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형할인점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Study on Critical Factors for Sales of Discount Chain Stores : Focused on Major 3 Competitors of Discount Chain Sto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1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백화점에 있어서 입지요인과 비입지요인의 중요성을 비교분석한 김성문·안지상·심교언(2013)의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할인점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백화점에 있어서 입지요인과 비입지요인의 중요성을 비교분석한 김성문·안지상·심교언(2013)의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할인점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할인점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 유의하게 분석되었던 주요 변수들을 선별하고, 이를 다시 입지적 요인과 비입지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선정된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2009년을 기준으로 전국에서 영업 중인 국내 BIG3 할인점을 대상으로 실측 조사하였고, 종속변수로는 각 할인점 점포별 2009년 연간 매출액을 사용하였다. 조사된 변수들은 입지요인과 비입지요인을 하나의 회귀식으로 나타낸 다중회귀분석모형을 통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입지요인 중에서는 ‘세대수’, ‘세대당지방세징수액’, ‘경쟁점포수’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대수’와 ‘세대당지방세징수액’은 할인점 ‘매출액’과 정(+)의 관계를 가지고, ‘경쟁점포개수’는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비입지요인 중에서는 ‘영업면적’, ‘주차대수’, ‘임대매장수’, ‘업력’ 변수가 유의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할인점 매출액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별 변수들의 영향력을 표준화계수(β)의 절대값으로 판단해보았을 때, ‘영업면적’이 압도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뒤이어 ‘업력’, ‘세대수’, ‘경쟁점포수’, ‘임대매장수’, ‘세대당지방세징수액’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전반적으로 입지요인보다는 비입지요인 변수가 매출액에 대한 영향력 측면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당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을 때에도 동일하다. 이는 지금껏 우리가 막연히 갖고 있던 일반적인 생각은 물론 할인점과 관련된 수많은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이 발달하고 도·소매업이 유통업으로 성장하면서 대부분의 소매점이 대기업에 의해 운영되고 현대 마케팅의 집약체가 됨에 따라 자연스레 이루어진 결과로 추측된다. 실제로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소매업에 있어서 입지요인보다는 비입지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현상의 반증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at the center of focus both academically and operationally in relation to discount chain stores development, and non-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relatively e...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at the center of focus both academically and operationally in relation to discount chain stores development, and non-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relatively excluded and undervalu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location factors, 3 variables, ‘number of household’, ‘collected amount of local tax’, and ‘number of rival stores’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 And former 2 fact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count chain store ‘revenues’, and last one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count chain store ‘revenues’. Second, among the non-location factors, 3 variables, ‘sales space’, ‘number of confrontation tenants’, and ‘business period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These 3 variabl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count chain store revenues. Third, using only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variables’ standardized coefficient it could be seen that in analysis model, the variables classified as non-location factors have greater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revenue of discount chain sto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분석모형과 변수의 선정
      • Ⅳ. 사례연구 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분석모형과 변수의 선정
      • Ⅳ. 사례연구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