구소 19 (19): 41-67, 2013

      78 Berggruen, Nicolas, "Intelligent Governance for the 21st Century: A Middle Way Between West and East" Polity Press 2013

      79 Raadschelders, Jos C. N., "Handbook of Administrative History" New Brunswick 1998

      80 Creel, H. G., "Confucius: The Man and the Myth" Kessinger Publishing 2010

      81 Gladden, E. N., "A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1" Frank Cass 1972

      82 이대희, "(한국의) 행정사" 대영문화사 2014

      83 성백효, "(懸吐完譯)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1998

      84 성백효, "(懸吐完譯) 孟子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