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시티의 진화,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공진화 – 부산광역시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The evolution of smart cities, the co-evolution of digital and physical spaces – Focusing on the cases of smart city policy in Busan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종합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는 어떤 이론적 근거와 논리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향후 어떻게 진화해 나갈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시가 현재 추진 중인 ‘국가지정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와 ‘초소형 위성(Busan Sat) 프로젝트’ 등 다수의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STIM 모델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이 시민들과 도시 정책입안자들에게 어떤 실익과 효용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시티의 개념 구성요소를 Service/Technology/Infra/ Management의 4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해 봄으로써, 스마트시티의 실체와 작동 원리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민 수요에 대응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무궁무진하게 창조해 냄으로서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CCTV 등 각종 센서를 통해서 수집된 정보를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서 도시정부의 개방형 IoT 플랫폼으로 보내고, 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함으로써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초소형 위성과 같은 고도로 발달된 센서와 인공지능・사물인터넷 기술 발달이 가져온 디지털 공간의 혁신은 일・생활・여가 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과 맞물려 발전(공진화)하면서,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Data-driven Smart City)’는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함께 지역의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함으로써,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지역혁신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이론적 분석틀로도 제시하였는데, 기존의 STIM 이론 모형에 ‘공진화(물리적 공간 요소와 디지털 공간 요소의 서로 맞물린 변증법적 발전)’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정책적․실천적 효용 이외에도 이론적 기여도 하였다. 즉, 수정된 이론 모형이자 분석틀인 “공진화에 기반한 통합 STIM 모형(Integrated STIM Framework based on Coevolution)”은, STIM의 각 요소별 ‘핵심 대표 개념’를 추출하여 누구나 쉽게 스마트시티 사례를 이해 할 수 있게 하였고, 시간에 따라 스마트시티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동태 모형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가 촉발될 수 있는 여지도 남겼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종합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는 어떤 이론적 근거와 논리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향후 어떻게 진화해 나갈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종합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는 어떤 이론적 근거와 논리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향후 어떻게 진화해 나갈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시가 현재 추진 중인 ‘국가지정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와 ‘초소형 위성(Busan Sat) 프로젝트’ 등 다수의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STIM 모델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이 시민들과 도시 정책입안자들에게 어떤 실익과 효용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시티의 개념 구성요소를 Service/Technology/Infra/ Management의 4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해 봄으로써, 스마트시티의 실체와 작동 원리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민 수요에 대응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무궁무진하게 창조해 냄으로서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CCTV 등 각종 센서를 통해서 수집된 정보를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서 도시정부의 개방형 IoT 플랫폼으로 보내고, 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함으로써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초소형 위성과 같은 고도로 발달된 센서와 인공지능・사물인터넷 기술 발달이 가져온 디지털 공간의 혁신은 일・생활・여가 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과 맞물려 발전(공진화)하면서,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Data-driven Smart City)’는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함께 지역의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함으로써,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지역혁신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이론적 분석틀로도 제시하였는데, 기존의 STIM 이론 모형에 ‘공진화(물리적 공간 요소와 디지털 공간 요소의 서로 맞물린 변증법적 발전)’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정책적․실천적 효용 이외에도 이론적 기여도 하였다. 즉, 수정된 이론 모형이자 분석틀인 “공진화에 기반한 통합 STIM 모형(Integrated STIM Framework based on Coevolution)”은, STIM의 각 요소별 ‘핵심 대표 개념’를 추출하여 누구나 쉽게 스마트시티 사례를 이해 할 수 있게 하였고, 시간에 따라 스마트시티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동태 모형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가 촉발될 수 있는 여지도 남겼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number of smart city policy cases, including the State-designated Eco Delta Smart City and the Busan Sat Pro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IM model to find out what theoretical basis and logic are working in the smart city, which can be called the "comprehensive platfor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the practical benefits and utility of this analysis to citizens and urban policymakers.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smart cities into four categories: Service/Technology/Infrastructure/ Management, it has been shown that many urban problems can be solved by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operation principle of smart cities and creating customized services to meet civic dem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shown that many urban problems can be solved by send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such as CCTV to the city government's open IoT platform through high-speed internet networks and analyzing i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cent years, the innovation of the digital space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highly developed sensors such as micro satellit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has co-evolved in conjunction with the "Innovation District," which enables work, life, and leisure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nd "Data-driven Smart City" has drawn policy implications that it can be a key "regional innovation tool"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local data industry ecosystem along with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for citizens. This was presented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an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evolution (dialectical development in which physical and digital space elements interlock)" into the existing STIM theory model, it contributed theoretically in addition to policy and practical utility. In other words, the modified theoretical model and analysis framework, "Integrated STIM Framework based on Co-evolution," extracted the "core representative concept" of each element of STIM so that anyone could easily understand the smart city case, and presented a dynamic model that could predict how smart cities will develop over time, leaving room for further research.
      번역하기

      In this study, a number of smart city policy cases, including the State-designated Eco Delta Smart City and the Busan Sat Pro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IM model to find out what theoretical basis and logic are working in the smart city, which ...

      In this study, a number of smart city policy cases, including the State-designated Eco Delta Smart City and the Busan Sat Pro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IM model to find out what theoretical basis and logic are working in the smart city, which can be called the "comprehensive platfor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the practical benefits and utility of this analysis to citizens and urban policymakers.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smart cities into four categories: Service/Technology/Infrastructure/ Management, it has been shown that many urban problems can be solved by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operation principle of smart cities and creating customized services to meet civic dem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shown that many urban problems can be solved by send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such as CCTV to the city government's open IoT platform through high-speed internet networks and analyzing i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cent years, the innovation of the digital space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highly developed sensors such as micro satellit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has co-evolved in conjunction with the "Innovation District," which enables work, life, and leisure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nd "Data-driven Smart City" has drawn policy implications that it can be a key "regional innovation tool"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local data industry ecosystem along with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for citizens. This was presented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an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evolution (dialectical development in which physical and digital space elements interlock)" into the existing STIM theory model, it contributed theoretically in addition to policy and practical utility. In other words, the modified theoretical model and analysis framework, "Integrated STIM Framework based on Co-evolution," extracted the "core representative concept" of each element of STIM so that anyone could easily understand the smart city case, and presented a dynamic model that could predict how smart cities will develop over time, leaving room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