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원과 재생의 문법— 톨스토이의 『부활』을 매개로 한 「제야」와 『어떤 여자』 읽기 = Grammar of Redemption and Regeneration: Reading of New Year’s Eve and A Certain Woman through Leo Tolstoy’s Resurre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literary relevance and thematic aspects of Yeom Sang-seop’s New Year’s Eve and Arishima Takeo’s A Certain Woman through Leo Tolstoy’s Resurrection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two works. A female character in A Certain Woman answers her fiance’s letter in New Year’s Eve and in New Year’s Eve impressed by her husband’s letter, a female character makes a will. The two letters written by the men reveal their forgiveness, love, and determination to challenge the world for the sake of their women.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relevance between the two works becomes visible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theme of sin, atonement, redemption or regeneration.
      The main difference in the light of sin is that while Yoko’s sin in A Certain Woman is linked closely with Christian God, in New Year’s Eve sin is thought in terms of convention and morality. Moreover, the difference in character’s inner side and perception leads to distinctive aspects of redemption. In A Certain Woman, the pursuit of redemption is revealed paradoxically through the struggle and pain Yoko the opponent and traitor goes through. The life of Yoko demonstrates self-existence of a human being in his consciousness of opposition to God. In comparison, Jeong-in Choi, as a result of her awakened moral conscience and critical intellect, makes her own decision yearning for a new life and time and experiences psychological redemption. Furthermore, in New Year’s Eve another psychological turn through her husband is suggested. New Year’s Eve describes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present and desire for the future as well as the awakened attitude towards a true life.
      Reading a narrative of redemption and regeneration paradoxically has us encounter the characters’ witnessing and criticizing the evil in the society and the world in which they are situated. Such narrative can be summed up as a story promising the advent of time in the wake of the night when our mind awakes.
      번역하기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literary relevance and thematic aspects of Yeom Sang-seop’s New Year’s Eve and Arishima Takeo’s A Certain Woman through Leo Tolstoy’s Resurrection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two works. A female character in A...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literary relevance and thematic aspects of Yeom Sang-seop’s New Year’s Eve and Arishima Takeo’s A Certain Woman through Leo Tolstoy’s Resurrection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two works. A female character in A Certain Woman answers her fiance’s letter in New Year’s Eve and in New Year’s Eve impressed by her husband’s letter, a female character makes a will. The two letters written by the men reveal their forgiveness, love, and determination to challenge the world for the sake of their women.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relevance between the two works becomes visible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theme of sin, atonement, redemption or regeneration.
      The main difference in the light of sin is that while Yoko’s sin in A Certain Woman is linked closely with Christian God, in New Year’s Eve sin is thought in terms of convention and morality. Moreover, the difference in character’s inner side and perception leads to distinctive aspects of redemption. In A Certain Woman, the pursuit of redemption is revealed paradoxically through the struggle and pain Yoko the opponent and traitor goes through. The life of Yoko demonstrates self-existence of a human being in his consciousness of opposition to God. In comparison, Jeong-in Choi, as a result of her awakened moral conscience and critical intellect, makes her own decision yearning for a new life and time and experiences psychological redemption. Furthermore, in New Year’s Eve another psychological turn through her husband is suggested. New Year’s Eve describes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present and desire for the future as well as the awakened attitude towards a true life.
      Reading a narrative of redemption and regeneration paradoxically has us encounter the characters’ witnessing and criticizing the evil in the society and the world in which they are situated. Such narrative can be summed up as a story promising the advent of time in the wake of the night when our mind awak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염상섭의 「제야」와 아리시마 다케오의 『어떤 여자』의 문학적 관련성 및 주제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톨스토이의 『부활』을 매개로하여 두 작품의 대비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어떤 여자』에서 여성 인물은 제야에 약혼자의 편지를 읽고 답신을 쓰며, 「제야」에서 여성 인물은남편의 편지에 감응하여 마찬가지로 제야의 시간에 유서를 쓴다. 그리고 이들이 읽는 남성의 편지에는 동일하게 용서와 사랑, 여성을 위해세상과 맞서 싸워나가겠다는 결심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두작품을 죄, 속죄, 구원 혹은 재생의 주제를 중심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그 의미가 드러난다.
      ‘죄’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떤 여자』에서 요코의 죄의 문제가 기독교의 신과 강하게 결부된 양상을 보여준다면, 「제야」에서는 관습적, 도덕적 차원에서 죄의 문제가 사유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그리고인물의 내면과 인식의 차이는 각기 다른 구원의 양상으로 이어진다.
      『어떤 여자』에서 구원의 추구는 기독교의 신에 대한 대립자, 반역자로서의 요코가 보여주는 투쟁과 고통을 통해 역설적으로 드러난다. 요코의 삶은 신 혹은 기독교에 대한 대항의식 속에서 인간적 자아의 존립을보여준다. 이에 비해 최정인은 도덕적 양심과 비판적 지성이 일깨워진결과로서 스스로 새로운 생명과 시간을 염원하는 선택을 하며, 정신적재생의 차원을 경험하게 된다. 더욱이 「제야」에는 남편을 통한 또 하나의 정신적 전환이 제시되어 있다. 「제야」는 참된 삶의 자세에 대한 각성과 함께 현재까지의 시간에 대한 윤리적 책임감과 미래의 시간에 대한 염원을 보여준다.
      구원과 재생의 서사를 읽는 일은 역설적으로 인물을 포함하는 사회와 세계의 죄악을 목도하는 가운데 그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만나는일임이 확인된다. 구원과 재생의 서사는 우리의 정신이 깨어나는 밤 이후, 도래하는 시간을 기약하는 이야기로 요약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염상섭의 「제야」와 아리시마 다케오의 『어떤 여자』의 문학적 관련성 및 주제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톨스토이의 『부활』을 매개로하여 두 작품의 대비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

      이 글은 염상섭의 「제야」와 아리시마 다케오의 『어떤 여자』의 문학적 관련성 및 주제적 측면에 관심을 두고, 톨스토이의 『부활』을 매개로하여 두 작품의 대비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어떤 여자』에서 여성 인물은 제야에 약혼자의 편지를 읽고 답신을 쓰며, 「제야」에서 여성 인물은남편의 편지에 감응하여 마찬가지로 제야의 시간에 유서를 쓴다. 그리고 이들이 읽는 남성의 편지에는 동일하게 용서와 사랑, 여성을 위해세상과 맞서 싸워나가겠다는 결심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두작품을 죄, 속죄, 구원 혹은 재생의 주제를 중심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그 의미가 드러난다.
      ‘죄’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떤 여자』에서 요코의 죄의 문제가 기독교의 신과 강하게 결부된 양상을 보여준다면, 「제야」에서는 관습적, 도덕적 차원에서 죄의 문제가 사유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그리고인물의 내면과 인식의 차이는 각기 다른 구원의 양상으로 이어진다.
      『어떤 여자』에서 구원의 추구는 기독교의 신에 대한 대립자, 반역자로서의 요코가 보여주는 투쟁과 고통을 통해 역설적으로 드러난다. 요코의 삶은 신 혹은 기독교에 대한 대항의식 속에서 인간적 자아의 존립을보여준다. 이에 비해 최정인은 도덕적 양심과 비판적 지성이 일깨워진결과로서 스스로 새로운 생명과 시간을 염원하는 선택을 하며, 정신적재생의 차원을 경험하게 된다. 더욱이 「제야」에는 남편을 통한 또 하나의 정신적 전환이 제시되어 있다. 「제야」는 참된 삶의 자세에 대한 각성과 함께 현재까지의 시간에 대한 윤리적 책임감과 미래의 시간에 대한 염원을 보여준다.
      구원과 재생의 서사를 읽는 일은 역설적으로 인물을 포함하는 사회와 세계의 죄악을 목도하는 가운데 그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만나는일임이 확인된다. 구원과 재생의 서사는 우리의 정신이 깨어나는 밤 이후, 도래하는 시간을 기약하는 이야기로 요약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리수, "한일 근대 서간체소설을 통해 본 신여성의 자아연소 —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의 『돌에 짓눌린 잡초(石にひしがれた雑草)』와염상섭의 『除夜』" 한국일본학회 50 : 2002

      2 도스토예프스키,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민음사 2007

      3 김주현, "자유연애의 이상과 파국 -염상섭의 「제야」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6) : 189-217, 2009

      4 김승철, "일본문학 속의 기독교 9" 제이앤씨 2013

      5 우성아, "일본문학 속의 기독교 2" 제이앤씨 2004

      6 정명환, "염상섭전집 별권 — 염상섭 문학연구" 민음사 1987

      7 김우창, "염상섭전집 9" 민음사 1987

      8 강인숙, "염상섭의 작중인물 연구 — 자연주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35 : 1991

      9 장두영, "염상섭의 『만세전』에 나타난 ‘개성’과 ‘생활’의 의미 -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郞)의 『아낌없이 사랑은 빼앗는다(惜みなく愛は奪ふ)-』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34 : 351-374, 2011

      10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1 류리수, "한일 근대 서간체소설을 통해 본 신여성의 자아연소 —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의 『돌에 짓눌린 잡초(石にひしがれた雑草)』와염상섭의 『除夜』" 한국일본학회 50 : 2002

      2 도스토예프스키,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민음사 2007

      3 김주현, "자유연애의 이상과 파국 -염상섭의 「제야」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6) : 189-217, 2009

      4 김승철, "일본문학 속의 기독교 9" 제이앤씨 2013

      5 우성아, "일본문학 속의 기독교 2" 제이앤씨 2004

      6 정명환, "염상섭전집 별권 — 염상섭 문학연구" 민음사 1987

      7 김우창, "염상섭전집 9" 민음사 1987

      8 강인숙, "염상섭의 작중인물 연구 — 자연주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35 : 1991

      9 장두영, "염상섭의 『만세전』에 나타난 ‘개성’과 ‘생활’의 의미 -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郞)의 『아낌없이 사랑은 빼앗는다(惜みなく愛は奪ふ)-』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34 : 351-374, 2011

      10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11 김희정, "염상섭에 있어서의 아리시마 다케오 수용-아리시마 다케오의 『태어나는 고뇌』와의 교감을 중심으로-" 일본어문학회 (65) : 81-102, 2014

      12 김경수, "염상섭과 현대소설의 형성" 일조각 2008

      13 유숙자, "염상섭과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 — 초기 3부작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20 : 1995

      14 우정권, "염상섭 초기소설에 나타난 글쓰기의 의미" 우리말글학회 23 : 2001

      15 이종호, "염상섭 문학의 대안근대성 연구" 성균관대 2017

      16 한기형, "염상섭 문장 전집 1" 소명출판 2013

      17 아리시마 다케오, "어떤 여자" 문학과지성사 2009

      18 류리수,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의 『宣言』과 염상섭의 『너희들은무엇을 어덧느냐』 — 신여성의 자아각성을 중심으로" 한국일본학회 57 : 2003

      19 류리수, "아리시마 타케오(有島武郞)와 염상섭 작품에 나타난 근대인의고뇌" 한국일본학회 48 : 2001

      20 아리시마 다케오, "아낌없이 사랑은 빼앗는다" 어문학사 2005

      21 김명인, "비극적 자아의 형성과 소멸, 그 이후 : 1920년대초반염상섭소설세계의전환과관련하여" 민족문학사학회 (28) : 276-305, 2005

      22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부활" 작가정신 2008

      23 염상섭, "만세전" 문학과지성사 2010

      24 빅토르 쉬클롭스키, "레프 톨스토이 2" 나남 2009

      25 염상섭, "두 파산" 문학과지성사 2006

      26 柳富子, "有島武郞硏究叢書 第九集 — 有島武郞と西洋" 石文書院 1996

      27 植栗彌, "有島武郞硏究叢書 第七集 — 有島武郞とキリスト敎" 石文書院 1996

      28 佐藤泰正, "有島武郞硏究叢書 第七集 — 有島武郞とキリスト敎" 石文書院 1996

      29 生井知子, "有島武郞硏究叢書 第2集 — 有島武郞の作品" 石文書院 1996

      30 太田哲男, "有島武郞とキリスト敎" 櫻美林大學 20 : 2009

      31 江頭太助, "有島武郞と『復活』劇 — 『或る女』への道程(一)" 九州大學國語國文學會 52/53 : 1982

      32 신지숙, "有島武郞「或る女」論?葉子の罪意識を中心に?" 일본연구소 (25) : 161-185, 2005

      33 龜井俊介, "有島武郞 — 世間に対して真剣勝負をし続けて" ミネルヴァ書房 2013

      34 有島武郞, "或る女" 新潮文庫 2013

      35 권정희, "「태어나는 고뇌 生れ出づる悩み」와의 비교로 읽는 「암야(闇夜)」" 외국문학연구소 (60) : 9-30, 2015

      36 박수영, "「제야」와 『어떤 여자』에 나타난 신여성의 성 서사전략으로서의 매체 활용 양상 비교" 외국문학연구소 (43) : 117-146, 2011

      37 최인숙, "‘노라’를 바라보는 염상섭과 루쉰의 시선 - 염상섭의 「제야」와 루쉰의 「傷逝」를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50) : 207-237, 2010

      38 Бахтин, М. М., "Лев Толстой: Рro et contra. Личность итворчество Льва Толстого в оценке русских мыслителей и исследователей, Антология" Русского Христианского гуманитарного института 2000

      39 Knowles, A. V., "The Critical Heritage Leo Tolstoy" Routledge 1978

      40 Mclean, Hugh, "The Cambridge Companion to Tolsto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1 김미지, "<인형의 집> '노라'의 수용 방식과 소설적 변주 양상-1920-30년대 소설과 평문에 원용된 '노라'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4) : 173-19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