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사시대 팥의 이용 및 작물화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 Reviewing Domestication of Vigna angularis based on Archaeological Reco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5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동북아시아에서 발견된 팥 자료는 여러 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에서 야생 팥이 이용되기 시작하고 궁극적으로 작물화되는 과정을 시사한다. 본고는 수천 년 간(5000~1400 BP)에 걸친 팥의 형태상 변화를 중국, 일본, 한국의 고고학 자료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일본과 한국에서는 늦어도 5000 cal. BP 경부터 그 작물화 여부에 관계없이 팥의 이용이 시작되었고 2천여 년 간의 재배 과정을 거쳐 팥의 작물화가 점진적으로 진화되었다. 또한 본고는 일본과 한국에서 팥의 독립적 작물화가 비슷한 시기에 진행되었을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고학적 자료가 진화 통계학적 연구와 더불어 작물의 기원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임을 입증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동북아시아에서 발견된 팥 자료는 여러 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에서 야생 팥이 이용되기 시작하고 궁극적으로 작물화되는 과정을 시사한다. 본고는 수천 년 간(5000~1400 BP)에 걸친 팥의 ...

      최근 동북아시아에서 발견된 팥 자료는 여러 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에서 야생 팥이 이용되기 시작하고 궁극적으로 작물화되는 과정을 시사한다. 본고는 수천 년 간(5000~1400 BP)에 걸친 팥의 형태상 변화를 중국, 일본, 한국의 고고학 자료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일본과 한국에서는 늦어도 5000 cal. BP 경부터 그 작물화 여부에 관계없이 팥의 이용이 시작되었고 2천여 년 간의 재배 과정을 거쳐 팥의 작물화가 점진적으로 진화되었다. 또한 본고는 일본과 한국에서 팥의 독립적 작물화가 비슷한 시기에 진행되었을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고학적 자료가 진화 통계학적 연구와 더불어 작물의 기원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임을 입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ently acquired archaeological records for azuki bean (Vigna angularis) from East Asia are shedding light on the context in which these pulses became associated with people and were domesticated. The main data of this study are archaeological collections from various sites (5000~1400 BP) in Korea, China and Japan as well as modern refrences of both domesticated and non–cultigen azuki. Long–term morphological change of archaeological seeds shows that human manipulation of azuki began as early as 5000 cal. BP, over 2000 years earlier than was previously suggested. The data from this research also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multiple origins of azuki. A uniqu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its interdisciplinary attempt to examine both biological and cultural process of major pulse crop domestcation.
      번역하기

      The recently acquired archaeological records for azuki bean (Vigna angularis) from East Asia are shedding light on the context in which these pulses became associated with people and were domesticated. The main data of this study are archaeological co...

      The recently acquired archaeological records for azuki bean (Vigna angularis) from East Asia are shedding light on the context in which these pulses became associated with people and were domesticated. The main data of this study are archaeological collections from various sites (5000~1400 BP) in Korea, China and Japan as well as modern refrences of both domesticated and non–cultigen azuki. Long–term morphological change of archaeological seeds shows that human manipulation of azuki began as early as 5000 cal. BP, over 2000 years earlier than was previously suggested. The data from this research also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multiple origins of azuki. A uniqu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its interdisciplinary attempt to examine both biological and cultural process of major pulse crop domest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팥의 식물학적 정보
      • Ⅲ. 자료와 분석법
      • Ⅳ. 분석 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팥의 식물학적 정보
      • Ⅲ. 자료와 분석법
      • Ⅳ. 분석 결과
      • Ⅴ. 팥 작물화의 고고학적 고찰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澄元, "金海 水佳里 貝塚" 釜山大學校博物館 1981

      2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창복, "한국식물도감" 향문사 1993

      4 이영호, "출토유물과 유전적 다양성으로 본 한반도의 두류재배 기원" 한국농업사학회 5 (5): 1-31, 2006

      5 김민구,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 경남발전연구원 2011

      6 안완식,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종자" 사계절출판사 1999

      7 이경아, "신석기시대 남강유역 식물자원 이용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회 (56) : 5-42, 2011

      8 이경아, "기흥-구갈 유적 출토 식물유체 분석, In 기흥 구갈 유적" 경기도문화재단 기전 문화재연구소 2003

      9 이수홍, "검단리식토기에 대한 일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10 안승모, "韓半島 靑銅器時代의 作物組成-種子遺體를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28 : 5-50, 2008

      1 鄭澄元, "金海 水佳里 貝塚" 釜山大學校博物館 1981

      2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창복, "한국식물도감" 향문사 1993

      4 이영호, "출토유물과 유전적 다양성으로 본 한반도의 두류재배 기원" 한국농업사학회 5 (5): 1-31, 2006

      5 김민구,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 경남발전연구원 2011

      6 안완식,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종자" 사계절출판사 1999

      7 이경아, "신석기시대 남강유역 식물자원 이용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회 (56) : 5-42, 2011

      8 이경아, "기흥-구갈 유적 출토 식물유체 분석, In 기흥 구갈 유적" 경기도문화재단 기전 문화재연구소 2003

      9 이수홍, "검단리식토기에 대한 일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10 안승모, "韓半島 靑銅器時代의 作物組成-種子遺體를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28 : 5-50, 2008

      11 河仁秀, "韓半島 南部地域 櫛文土器 硏究" 민족문화 2006

      12 창원대학교 박물관, "蔚山 茶雲洞 遺蹟 Ⅱ" 2006

      13 Yamaguchi H, "Wild and weed azuki beans in Japan" 46 (46): 384-394, 1992

      14 Kim M Y, "Whole-genome sequencing and intensive analysis of the undomesticated soybean (Glycine soja Sieb. and Zucc.) genome" 107 : 22032-22037, 2010

      15 Sasaki Y, "Utilization of plant resources reconstructed from plant macrofossil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mon period at the Shimo-yakebe site, Tokyo" 15 (15): 35-50, 2007

      16 Matsui A, "The quesiton of prehistoric plant husbandry during the Jomon period in Japan" 38 : 259-273, 2006

      17 Chang T-T, "The origins and early cultures of the cereal grains and food legumes, In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5-94, 1983

      18 Yang R-j,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in Liaoning Prov. of China and the artificial crossing between it and V. angularis var. angurais" 20 (20): 1994

      19 Kaga A, "The genetics of domestication of the azuki bean (Vigna angularis)" 178 (178): 1013-1016, 2008

      20 Wang X W, "The development of SSR markers by a new method in plants and their application to gene flow studies in azuki bean [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109 (109): 352-360, 2004

      21 Xu R-Q, "The Vigna angularis complex: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revealed by RAPD analysis, and their implications for in situ conservation and domestication" 47 (47): 123-134, 2000

      22 Ohashi H, "Systematic position of ‘Azuki’ (Vigna angularis (Willd.) Ohwi et Ohashi), In Ikushugaku Saikin no Shinpo" Keigaku Shuppan 73-76, 1980

      23 Verdcourt B, "Studies in the Leguminosae- Papilionoideae for the 'Florar of Tropical East Africa: IV'" 24 : 507-569, 1970

      24 Sakamoto S, "Species identification of 6,000-year-old beans from Sannai-Maruyama site, Aomori, Japan" 39 (39): 1-6, 2006

      25 Crawford G W, "Sakushu-Kotoni River plant remains, In Sakushu-Kotoni River Site: the Ezo-Haji Component Plant Remains" Hokkaido University 4-21, 1986

      26 Sato Y, "Reconsideration of "Jomon Agriculture"" Bensei-Shuppan 2002

      27 Zong X-x, "Preliminary study on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s between cultivated and wild adzuki bean (Vigna angularis var. angularis and var. nipponensis) by AFLP analysis" 1 (1): 175-183, 2003

      28 Crawford G W, "Late Neolithic plant remains from northern China: preliminary results from Liangchengzhen" 46 (46): 309-317, 2005

      29 Obata H, "Jomon Agriculture and Paleoethnobotany in Northeast Asia" Douseisya 2011

      30 Reimer P J, "Intcal09 and marine09 radiocarbon age calibration curves, 0-50,000 years cal BP" 51 (51): 1111-1150, 2009

      31 Obata H, "Impressions on pottery revealed cultivation of Glycine max subsp. max (soybean) in the late to latest Jomon preriods in Kyushu Island" 15 (15): 97-114, 2007

      32 Smartt J, "Grain Legu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3 Stuiver M, "Extended 14C database and revised CALIB radiocarbon calibration program" 35 : 215-230, 1993

      34 Crawford G W, "East Asian plant domestication, In Archaeology of Asia" Blackwell Publishing 77-95, 2006

      35 Zohary D,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6 Fuller D Q, "Contrasting patterns in crop domestication and domestication rates : recent archaeobotanical insights from the Old World" 100 (100): 903-924, 2007

      37 Kudo Y, "Characterization of plant remains on Jomon pottery excavated from the Shimoyakebe site, Tokyo, Japan" 158 : 1-26, 2010

      38 Lee G-A, "Changes in subsistence systems in southern Korea from the Chulmun to Mumun periods" University of Toronto 2003

      39 Stuiver M, "CALIB 6.0"

      40 Yamaguchi Nikuma, "Biometric analysis on classicficaiton of weed, wild and cultivated azuki beans" 41 : 55-62, 1996

      41 Terasawa K, "Basic study on the plant foods in Yayoi period-material for study of the early agriculture society" 5 : 1-29, 1981

      42 Lumpkin T A, "Azuki Bean: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 International 1994

      43 Lee G-A, "Archaeological soybean (Glycine max) in East Asia: does size matter?" 2011

      44 Yoshizaki M, "Ancient cultigen distribution" 35 : 2-13, 1992

      45 Tsuboi K, "An essay on the Jomon culture" 1 : 104-138, 1964

      46 Crawford G W, "Ainu ancestors and Asian agriculture" 14 : 201-213, 1987

      47 Crawford G W, "Agricultural origins in Korea" 77 (77): 87-95, 2003

      48 Yano A, "A test for molecular indentifcation of Japanese archaeological bean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widl and cultivated species of subgenus Ceratotropis (Genus Vigna, Papilionaceae) using sequence variation in two non-coding regions of the TRNL and TRNF genes" 58 (58): 135-146, 2005

      49 Fuller D Q, "A preliminary report of the survey archaeobotany of the upper Ying valley (Henan Province), In Archaeological Dsicovery and Research at the Wangchenggang Site in Dengfeng (2002-2005)" Elephant Press 916-95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