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래형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개념 설계(conceptual design) 단계에서의 효과적인 평가 방법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현재 사용자가 경험하지 못한 미래형 제품설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99880
2006
Korean
530
학술저널
40-48(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래형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개념 설계(conceptual design) 단계에서의 효과적인 평가 방법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현재 사용자가 경험하지 못한 미래형 제품설계...
본 연구는 미래형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개념 설계(conceptual design) 단계에서의 효과적인 평가 방법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현재 사용자가 경험하지 못한 미래형 제품설계를 위한 개념 설계 내용이, 사용자의 잠재적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과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디자인 컨셉 평가 프레임웍은 3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Phase 1 에서는 제품의 미래 사용환경을 예측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Use Case 를 도출하고 Use Case 에 대한 과업 분석을 수행, 사용자의 수행 과업을 파악한다. Phase 2 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수행 과업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기술 지도(Technology Roadmap)로서 전개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컨셉을 구현하기 위해 현재 활용 가능한 요소 기술과 추가로 개발이 필요한 기술 대안을 파악한다. Phase 3 에서는 기술 지도를 통해 파악한 현재의 요소 기술 및 미래의 기술 대안과 사용자 요구사항간의 연관관계를 분석, 제품 개념 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설계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평가항목을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제품의 디자인 컨셉 평가방법은 CSCW(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기반 시스템의 실감 사용자 인터페이스(tangible user interface) 개발 사례를 통해 검증할 예정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Ankle Foot Orthosis(AFO) 착용 시 발목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른 발/발목 복합체의 Roll-Over 특성
T&T olfactometer를 활용한 한국 노인의 후각 역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