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鐵筋콘크리이트 設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213260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정학사, 1987

      • 발행연도

        198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43.6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鐵筋콘크리이트 設計 / F. Leonhardt; E. Monning 共著; 정학사편집부 譯

      • 형태사항

        293p.: 圖; 26cm

      • 총서사항

        Leonhardt의 콘크리이트 講座; 3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나노생명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명대학교 민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원대학교 인당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第1章 構造設計 = 11
      • 1.1 構造設計 作業의 順序 = 11
      • 1.2 必要한 設計圖書 = 11
      • 1.2.1 圖面 = 11
      • 목차
      • 第1章 構造設計 = 11
      • 1.1 構造設計 作業의 順序 = 11
      • 1.2 必要한 設計圖書 = 11
      • 1.2.1 圖面 = 11
      • 1.2.2 構造計算書 = 12
      • 1.2.3 特記 마감서 = 12
      • 1.3 콘크리이트 部材의 形狀에 있어서의 原則 = 13
      • 1.4 使用材料의 선정 = 14
      • 1.4.1 콘크리이트의 종별에 적절한 선정 = 14
      • 1.4.2 철근종별의 적절한 선정 = 15
      • 1.4.3 異種鐵筋의 混用 = 16
      • 第2章 斷面의 應力 = 17
      • 2.1 槪要 = 17
      • 2.2 支承條件 = 17
      • 2.2.1 自由回轉 支持 = 18
      • 2.2.2 弱拘束을 동반한 自由回轉 支持 = 18
      • 2.2.3 部分固定 및 完全固定 支持 = 19
      • 2.3 支承幅 = 19
      • 2.4 支点間 距離(스판) = 19
      • 2.5 응력계산의 요령 = 21
      • 2.6 設計應力(設計斷面力) = 26
      • 2.6.1 設計 휨모우멘트 = 26
      • 2.6.2 設計 剪斷力 = 28
      • 2.6.3 設計 支承反力 = 29
      • 第3章 配筋一般 = 31
      • 3.1 配筋의 目的 = 31
      • 3.2 가장 효과적인 철근배치 = 32
      • 3.3 철근프렘 또는 철근조립 = 32
      • 3.4 철근徑 및 철근간격의 선택 = 33
      • 3.5 조밀하게 배근된 철근 = 35
      • 3.6 콘크리이트 cover = 35
      • 3.7 배근의 合理化 = 39
      • 第4章 鐵筋의 定着 = 42
      • 4.1 定着部의 割裂力 = 42
      • 4.2 定着位置 = 43
      • 4.3 引張鐵筋의 定着 = 44
      • 4.3.1 直線鐵筋의 부착에 의한 定着 = 44
      • 4.3.2 훅(hook) 및 直角훅(hook)에 의한 定着 = 50
      • 4.3.3 루-프定着 = 52
      • 4.3.4 용접횡방향 철근, 용접철근망에 의한 정착 = 56
      • 4.3.5 묶음 철근의 定着 = 59
      • 4.3.6 定着體 = 59
      • 4.4 壓縮鐵筋의 定着 = 61
      • 第5章 鐵筋의 이음 = 64
      • 5.1 一般 = 64
      • 5.2 직접이음 = 64
      • 5.2.1 引張과 壓縮에 대한 용접이음 = 64
      • 5.2.2 나사이음 = 66
      • 5.2.3 異形鐵筋用 sleeve 壓縮이음 = 67
      • 5.2.4 테르밋式 sleeve 이음 = 68
      • 5.2.5 壓縮鐵筋用 콘텍트 이음 = 69
      • 5.3 引張에 대한 간접이음 = 70
      • 5.3.1 hook이 없는 半圓形 hook 또는 直角hook에 의한 겹이음 = 70
      • 5.3.2 큰 半圓形 훅(hook) 부착 겹이음 = 78
      • 5.3.3 루-프狀 겹이음 = 78
      • 5.3.4 熔接鐵筋鋼의 겹이음 = 80
      • 5.4 壓縮에 대한 겹이음 = 82
      • 第6章 引張 또는 壓縮部材의 方向變化에 의한 腹壓力 = 85
      • 6.1 一般 = 85
      • 6.2 hunch部의 引張鐵筋 = 85
      • 6.2.1 角度가 작은 경우 = 85
      • 6.2.2 角度가 큰 경우 = 85
      • 6.3 철근의 緩曲 = 86
      • 6.3.1 큰緩曲, 스타랍에 의한 補强 = 86
      • 6.3.2 작은 緩曲 콘크리이트 cover에 의한 대응 = 86
      • 6.4 表面과 平行面內에 있는 緩曲鐵筋 = 87
      • 6.5 큰 曲上의 철근 = 89
      • 6.6 콘크리이트의 압축력에 의한 腹壓力 = 90
      • 第7章 휨을 받는 部材의 配筋 = 92
      • 7.1 主鐵筋의 段階的 配置 = 92
      • 7.1.1 引張力 線圖와 Shift 량 = 92
      • 7.1.2 引張鐵筋의 段階的 配置 = 95
      • 7.1.3 단계적인 배치로 主鐵筋의 定着 = 95
      • 7.2 支点部에 의한 主鐵筋의 定着 = 98
      • 7.2.1 側支点部에 의한 정착길이 = 98
      • 7.2.2 中間支点部에 의한 정착길이 = 99
      • 7.3 휨 引張領域의 付着 = 100
      • 第8章 鐵筋콘크리이트 슬래브 = 103
      • 8.1 一般 = 103
      • 8.1.1 形狀치수 = 103
      • 8.1.2 구조특성 및 응력산정 = 104
      • 8.2 一方向 슬래브 = 104
      • 8.2.1 拘束이 없는 單純支承 슬래브 = 105
      • 8.2.2 端部固定의 單支間 슬래브 = 106
      • 8.2.3 多스판 연속 슬래브 = 108
      • 8.2.4 횡방향 철근 = 111
      • 8.2.5 自由이음매의 배근 = 112
      • 8.2.6 슬래브의 전단보강 철근 = 112
      • 8.2.7 집중하중에 대한 배려 = 114
      • 8.2.8 線荷重에 대한 配慮 = 120
      • 8.2.9 矩形의 개구부를 有한 一方向 슬래브 = 120
      • 8.3 二方向 슬래브 = 122
      • 8.3.1 四邊支承 長方形 슬래브 = 124
      • 8.3.2 三邊支承 長方形 슬래브 = 130
      • 8.3.3 교차된 二邊에 支持된 長方形 슬래브 = 134
      • 8.3.4 나온 구석부의 내민 슬래브 = 134
      • 8.3.5 기둥으로 支持된 슬래브 = 135
      • 8.4 開口部가 있는 二方向 長方形 슬래브 = 142
      • 8.5 斷續支持의 長方形 슬래브 = 143
      • 8.6 三角形 슬래브 = 144
      • 8.7 圓形슬래브와 圓筒슬래브 = 145
      • 第9章 보 및 T形 보 = 148
      • 9.1 一般 = 148
      • 9.2 剪斷補强 鐵筋의 종류와 선택 = 148
      • 9.2.1 스타랍 = 150
      • 9.2.2 스타랍 鐵筋綱 = 153
      • 9.2.3 기타 剪斷補强 鐵筋 = 154
      • 9.2.4 스타랍 간격과 직경, 기타 전단보강 철근의 간격 = 154
      • 9.2.5 傾斜鐵筋(折曲鐵筋) = 155
      • 9.2.6 전단보강 철근의 단계적 배치 = 156
      • 9.3 背面 높이의 Web 軸方向 鐵筋 = 159
      • 9.4 T형보의 특징 = 160
      • 9.4.1 T형보의 主鐵筋 配置 = 160
      • 9.4.2 후랜지의 연결용 철근 = 162
      • 9.4.3 횡방향 휨 모우멘트에 의한 Web의 배근방법 = 165
      • 9.5 스렌더 單純보(l/h≥8) = 166
      • 9.6 스렌더 연속보(l_i/h≥8) = 167
      • 9.7 스렌더 片持보 = 170
      • 9.8 짧은 보(2≥l/h〉8) 및 支点付近의 荷重 = 170
      • 9.9 간접 지지된 보 = 172
      • 9.10 매달기 荷重(下載荷重) = 177
      • 9.11 切欠된 支点部 = 177
      • 9.12 Web에 開口部가 있는 보 = 182
      • 9.13 비틀림 作用을 받는 보 = 184
      • 9.13.1 순수한 비틀림 = 184
      • 9.13.2 비틀림 剪斷力 및 휨의 組合作用 = 187
      • 第10章 리브(rib)부착 슬래브, 格子슬래브 및 中空슬래브 = 190
      • 10.1 리브부착 슬래브 = 190
      • 10.2 格子슬래브(waffle슬래브) = 192
      • 10.3 中空슬래브 = 195
      • 10.3.1 中空 一方向 슬래브(主方向에 中空部를 가진다.) = 195
      • 10.3.2 中空 二方向 슬래브 = 195
      • 10.3.3 中空格子形 二方向 슬래브 = 196
      • 10.4 기타 슬래브의 형식 = 197
      • 第11章 라멘의 구석부 = 198
      • 11.1 內力의 흐름 = 198
      • 11.2 負의 모우멘트를 받는 라-멘 구석부(外側引張) = 199
      • 11.3 正의 모우멘트를 받는 라-멘 구석부(內側引張) = 203
      • 11.3.1 直角의 구석부 = 203
      • 11.3.2 純角 또는 銳角의 구석부 = 210
      • 11.3.3 直交壁 = 211
      • 11.3.4 슬래브와 기둥의 접합부 (큰 水平力의 경우) = 212
      • 11.3.5 多層라-멘의 側柱接合部 = 213
      • 第12章 디-프빔 또는 壁版(샤이베) = 216
      • 12.1 直接支持된 上載荷重을 받는 디-프빔 = 216
      • 12.1.1 單支間 디-프빔 = 216
      • 12.1.2 多스판 연속 디-프빔 = 216
      • 12.1.3 내민 디-프빔(跳出한 壁) = 220
      • 12.2 下載荷重을 받는 디-프빔 = 221
      • 12.3 간접 支持된 디-프빔 = 223
      • 12.4 바닥슬래브, 耐風壁 및 교량용 바닥판 = 225
      • 12.5 바닥슬래브 및 壁版의 配筋 = 229
      • 第13章 콘솔(console) = 231
      • 13.1 직접하중을 받는 console(dracket, 持送)= 231
      • 13.2 간접하중을 받는 console = 235
      • 第14章 壓縮部材 = 237
      • 14.1 壓縮部材 配筋의 基本 = 237
      • 14.2 철근콘크리이트의 기둥 = 238
      • 14.3 건축용 기둥의 특수예 = 242
      • 14.3.1 steel core가 있는 콘크리이트 기둥 = 242
      • 14.3.2 고강도 鋼材가 있는 콘크리이트 기둥 = 243
      • 14.4 柱鐵筋 및 슬래브 철근의 貫通 = 244
      • 14.5 耐力壁 = 248
      • 14.6 土壓을 받는 地下壁 = 250
      • 第15章 힘의 傳達部 = 252
      • 15.1 基本的인 事項 = 252
      • 15.2 효과적인 균열 보강방법 = 253
      • 第16章 후우칭 = 257
      • 16.1 一般 = 257
      • 16.2 벽의 후우칭 = 259
      • 16.3 獨立 후우칭 = 264
      • 16.3.1 偏心없이 載荷된 후우칭 = 264
      • 16.3.2 偏心荷重을 받는 후우칭 = 272
      • 16.3.3 着送式 후우칭(bucket후우칭) = 274
      • 16.4 연속 후우칭 = 277
      • 16.5 壁과 better 基礎 = 278
      • 16.6 기둥과 better 基礎 = 281
      • 16.7 후우칭과 鋼製 기둥의 정착 = 281
      • 16.8 杭頭 후우칭 = 283
      • 參考文獻 = 2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