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토착화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Indigenization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Focused o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7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is indigenized. To this end, we analyzed 1,432 papers from the first issue of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o Volume 35, issue 3. Based on the general structure of academic papers, it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and problem formulation',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data', 'Interpretation and comparison of analysis result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proportion of domestic references in each area of research was used as an index to analyze indigeniz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urnals, the reliance on foreign theories was very high, but the proportion of domestic references increas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1990s and the early 2000s, and recently it was over 60%. Second, in the case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propor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 literature is still comparable, so it is highly dependent on foreign theories. Lastly, the level and progress of indigenization differed in each area of the paper. In particular, the indigeniz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rea was the slowest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s.
      번역하기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is indigenized. To this end, we analyzed 1,432 papers from the first issue of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is indigenized. To this end, we analyzed 1,432 papers from the first issue of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o Volume 35, issue 3. Based on the general structure of academic papers, it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and problem formulation',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data', 'Interpretation and comparison of analysis result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proportion of domestic references in each area of research was used as an index to analyze indigeniz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urnals, the reliance on foreign theories was very high, but the proportion of domestic references increas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1990s and the early 2000s, and recently it was over 60%. Second, in the case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propor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 literature is still comparable, so it is highly dependent on foreign theories. Lastly, the level and progress of indigenization differed in each area of the paper. In particular, the indigeniz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rea was the slowest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토착화 수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한국교육행정학회에서 발간하는 「교육행정학연구」의 창간호부터 35권 3호까지의 논문 1,432편을 분석하였다. 학술논문의 일반적인 구성 형식에 기초해 ‘서론 및 문제제기’, ‘이론적 배경’, ‘연구 자료’, ‘분석 결과의 해석 및 비교’, ‘논의 및 결론’, ‘전체 참고문헌’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의 토착화 수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토착화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로서 연구의 각 영역에서 국내 참고문헌이 차지하는 비율을 주로 활용하였다. 주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 초기에는 매우 높은 국외 이론 의존도를 보였으나,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의 과도기를 거치며 국내 참고문헌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최근 국내 참고문헌의 비중은 약 6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적 연구의 경우 아직까지도 국내·국외 참고문헌의 비중이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어 국외 이론 의존도가 높은 편이었다. 셋째, 논문의 각 영역별로 토착화 수준과 토착화 진행 양상은 상이했다. 특히 이론적 배경 영역의 토착화는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토착화 수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한국교육행정학회에서 발간하는 「교육행정학연구」의 창간호부터 35권 3호까지의 논문 1,4...

      이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토착화 수준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한국교육행정학회에서 발간하는 「교육행정학연구」의 창간호부터 35권 3호까지의 논문 1,432편을 분석하였다. 학술논문의 일반적인 구성 형식에 기초해 ‘서론 및 문제제기’, ‘이론적 배경’, ‘연구 자료’, ‘분석 결과의 해석 및 비교’, ‘논의 및 결론’, ‘전체 참고문헌’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의 토착화 수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토착화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로서 연구의 각 영역에서 국내 참고문헌이 차지하는 비율을 주로 활용하였다. 주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 초기에는 매우 높은 국외 이론 의존도를 보였으나,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의 과도기를 거치며 국내 참고문헌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최근 국내 참고문헌의 비중은 약 6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적 연구의 경우 아직까지도 국내·국외 참고문헌의 비중이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어 국외 이론 의존도가 높은 편이었다. 셋째, 논문의 각 영역별로 토착화 수준과 토착화 진행 양상은 상이했다. 특히 이론적 배경 영역의 토착화는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범, "행정학의 토착화에 관한 논거" 11 : 198-223, 1977

      2 백완기, "한국행정학의 학문성 정립문제" 12 : 73-91, 1978

      3 이병철, "한국행정학의 미래전망에 관한 연구" 26 (26): 1069-1091, 1993

      4 김홍우, "한국정치학 소고 : "한국정치학회보"에 나타난 한국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20 (20): 5-21, 1998

      5 백완기, "한국적 행정이론의 성립가능성 모색" 21 (21): 153-174, 1987

      6 김경동, "한국사회과학방법론의 탐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7 서정화, "한국교육행정학회의 역할과 기여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19-139, 2008

      8 김종철, "한국교육행정학의 발전" 배영사 274-287, 1981

      9 이일용,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연구방법 측면"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55-374, 2003

      10 강경숙,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과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39 (39): 35-59, 2012

      1 이종범, "행정학의 토착화에 관한 논거" 11 : 198-223, 1977

      2 백완기, "한국행정학의 학문성 정립문제" 12 : 73-91, 1978

      3 이병철, "한국행정학의 미래전망에 관한 연구" 26 (26): 1069-1091, 1993

      4 김홍우, "한국정치학 소고 : "한국정치학회보"에 나타난 한국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20 (20): 5-21, 1998

      5 백완기, "한국적 행정이론의 성립가능성 모색" 21 (21): 153-174, 1987

      6 김경동, "한국사회과학방법론의 탐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7 서정화, "한국교육행정학회의 역할과 기여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19-139, 2008

      8 김종철, "한국교육행정학의 발전" 배영사 274-287, 1981

      9 이일용,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연구방법 측면"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55-374, 2003

      10 강경숙,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과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39 (39): 35-59, 2012

      11 김병하, "한국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쟁"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03-323, 2008

      12 나병균,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4 : 101-125, 2013

      13 이기홍, "한국 사회과학의 논리와 과학성" 43 : 39-57, 2004

      14 정일준, "한국 사회과학 패러다임의 미국화화론의 한국전파와 한국에서의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아메리카학회 37 (37): 66-92, 2005

      15 임연기, "한국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특성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31-354, 2003

      16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의 정체성: 이론 탐색의 의의와 지향성"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95-232, 2017

      17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23-56, 2009

      18 임연기,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415-437, 2014

      19 정태범,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반성과 발전방향" 한국교육행정학회 3-32, 2002

      20 강영삼,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 학지사 21-60, 2013

      21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문헌고찰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4, 2016

      22 박수정, "한국 교육행정사 탐구"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23 양미경,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49 (49): 1-31, 2011

      24 반상진, "학부 과정에서의 교육행정학 교육에 대한 분석 및 발전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43-268, 2015

      25 이수상, "지식사회학 연구방법으로서 인용분석" 30 (30): 155-178, 1999

      26 배철영, "우리의 정체성 찾기를 위한 방법론적 시론― ‘합류론’에서 본 한국화의 정체성" 대동철학회 (19) : 2-47, 2002

      27 백종국, "수입학문의 토착화 딜레마와 해결방안" 한국정치학회 50 (50): 5-21, 2016

      28 김미경, "세계화․세방화․다문화 -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 인문과학연구소 (59) : 207-252, 2010

      29 홍윤기, "서양철학 수입 후 철학수요의 폭증과 철학교육의 폭락" 대동철학회 (67) : 101-123, 2014

      30 백창재, "로스(Dorothy Ross)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사회과학의 정체성 문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6 (16): 1-25, 2007

      31 신정철, "대학원과정의 의미와 학문탐구의 장을 구축하기 위한 담론" 서울교육대학교 인문관 2014

      3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3 이종재,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좌표" 115-166, 2002

      34 김종철, "교육행정학신강" 세영사 1985

      35 반상진, "교육재정・경제학 연구방법론 동향 및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1-22, 2015

      36 신정철, "Trends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Research Topic Analysis" 한국교육개발원 35 (35): 167-193, 2008

      37 Alatas, S. H., "The captive mind in development studies" 34 (34): 9-25, 1972

      38 Alatas, S. H., "The captive mind and creative development" 36 (36): 691-699, 1974

      39 Altbach, P. G., "Servitude of the mind? Education, dependency, and neocolonialism" 79 (79): 187-204, 1977

      40 Uberoi, J. P. S., "Science and swaraj" 2 : 119-123, 1968

      41 Weeks, P., "Post-colonial challenges to grand theory" 49 (49): 236-244, 1990

      42 Boroujerdi, M., "Globalization and the margins" Springer 39-49,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