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출헌,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한국고소설학회 (29) : 149-180, 2010
2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3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4 김학이,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한국서양사연구회 33 : 2005
5 김정녀, "신립 전설의 문학적 형상화와 환상적 현실 인식" 민족어문학회 48 : 7-236, 2003
6 김정녀,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한국학연구소 (35) : 205-235, 2010
7 김정녀, "몽유록의 현실 대응 양상과 그 의미-16C 후반~17C 전반 몽유록을 중심으로" 고려대대학원 1997
8 양언석, "몽유록소설의 서술유형연구" 국학자료원 1996
9 유종국, "몽유록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10 차용주, "몽유록계 구조의 분석적 연구" 창학사 1979
1 정출헌,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한국고소설학회 (29) : 149-180, 2010
2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3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4 김학이,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한국서양사연구회 33 : 2005
5 김정녀, "신립 전설의 문학적 형상화와 환상적 현실 인식" 민족어문학회 48 : 7-236, 2003
6 김정녀,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한국학연구소 (35) : 205-235, 2010
7 김정녀, "몽유록의 현실 대응 양상과 그 의미-16C 후반~17C 전반 몽유록을 중심으로" 고려대대학원 1997
8 양언석, "몽유록소설의 서술유형연구" 국학자료원 1996
9 유종국, "몽유록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10 차용주, "몽유록계 구조의 분석적 연구" 창학사 1979
11 윤미애, "매체와 문화적 기억" 서울대 독일어문화권연구소 11 (11): 2002
12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4
13 오카 마리, "기억 서사" 소명출판 2004
14 장효현, "교감본 한국한문소설:몽유록"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7
15 구동회,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16 정인모, "공간, 장소, 경계, 에코" 에코리브르 2010
17 鄭蘊, "桐溪集"
18 거창군지 편찬위원회, "居昌郡誌" 거창군 1964
19 崔哯, "一善志" 善山文化院
20 김동협, "「琴生異聞錄」의 創作背景과 敍述意識" 동방한문학회 27 : 95-115, 2004
21 문범두, "「琴生異聞錄」의 作家意識과 主題" 한민족어문학회 (45) : 383-420, 2004
22 강동엽, "<龍門夢遊錄>에 대하여"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14 : 1992
23 정용수, "<용문몽유록> 연구" 우리한문학회 1 : 1999
24 김동협, "<용문몽유록> 고찰" 국어교육연구회 29 : 1997
25 홍재휴, "<금생이문록>-몽유록계소설 신자료" 경북대 사대 국어교육연구회 2 :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