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종범, "행정학의 토착화에 관한 논거" 11 : 198-223, 1977
2 백완기, "한국행정학의 학문성 정립문제" 12 : 73-91, 1978
3 이병철, "한국행정학의 미래전망에 관한 연구" 26 (26): 1069-1091, 1993
4 김홍우, "한국정치학 소고 : "한국정치학회보"에 나타난 한국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20 (20): 5-21, 1998
5 백완기, "한국적 행정이론의 성립가능성 모색" 21 (21): 153-174, 1987
6 김경동, "한국사회과학방법론의 탐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7 서정화, "한국교육행정학회의 역할과 기여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19-139, 2008
8 김종철, "한국교육행정학의 발전" 배영사 274-287, 1981
9 이일용,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연구방법 측면"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55-374, 2003
10 강경숙,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과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39 (39): 35-59, 2012
1 이종범, "행정학의 토착화에 관한 논거" 11 : 198-223, 1977
2 백완기, "한국행정학의 학문성 정립문제" 12 : 73-91, 1978
3 이병철, "한국행정학의 미래전망에 관한 연구" 26 (26): 1069-1091, 1993
4 김홍우, "한국정치학 소고 : "한국정치학회보"에 나타난 한국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20 (20): 5-21, 1998
5 백완기, "한국적 행정이론의 성립가능성 모색" 21 (21): 153-174, 1987
6 김경동, "한국사회과학방법론의 탐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7 서정화, "한국교육행정학회의 역할과 기여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19-139, 2008
8 김종철, "한국교육행정학의 발전" 배영사 274-287, 1981
9 이일용, "한국교육행정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연구방법 측면"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55-374, 2003
10 강경숙, "한국 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과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39 (39): 35-59, 2012
11 김병하, "한국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쟁"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03-323, 2008
12 나병균,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4 : 101-125, 2013
13 이기홍, "한국 사회과학의 논리와 과학성" 43 : 39-57, 2004
14 정일준, "한국 사회과학 패러다임의 미국화화론의 한국전파와 한국에서의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아메리카학회 37 (37): 66-92, 2005
15 임연기, "한국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특성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331-354, 2003
16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의 정체성: 이론 탐색의 의의와 지향성"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95-232, 2017
17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23-56, 2009
18 임연기,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415-437, 2014
19 정태범,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반성과 발전방향" 한국교육행정학회 3-32, 2002
20 강영삼,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 학지사 21-60, 2013
21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문헌고찰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4, 2016
22 박수정, "한국 교육행정사 탐구"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23 양미경,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49 (49): 1-31, 2011
24 반상진, "학부 과정에서의 교육행정학 교육에 대한 분석 및 발전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43-268, 2015
25 이수상, "지식사회학 연구방법으로서 인용분석" 30 (30): 155-178, 1999
26 배철영, "우리의 정체성 찾기를 위한 방법론적 시론― ‘합류론’에서 본 한국화의 정체성" 대동철학회 (19) : 2-47, 2002
27 백종국, "수입학문의 토착화 딜레마와 해결방안" 한국정치학회 50 (50): 5-21, 2016
28 김미경, "세계화․세방화․다문화 - 아래로부터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 인문과학연구소 (59) : 207-252, 2010
29 홍윤기, "서양철학 수입 후 철학수요의 폭증과 철학교육의 폭락" 대동철학회 (67) : 101-123, 2014
30 백창재, "로스(Dorothy Ross)의 논의를 통해 본 한국 사회과학의 정체성 문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6 (16): 1-25, 2007
31 신정철, "대학원과정의 의미와 학문탐구의 장을 구축하기 위한 담론" 서울교육대학교 인문관 2014
3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3 이종재,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좌표" 115-166, 2002
34 김종철, "교육행정학신강" 세영사 1985
35 반상진, "교육재정・경제학 연구방법론 동향 및 과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4 (24): 1-22, 2015
36 신정철, "Trends of Higher Education Research: Research Topic Analysis" 한국교육개발원 35 (35): 167-193, 2008
37 Alatas, S. H., "The captive mind in development studies" 34 (34): 9-25, 1972
38 Alatas, S. H., "The captive mind and creative development" 36 (36): 691-699, 1974
39 Altbach, P. G., "Servitude of the mind? Education, dependency, and neocolonialism" 79 (79): 187-204, 1977
40 Uberoi, J. P. S., "Science and swaraj" 2 : 119-123, 1968
41 Weeks, P., "Post-colonial challenges to grand theory" 49 (49): 236-244, 1990
42 Boroujerdi, M., "Globalization and the margins" Springer 39-49,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