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지>
- 1. 들어가며
- 2. 언어적 차이로 차별 짓게 하는 관동대지진
- 3. 소문과 유언비어 생산의 메커니즘을 통해 보는 관동대지진
- 4. 관동대지진 이후 변화된 사회문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05537
2024
Korean
언어적 차별 ; 관동대지진 ; 소문 ; 역사사회언어학 ; 조선인 ; Linguistic Discrimination ; Kanto Earthquake ; Rumor ; Historical sociolinguistics ; Josenjin
913
KCI등재
학술저널
21-3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100주년에 재검토하는 일본 간토(関東)대지진 시의 조선인학살 사건 ― 일본 정부기관과 사법부의 책임을 중심으로 ―
시베리아출병이라는 트라우마가 가져다준 ‘인재’ ―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전사 ―
ジェノサイドの残響を聞く ― 現代日本におけるヘイト情動の浮上と関東大震災の記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