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어정의』에 나타난 허사 설명의 특징 — 『경전석사』 인용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Focusing on Quotes of Jingzhuanshic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A comprehensive annotation of the Analects) by way of quoting Jingzhuanshici (經傳釋詞, An explanation of function words in Chinese classics), and to discuss its characteristics.
      There are many system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For example, Lunyuzhengyi (論語正義) sometimes quotes Jingzhuanshici instead of explaining function words, and sometimes quotes Jingzhuanshici after explaining function words in order to present the evidence.
      The characteristics of Lunyuzhengyi’s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are as follows: it discusses many aspects of function words by presenting many examples, and adds its own opinion for further explanations. This shows that Lunyuzhengyi (論語正義) is located in a comprehensive annotation of the Analect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A comprehensive annotation of the Analects) by way of quoting Jingzhuanshici (經傳釋詞, An explanation of function words in Chinese classic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A comprehensive annotation of the Analects) by way of quoting Jingzhuanshici (經傳釋詞, An explanation of function words in Chinese classics), and to discuss its characteristics.
      There are many systems of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in Lunyuzhengyi (論語正義). For example, Lunyuzhengyi (論語正義) sometimes quotes Jingzhuanshici instead of explaining function words, and sometimes quotes Jingzhuanshici after explaining function words in order to present the evidence.
      The characteristics of Lunyuzhengyi’s annotations of function words are as follows: it discusses many aspects of function words by presenting many examples, and adds its own opinion for further explanations. This shows that Lunyuzhengyi (論語正義) is located in a comprehensive annotation of the Anal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논어정의』(論語正義)에 나타난 허사 훈석에 대해 『경전석사』(經傳釋詞)의 인용 상황 및 기타 허사 훈석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그 특징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어정의』에서는 『경전석사』를 직접 인용함으로써 허사에 대한 설명을 대신하기도 하고, 허사에 대해 설명한 후 『경전석사』로 방증, 여러 다른 의견 중 하나로 제시하기도 하는 등의 다양한 인용방식을 드러냈다. 허사 인용에 있어서의특징은 다음과 같다. 『논어』 내에 나타나는 허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풀이를 폭넓은 방증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 논의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더하여 『논어』에서의 허사에 대한 한 단계 발전된 설명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방식은 『논어』에 대한 소증(疏證)으로서의 『논어정의』가 가지는 학문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본 논문에서는 파악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논어정의』(論語正義)에 나타난 허사 훈석에 대해 『경전석사』(經傳釋詞)의 인용 상황 및 기타 허사 훈석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그 특징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어...

      본 논문은 『논어정의』(論語正義)에 나타난 허사 훈석에 대해 『경전석사』(經傳釋詞)의 인용 상황 및 기타 허사 훈석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그 특징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어정의』에서는 『경전석사』를 직접 인용함으로써 허사에 대한 설명을 대신하기도 하고, 허사에 대해 설명한 후 『경전석사』로 방증, 여러 다른 의견 중 하나로 제시하기도 하는 등의 다양한 인용방식을 드러냈다. 허사 인용에 있어서의특징은 다음과 같다. 『논어』 내에 나타나는 허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풀이를 폭넓은 방증 자료를 통해 제시하고 논의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더하여 『논어』에서의 허사에 대한 한 단계 발전된 설명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방식은 『논어』에 대한 소증(疏證)으로서의 『논어정의』가 가지는 학문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본 논문에서는 파악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혜정, "주희의 『논어집주』와 유보남의 『논어정의』에 나타난 '인'의 해석학적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郭錫良, "고대중국어" 역락 2016

      3 丁度, "集韻" 新興書局 1959

      4 劉寶楠, "論語正義" 中華書局 1990

      5 倪志僩, "論孟虛字集釋" 臺灣商務印書館 1981

      6 陸曉華, "論劉寶楠『論語正義』的訓詁方法及特點" 19 (19): 80-81, 2001

      7 許愼,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1

      8 袁仁林, "虛字說" 中華書局 1989

      9 王引之, "經傳釋詞" 江蘇古籍出版社 2000

      10 李學勤, "爾雅注疏" 北京大學出版社 2000

      1 윤혜정, "주희의 『논어집주』와 유보남의 『논어정의』에 나타난 '인'의 해석학적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郭錫良, "고대중국어" 역락 2016

      3 丁度, "集韻" 新興書局 1959

      4 劉寶楠, "論語正義" 中華書局 1990

      5 倪志僩, "論孟虛字集釋" 臺灣商務印書館 1981

      6 陸曉華, "論劉寶楠『論語正義』的訓詁方法及特點" 19 (19): 80-81, 2001

      7 許愼,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1

      8 袁仁林, "虛字說" 中華書局 1989

      9 王引之, "經傳釋詞" 江蘇古籍出版社 2000

      10 李學勤, "爾雅注疏" 北京大學出版社 2000

      11 李學勤, "春秋公羊傳" 北京大學出版社 2000

      12 康宇, "從『論語正義』看乾嘉學者對“實學”解經方法論的變新" 2018 (2018): 47-52, 2018

      13 王念孫, "廣雅疏證" 江蘇古籍出版社 2000

      14 陳彭年, "宋本廣韻" 黎明文化事業公司 1976

      15 閻若璩, "四書釋地" 臺灣商務印書館 1968

      16 朱熹, "四書章句集注" 中華書局 1983

      17 盧以緯, "助語辭集注" 中華書局 1988

      18 劉淇, "助字辨略" 中華書局 1954

      19 蕭剛, "劉寶楠『論語正義』訓詁研究" 蘭州大學 2008

      20 신원철, "『경전석사』에 나타난 인성구의 연구" 역락 2014

      21 龔霽芃, "『論語正義』的學術成就" 27 (27): 66-72,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