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청대 학자들은 고증학이라는 학문방법을 통해 고대의 문명과 사회의 실상을 철저하게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특히 18세기를 거치면서 이러한 학문방법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성과물의 축적...
청대 학자들은 고증학이라는 학문방법을 통해 고대의 문명과 사회의 실상을 철저하게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특히 18세기를 거치면서 이러한 학문방법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성과물의 축적은 학술의 비약적발전을 가져온다. 이러한 배경에서 청대 학자들은 경전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면서 본격적으로 기존 경전 텍스트의 혼란과 한계에 대하여다양한 문제를 제기한다.
고염무 이래 청대 학자들은 기존의 지배적인 경전 해석에 대하여‘찰기(札記)’와 같은 글쓰기 형식을 이용하여 국지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쌓아왔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이렇게 축적된 학술적 성과에 기반하여 기존의 경전 해석의 틀을 근본적으로 해체하고 새로운 관점과 방법으로 재구축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그러한 시도의 대표적인 성과가 바로 유보남의 『논어정의』이다.
청대 학자들이 기존 경전 주석에 대해 품었던 불만 중 하나는 기존의 주석들이 서로 모순적이기까지 한 여러 기술들을 별다른 기준과 원칙을 세우지 않은 채 번잡하고 조리 없이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보남은 ‘장편’(長編)이라는 집필방식을 택한다.
장편이란 경전의 해당 부분과 관련한 여러 가지 연구 성과를 최대한수집하여 정리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거대한 자료집을 바탕으로 다시조리에 맞추어 해석의 틀을 구축한 결과가 바로 『논어정의』의 집필 방법이자 청대 고증학의 기본적인 학술 방법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陳鴻森, "劉氏『論語正義』成書考" (3) : 1994
2 付姝, "劉寶楠『論語正義⋅爲政』引書考論" (1) : 2014
3 劉寶楠, "論語正義" 中華書局 1990
4 劉寶楠, "論語正義" 文求堂 1866
5 장펑, "자치통감을 읽다" 378 2016
6 김효신, "유월의 경전 주석에 대한 연구 : 《논어평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김효신, "단고논쟁과 청대 교감이론의 형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8 李慈銘, "越縵堂日記" 廣陵書社 2004
9 繆荃孫, "續碑傳集" 江楚編譯書局 1910
10 臺灣商務印書館, "續修四庫全書提要" 1971
1 陳鴻森, "劉氏『論語正義』成書考" (3) : 1994
2 付姝, "劉寶楠『論語正義⋅爲政』引書考論" (1) : 2014
3 劉寶楠, "論語正義" 中華書局 1990
4 劉寶楠, "論語正義" 文求堂 1866
5 장펑, "자치통감을 읽다" 378 2016
6 김효신, "유월의 경전 주석에 대한 연구 : 《논어평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김효신, "단고논쟁과 청대 교감이론의 형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8 李慈銘, "越縵堂日記" 廣陵書社 2004
9 繆荃孫, "續碑傳集" 江楚編譯書局 1910
10 臺灣商務印書館, "續修四庫全書提要" 1971
11 上海中華書局, "淸史列傳" 1928
12 趙爾巽, "淸史稿" 中華書局 1974
13 張舜徽, "淸儒學記, 張舜徽集" 華中師範大學出版社 2005
14 徐世昌, "淸儒學案" 中華書局 2008
15 張舜徽, "淸代揚州學記" 廣陵書社 2004
16 馮乾, "淸代揚州學派簡論" (2) : 2005
17 梁啓超, "淸代學術槪論" 中華書局 2010
18 顧炎武, "日知錄集釋" 上海古籍出版社 2006
19 劉師培, "左盦外集, 劉申叔遺書" 鳳凰出版社 2014
20 焦循, "孟子正義" 中華書局 1987
21 黃承吉, "夢陔堂文集" 文海出版社 1967
22 周予同, "周予同經學史論" 上海人民出版社 2010
23 龔霽芃, "『論語正義』的學術成就" 3 : 3-3, 2006
24 鄭敏芝, "『論語正義⋅學而』引書蠡測" 26 (26): 2011
『논어정의』에 나타난 허사 설명의 특징 — 『경전석사』 인용을 중심으로
구원과 재생의 문법— 톨스토이의 『부활』을 매개로 한 「제야」와 『어떤 여자』 읽기
재난의 상상력과 정동의 미적 정치— 후쿠시마 이후, 환동해 시민사회의 변화에 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
2015-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2 | 1.317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