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n Trajectori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2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유형을 파악하고 학습자의 학업관련, 부모관련, 교사관련 요인이 영어 학업성취도의 각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방법 분석 가능한 가장 최근의 데이터인 한국교육종단연구 2015, 2016, 2017년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변화 유형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 및 주요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 유형화를 위한 모형적합도 지수 비교 결과,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 유형은 4집단(고수준 감소, 중수준 유지, 고수준 증가, 저수준 유지)로 분류되었다. 관련 요인 중에서 부모의 학업적 지지와 개별화 수업,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고수준 증가 집단과 고수준 감소집단에서 두드러진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학생 영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유형을 토대로 고수준 감소 집단에 속한 학생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통해 효과적인 영어교육 방안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유형을 파악하고 학습자의 학업관련, 부모관련, 교사관련 요인이 영어 학업성취도의 각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유형을 파악하고 학습자의 학업관련, 부모관련, 교사관련 요인이 영어 학업성취도의 각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방법 분석 가능한 가장 최근의 데이터인 한국교육종단연구 2015, 2016, 2017년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변화 유형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 및 주요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 유형화를 위한 모형적합도 지수 비교 결과, 영어 학업성취도의 변화 유형은 4집단(고수준 감소, 중수준 유지, 고수준 증가, 저수준 유지)로 분류되었다. 관련 요인 중에서 부모의 학업적 지지와 개별화 수업,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고수준 증가 집단과 고수준 감소집단에서 두드러진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학생 영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유형을 토대로 고수준 감소 집단에 속한 학생들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통해 효과적인 영어교육 방안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growth trajectorie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EAA)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academic, parent-related, and teacher-related factors influence each trajectory. Methods Growth mixture model (GMM) was employed to demonstrate the growth trajectories by analyzing most recent available data collected in 2015-2017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ccordingly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in variables depending on the growth trajectorie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four-class GMM had the best model fit and the most precise class enumeration. The four classes were (1) high-achieving and declining, (2) moderate-achieving and increasing, (3) high-achieving and increasing and, (4) low-achieving and slightly increasing. Parental academic support,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were the notable variables that students in high-achieving and increasing class reported positively than those in high-achieving and declining clas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longitudinal growth trajectories of EAA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dagog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growth trajectorie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EAA)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academic, parent-related, and teacher-related factors influence each trajector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growth trajectorie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EAA)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academic, parent-related, and teacher-related factors influence each trajectory. Methods Growth mixture model (GMM) was employed to demonstrate the growth trajectories by analyzing most recent available data collected in 2015-2017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ccordingly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in variables depending on the growth trajectorie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four-class GMM had the best model fit and the most precise class enumeration. The four classes were (1) high-achieving and declining, (2) moderate-achieving and increasing, (3) high-achieving and increasing and, (4) low-achieving and slightly increasing. Parental academic support,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were the notable variables that students in high-achieving and increasing class reported positively than those in high-achieving and declining clas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longitudinal growth trajectories of EAA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dagog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