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정책개선방안: 정책과정(policy process)을 중심으로 = Dasan`s Suggestions for Public Policy: Based on Policy Process The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5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의 손꼽히는 대학자였던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정치, 경제, 문학, 철학, 지리, 의학, 교육학, 군사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5백편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하였다. 그는 현대사회에도 시사점을 주는 다양한 주장을 하였는데, 이러한 다산의 글에서 정책이론, 특히 정책과정론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서구와는 다른 우리 고유의 학문적 시각으로 정책이론을 해석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다산의 「목민심서(牧民心書)」에서 언급된 정책과정과 관련된 주제와 내용을 정리, 요약하고 현대 정책과정에 주는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정책형성과정, 정책집행과정, 정책평가과정 등 세 단계의 정책과정(policy process)에 따라 다산이 「목민심서」의 예전, 병전, 형전, 공전에서 주장한 정책개선방안을 살펴보고 현대 우리나라의 정책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번역하기

      조선시대의 손꼽히는 대학자였던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정치, 경제, 문학, 철학, 지리, 의학, 교육학, 군사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5백편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하였다. 그는 ...

      조선시대의 손꼽히는 대학자였던 다산 정약용(1762-1836)은 정치, 경제, 문학, 철학, 지리, 의학, 교육학, 군사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5백편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을 하였다. 그는 현대사회에도 시사점을 주는 다양한 주장을 하였는데, 이러한 다산의 글에서 정책이론, 특히 정책과정론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서구와는 다른 우리 고유의 학문적 시각으로 정책이론을 해석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다산의 「목민심서(牧民心書)」에서 언급된 정책과정과 관련된 주제와 내용을 정리, 요약하고 현대 정책과정에 주는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정책형성과정, 정책집행과정, 정책평가과정 등 세 단계의 정책과정(policy process)에 따라 다산이 「목민심서」의 예전, 병전, 형전, 공전에서 주장한 정책개선방안을 살펴보고 현대 우리나라의 정책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an Jeong Yak Yong (1762-1836), who i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scholars in Joseon period, wrote almost five hundred books about various subjects such as policy, economy, literature, philosophy, geography, medical science, pedagogy, military science, and natural science. In his book, the Admonitions on Governing the People, Dasan made some interesting suggestions which have policy implications to modern policy process theory as well. His suggestions to local policy administrators during the late Jeseon period can give an important meaning to modern Korean public policy administrators who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western policy theories because the suggestions have totally different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s to summarize and get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policy process theory from the Ye-Jeon, the Byong-Jeon, the Hyung-Jeon, and the Gong-Jeon of the Admonitions on Governing the People according to the three policy process: policy making process,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policy evaluation process.
      번역하기

      Dasan Jeong Yak Yong (1762-1836), who i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scholars in Joseon period, wrote almost five hundred books about various subjects such as policy, economy, literature, philosophy, geography, medical science, pedagogy, military sc...

      Dasan Jeong Yak Yong (1762-1836), who is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scholars in Joseon period, wrote almost five hundred books about various subjects such as policy, economy, literature, philosophy, geography, medical science, pedagogy, military science, and natural science. In his book, the Admonitions on Governing the People, Dasan made some interesting suggestions which have policy implications to modern policy process theory as well. His suggestions to local policy administrators during the late Jeseon period can give an important meaning to modern Korean public policy administrators who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western policy theories because the suggestions have totally different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s to summarize and get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policy process theory from the Ye-Jeon, the Byong-Jeon, the Hyung-Jeon, and the Gong-Jeon of the Admonitions on Governing the People according to the three policy process: policy making process,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policy evaluation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2 윤재풍, "한국정치행정의 체계" 박영사 1982

      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84

      4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6 한동효, "지방정부 정책과정의 단계별 성과의 영향분석: 진주시 25개 주요 사업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2 (12): 133-158, 2009

      7 정약용, "증보 여유당전서" 경인문화사 1970

      8 공상철,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다락원 2011

      9 이상엽, "조선후기 지방행정에 있어서 수령의 역할과 부패유발구조" 14 (14): 151-172, 2002

      10 이원균, "조선시대사 연구" 국악자료원 2001

      1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2 윤재풍, "한국정치행정의 체계" 박영사 1982

      3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84

      4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6 한동효, "지방정부 정책과정의 단계별 성과의 영향분석: 진주시 25개 주요 사업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2 (12): 133-158, 2009

      7 정약용, "증보 여유당전서" 경인문화사 1970

      8 공상철,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다락원 2011

      9 이상엽, "조선후기 지방행정에 있어서 수령의 역할과 부패유발구조" 14 (14): 151-172, 2002

      10 이원균, "조선시대사 연구" 국악자료원 2001

      11 배병삼, "조선 후기 개혁사상의 고찰: 정조와 정약용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2 : 320-346, 1996

      12 이덕일, "조선 왕을 말하다" 위즈덤하우스 2010

      13 노화준, "정책학원론" 박영사 1995

      14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05

      15 양승일, "정책과정론"

      16 곽효문, "정약용의 인사행정 개혁론" 5 : 219-241, 1997

      17 김효건, "정약용의 사회복지사상에 관한 연구:목민심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33) : 133-157, 2013

      18 최봉기, "자치제도 개선 담론" 2008

      19 정약용, "역주 목민심서" 창작과 비평사 1993

      20 장동희, "목민심서를 통해 본 다산의 복지사상 및 정책론" 13 (13): 131-149, 2003

      21 한국문예위원회, "목민심서"

      22 정약용, "목민심서" 홍신문화사 2007

      23 "두산백과"

      24 윤재풍, "다산의 행정사상에 관한 연구" 33-55, 2005

      25 최병선, "다산의 행정사상" 대영문화사 2010

      26 홍준현, "다산의 행정개혁: 현대적 해석과 평가" 대영문화사 2010

      27 최병선, "다산의 인간관, 사회관, 국가관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 분야 제도개혁안을 중심으로 -" 정부학연구소 12 (12): 7-46, 2006

      28 배병삼, "다산의 유학세계: 고적제(考績制)의 정치학" 1 (1): 101-138, 2002

      29 진종순, "다산의 관료교육훈련방안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소 14 (14): 61-84, 2008

      30 장동희, "다산 행정제도 개혁론의 현대적 의의" 18 : 215-249, 2006

      31 "네이버한자사전"

      32 이승주, "경찰행정 정책과정의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 21 (21): 189-222, 2012

      33 정약용, "경세유표" 한길사 1997

      34 이양수, "거버넌스시대 지역NGO의 정책과정별 참여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2004

      35 Mooney, J. D., "The Principles of Organization" Harper 1937

      36 Nakamura, R. T., "The Politics of Policy Implementation" St. Martins Press 1980

      37 Lasswell, H. D., "The Decision Process: Seven Categories of Func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Maryland 1956

      38 Anderson, J. E., "Public Policy-Making" Rinehart and Winston 1984

      39 Palumbo, D. J., "Public Policy in America: Government in Action" Harcourt Brace Jovanovich Publisher 1988

      40 Hogwood, B., "Policy Dynamics" St. Martin’s Press 1983

      41 OECD., "Performance Auditing and the Modernization of Government" OECD 1996

      42 Gulick, L. H., "Papers on the Science of Administratio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3-35, 1936

      43 Dror, Y., "Muddling Through: Science or Inertia?" 24 (24): 153-157, 1964

      44 Pressman, J., "Implementation: How Great Expectations in Washington are Dashed in Oakl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45 Jones, C. O.,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Policy" B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84

      46 Fayol, H., "Administration Industrielle et Générale; Prévoyance, Organisation, Commandement, Coordination, Controle" H. Dunod et E. Pinat 19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