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석 시 『적경(寂境)』의 해석 연구 =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Baek Seok`s Poem“Jeok-kyeong(寂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1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백석시를 바르게 읽는 한 과정으로서 작품 「寂境」의 해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했다. 「적경」은 백석의 작품들 중에서도 그 길이가 짧고 내용도 그리복잡하지 않은 ...

      본고는 백석시를 바르게 읽는 한 과정으로서 작품 「寂境」의 해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했다. 「적경」은 백석의 작품들 중에서도 그 길이가 짧고 내용도 그리복잡하지 않은 경우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연구자들마다 크고 작은 이견이 제시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의 하나이다.「적경」에 대한 다양한 해석상의 차이는 대략 세 가지 정도의 문제점들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즉 ‘마음’인지 ‘마을’인지의 문제, ‘외딸은집’을 어떻게 볼것이냐의 문제, 그리고 제목과 관련하여 작품 전체의 정서나 분위기에 대한 해석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의 연장선상에서 작품의 화자가 누구인지, 배경으로 제시된 ‘人家멀은山중’이 가리키고 있는 바가 어디인지 등도 분석의 필요성을 말해주는 부분이다. 무엇보다도 연구자마다 가장 해석상의 차이를 노정하고 있는 3연 전체에 대한 정밀한 독해와 분석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적경」에 나오는 “외딸은집”이 기존의 해석과 달리 바로 산모집이라는점을 밝히고 있다. 산모집이자 외딴집인 그 집은 또한 “人家멀은山중”에 홀로 떨어져 있는 집이기도 하다. 그러니 그 집은 그 마음마저 또한 외딴집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집에서 늙은 홀아비인 시아버지가 미역국을 끓이고 있는데, 이 미역국은 다음행에 나오는 ‘산국’과 별개의 국이 아니라, 같은 국에 대한 다른 표현으로 변주 반복되고 있는 바로 그 국이다. 인가 먼 산중의 외딴집에서 출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산모에게 먹일 산국으로서의 미역국을 늙은 홀아비인 시아버지가 끓이고 있는 딱한 정황이 제시된다. 그래서 마음마저 외딴집이지만, 그렇게 마음마저 외딴집에서조차 출산은 있고 그래서 생명은 면면히 이어지고 있는, 눈 오는 아침의 이러한 풍경의 고요가 바로 백석이 포착한 ‘적경’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correct interpretation of Baek Seok``s Poem “Jeok-kyeong(寂境)”. This poem involves a lot of controversial issues, especially on interpretative problem.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correct interpretation of Baek Seok``s Poem “Jeok-kyeong(寂境)”. This poem involves a lot of controversial issues, especially on interpretative problem.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Baek Seok``s collection of poems Saseum includes amendment and revision in the publishing process, but it is not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revision of the ‘ma-eum’(‘마음’: mind) in the last line of the poem to the‘ma-eul’(‘마을’: village) in the text “Jeok-kyeong(寂境)”. And to make a long story short, ‘ma-eum’(‘마음’) is not a misprint of ‘ma-eul’(‘마을’). Especially, this poem has strong possibility of limiting interpretational diversity and richness of its text. The title of the poem, “Jeok-kyeong(寂境)”, implies a lonely area or boundary. It indicates that the isolated house where the first son was born is located in a lonely area, and implies that the house is not in a village. This isolated house is located within an inhabited mountain place that was deep in the backwoods and so was rarely visited by anyone. This phrase in the second line of the poem is in accord with the title. The persona of this poem, the hidden poetic speaker makes a close observation of the isolated house and describes the main points, such as the fact that the first-son-born house, but the husband of the young wife does not appear at the surface of the poem. The young wife``s father-in-law makes seaweed soup for his daughter-in-law. In Korea, it is a tradition to eat seaweed soup immediately after hers delivery for maternity management. Therefore the seaweed soup(‘미억국’) and delivery soup(‘산국’) in the last verse of this poem is the same one soup``s another desig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백석,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 2007

      2 전정구, "백석의 「寂境」 본문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58) : 397 ~ 418 , 2014

      3 이숭원, "백석을 만나다" 태학사 , 2008

      4 고형진, "백석시의 표현 형태에 나타난 조사의 활용 양상" 한국문예비평연구 (27) : 109 ~ 130 , 2008

      5 고형진, "백석시의 물명고" 고려대학교 출판부 , 2015

      6 고형진, "백석시 바로 읽기" 현대문학 , 2006

      7 오형엽, "백석 시의 반복과 변주 연구" 한국언어문화 (53) : 305 ~ 332 , 2014

      8 이경수, "백석 시의 반복 기법 연구" 상허학보 7 , 2001

      9 강연호, "백석 시의 미적 형식과 구조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17) : 5 ~ 133 , 2002

      10 이경수, "백석 시 전집 출간 및 어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근대문학연구 (27) : 67 ~ 97 , 2013

      1 백석,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 2007

      2 전정구, "백석의 「寂境」 본문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58) : 397 ~ 418 , 2014

      3 이숭원, "백석을 만나다" 태학사 , 2008

      4 고형진, "백석시의 표현 형태에 나타난 조사의 활용 양상" 한국문예비평연구 (27) : 109 ~ 130 , 2008

      5 고형진, "백석시의 물명고" 고려대학교 출판부 , 2015

      6 고형진, "백석시 바로 읽기" 현대문학 , 2006

      7 오형엽, "백석 시의 반복과 변주 연구" 한국언어문화 (53) : 305 ~ 332 , 2014

      8 이경수, "백석 시의 반복 기법 연구" 상허학보 7 , 2001

      9 강연호, "백석 시의 미적 형식과 구조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17) : 5 ~ 133 , 2002

      10 이경수, "백석 시 전집 출간 및 어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근대문학연구 (27) : 67 ~ 97 , 2013

      11 전정구, "백석 시 작품의 원전 비평적 고찰" 비평문학 (38) : 461 ~ 479 , 2010

      12 김문주, "백석 문학 연구의 현황과 문학사적 균열의 지점" 비평문학 (45) : 81 ~ 109 , 2012

      13 현대비평연구회, "다시 읽는 백석시" 소명출판 ,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