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의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Research in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Present and Fut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research in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KS Jangseogak Archives) and its upcoming task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is an institute that survey, collect, process to conserve, oversee, and study the old books and documents from the court of Chosŏn (1392~1910) and private literati families (munjung). Ever since the Office of Jangseogak at the Bureau of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transferred the old books and documents of the Chosŏn court to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1981,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conducted research on the documents of the royal archive on the one hand, and surveyed and collected books and written materials from private munjung on the other. Prior to 2011, the AKS Jangseogak Archives relied its research entirely on the support of the Committee for Promotion of National Learning (Gukhak jinheung yeon’gu sa’eop chjin wiweonhoe) and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Service (Han’gukhak jinheung sa’eoptan). Since the 2012, with a drastic budgetary increase for its material and staffing condition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been reshaped into a full-scale research institution of old books and documents. The research staff at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been carrying out on web-site platforms their projects on bibliographical records, introductions, digital images, states of conservation, archive locations, and availability of the collected old documents through the Jangseogak Archive Resource Management System, JARMS). Whereas the JARMS is an internal research tool, the web sites, Digital Jangseogak (Dijiteol Jangseogak, jsg.aks.ac.kr) and Archive of Old Documents of Korea (Han’guk Gomunseo Jaryogwan, archive.aks.sc.kr), are the platforms through which scholars can access the materials collected in the AKS Jangseogak Archives from the outside. In the coming year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plans to focus its research on the project entitled “The Cultural History of Books at Jangseogak Archives,” which comprises three area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book, the knowledge contained in the book, and the paper that is the material basis of the book. The AKS Jangseogak Archives will produce the core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history of books and knowledge that the people of Chosŏn had accumulated.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research in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KS Jangseogak Archives) and its upcoming task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is an institute that survey, collect, process to conserve...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research in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KS Jangseogak Archives) and its upcoming task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is an institute that survey, collect, process to conserve, oversee, and study the old books and documents from the court of Chosŏn (1392~1910) and private literati families (munjung). Ever since the Office of Jangseogak at the Bureau of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transferred the old books and documents of the Chosŏn court to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1981,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conducted research on the documents of the royal archive on the one hand, and surveyed and collected books and written materials from private munjung on the other. Prior to 2011, the AKS Jangseogak Archives relied its research entirely on the support of the Committee for Promotion of National Learning (Gukhak jinheung yeon’gu sa’eop chjin wiweonhoe) and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Service (Han’gukhak jinheung sa’eoptan). Since the 2012, with a drastic budgetary increase for its material and staffing condition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been reshaped into a full-scale research institution of old books and documents. The research staff at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been carrying out on web-site platforms their projects on bibliographical records, introductions, digital images, states of conservation, archive locations, and availability of the collected old documents through the Jangseogak Archive Resource Management System, JARMS). Whereas the JARMS is an internal research tool, the web sites, Digital Jangseogak (Dijiteol Jangseogak, jsg.aks.ac.kr) and Archive of Old Documents of Korea (Han’guk Gomunseo Jaryogwan, archive.aks.sc.kr), are the platforms through which scholars can access the materials collected in the AKS Jangseogak Archives from the outside. In the coming year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plans to focus its research on the project entitled “The Cultural History of Books at Jangseogak Archives,” which comprises three area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book, the knowledge contained in the book, and the paper that is the material basis of the book. The AKS Jangseogak Archives will produce the core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history of books and knowledge that the people of Chosŏn had accumul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하 ‘한중연장서각’)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에 관해 살피는 글이다. 한중연장서각은 조선시대 국가왕실과 민간 사대부 문중의 고전적(古典籍)을 조사·수집·보존처리·관리·연구하는 기관이다. 1981년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사무소로부터 조선왕실 고전적이 이관된 이후, 한중연장서각은국가왕실 고전적의 연구와 함께 민간 사대부 문중의 고전적을 조사·수집해 왔다. 한중연장서각이 2011년 이전에 수행해온 연구 과제 대부분은 국학진흥연구사업과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에 전적으로 의지했다. 그러나 2012년 이후 본예산이 대폭 증액되면서 한중연장서각의 인적·물적 여건은 그 전과 달리 본격적인 고전적종합 연구기관의 면모를 갖추었다. 2019년부터 한중연장서각의 연구자들은 ‘장서각 고전적 관리 시스템(Jangseogak Archive Resource Management System, 이후 JARMS)을 통해서 고전적의 서지·해제·이미지구축·보존처리상태·수장위치·반출상태 등의 작업을 웹사이트 기반에서 수행하고 있다. JARMS가 내부연구용 도구라면 웹사이트 ‘디지털장서각’과 ‘한국고문서자료관’은 외부에서 한중연장서각의 자료에 접근할 수있는 플랫폼이다. 향후 한중연장서각은 ‘장서각 책의 문화사’ 프로젝트에 모든 연구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장서각 책의 문화사’는 ① 책의 생산과 유통, ② 책에 담긴 지식, ③ 책의 물질적 기반인 종이 등의 3분야로구성된다. 조선시대 사람들이 축적해온 책과 지식에 얽힌 역사는 향후 한중연장서각의 핵심 연구 성과가 될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하 ‘한중연장서각’)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에 관해 살피는 글이다. 한중연장서각은 조선시대 국가왕실과 민간 사대부 문중의 고전적(古典籍)을 ...

      본고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하 ‘한중연장서각’)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에 관해 살피는 글이다. 한중연장서각은 조선시대 국가왕실과 민간 사대부 문중의 고전적(古典籍)을 조사·수집·보존처리·관리·연구하는 기관이다. 1981년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사무소로부터 조선왕실 고전적이 이관된 이후, 한중연장서각은국가왕실 고전적의 연구와 함께 민간 사대부 문중의 고전적을 조사·수집해 왔다. 한중연장서각이 2011년 이전에 수행해온 연구 과제 대부분은 국학진흥연구사업과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에 전적으로 의지했다. 그러나 2012년 이후 본예산이 대폭 증액되면서 한중연장서각의 인적·물적 여건은 그 전과 달리 본격적인 고전적종합 연구기관의 면모를 갖추었다. 2019년부터 한중연장서각의 연구자들은 ‘장서각 고전적 관리 시스템(Jangseogak Archive Resource Management System, 이후 JARMS)을 통해서 고전적의 서지·해제·이미지구축·보존처리상태·수장위치·반출상태 등의 작업을 웹사이트 기반에서 수행하고 있다. JARMS가 내부연구용 도구라면 웹사이트 ‘디지털장서각’과 ‘한국고문서자료관’은 외부에서 한중연장서각의 자료에 접근할 수있는 플랫폼이다. 향후 한중연장서각은 ‘장서각 책의 문화사’ 프로젝트에 모든 연구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장서각 책의 문화사’는 ① 책의 생산과 유통, ② 책에 담긴 지식, ③ 책의 물질적 기반인 종이 등의 3분야로구성된다. 조선시대 사람들이 축적해온 책과 지식에 얽힌 역사는 향후 한중연장서각의 핵심 연구 성과가 될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왕무, "李王職의 유래와 장서각 소장 이왕직 자료의 沿革" 한국학중앙연구원 (31) : 34-57, 2014

      2 오영균, "한국학 주제별 연구 매뉴얼(Ⅰ)"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3 오영균, "책의 문화사에서 보는 책의 나라 조선" 한국학중앙연구원 (44) : 6-35, 2020

      4 주영하,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 삼강행실도를 통한 지식의 전파와 관습의 형성" 휴머니스트 2008

      5 이종묵, "장서각 및 수집 고문서 자료의 정리실태와 전망" 한국국학진흥원 2 : 2003

      6 千惠鳳,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7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8 尹炳泰, "藏書閣의 沿革과 所藏圖書" 14 (14): 1991

      9 千惠鳳, "藏書閣圖書中國版總目錄" 藏書閣 1974

      10 신명호, "藏書閣 소장 자료와 宗廟의 역사" 4 : 2000

      1 이왕무, "李王職의 유래와 장서각 소장 이왕직 자료의 沿革" 한국학중앙연구원 (31) : 34-57, 2014

      2 오영균, "한국학 주제별 연구 매뉴얼(Ⅰ)"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3 오영균, "책의 문화사에서 보는 책의 나라 조선" 한국학중앙연구원 (44) : 6-35, 2020

      4 주영하,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 삼강행실도를 통한 지식의 전파와 관습의 형성" 휴머니스트 2008

      5 이종묵, "장서각 및 수집 고문서 자료의 정리실태와 전망" 한국국학진흥원 2 : 2003

      6 千惠鳳,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7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6

      8 尹炳泰, "藏書閣의 沿革과 所藏圖書" 14 (14): 1991

      9 千惠鳳, "藏書閣圖書中國版總目錄" 藏書閣 1974

      10 신명호, "藏書閣 소장 자료와 宗廟의 역사" 4 : 2000

      11 李鍾黙, "藏書閣 소장 『列聖御製』와 國王文集의 편찬과정" (창간) : 1999

      12 안미경, "藏書閣 所藏『璿源系譜記略』의 書誌的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17) : 5-38, 2007

      13 장서각연구소, "藏書閣 : 장서각에서 옛 기록을 만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14 金基洙, "藏書閣" (창간) : 1975

      15 宮內府奎章閣圖書課, "帝室圖書目錄"

      16 Kornicki, Peter F., "The Book in Japan: a Cultural History from the Beginning to the Nineteenth Century" Brill 1998

      17 Oh, Young Kyun, "Engraving Virtue: The Printing History of a Premodern Korean Moral Primer" Brilll 2013

      18 김문식, "18세기 국왕의 왕실자료 편찬과 봉모당" 한국학중앙연구원 (40) : 36-66,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