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手少陰心經 五輸穴 穴位別 鍼刺가 高血壓 白鼠의 血壓에 미치는 影響 =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in Five Transport Points of the Heart Meridian on the Blood Pressure of Hypertensive Rats Induced by L-NA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51441

      • 저자
      • 발행사항

        나주 :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신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침구과학 , 2013. 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48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조명래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신대학교 학술문화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혈압은 동맥 내의 압력으로 동맥 내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수축기에 전달된 에너지에 의하여 생성되며 대동맥의 탄력도 및 말초의 저항, 반사파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혈압은 말초에 혈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압력이 증가하면 혈관벽에 손상을 야기하여 동맥경화를 촉진하거나 혈관벽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최윤식 & 이영우, 2010). 혈압상승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혈압에 비례하여 발현되며, 고혈압의 기준은 혈압이 >140/90 ㎜Hg으로 지속될 때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삼는다(안지현, 2010).
      고혈압 환자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두통, 현기증, 피로감, 심계항진 등이 있고, 고혈압성 혈관계 질환으로 비출혈, 시력의 혼탁, 전신쇠약,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증상이 있으나, 일반적인 중등도 고혈압까지는 증상이 없다(의학교육연수원, 1999).
      고혈압 치료의 목적은 혈압 강하를 통해 뇌졸중(stroke), 심장동맥성 심질환(coronary heart disease),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등의 발병과 악화를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는데 있으며 임상적으로도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을 통해 혈압 강하 작용에 이용하고 있다(Welton et al., 2002). 고혈압의 치료방법에는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요법이 있다. 생활습관 개선 방법에는 금연, 절주, 운동, 체중감량, 저염식 등이 있으며(최윤식 & 이영우, 2010), 약물요법에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 칼슘 길항제(calcium antagonists), 이뇨제(diuretics), 베타 차단제(β-blockers) 등이 있다(Neal et al., 2000).
      한의학에서는 고혈압을 “頭痛”, “眩暈”, “中風” 등의 病證 범주에 두었고, 肝火亢盛, 痰濁上擾, 陰虛陽亢, 陰陽兩虛 등으로 변증하여 침, 뜸, 한약 등을 이용하여 전신적인 陰陽과 氣血의 조화를 도모하여 혈압을 조절하는데 활용되고 있다(康鎖彬, 1995).
      『素問』「痿論」의 “心主身之血脈(王琦 et al., 1981)”, 「五藏生成篇」의 “諸血者, 皆屬于心(王琦 et al., 1981)”, 「脈要精微論」의 “脈者, 血之府也(王琦 et al., 1981)” 등을 통해서 한의학에서 心과 순환기 계통의 연관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十二經脈에서 手少陰心經은 주로 心·胸疾患 및 循環系病症, 神經精神疾患을 치료하고, 心經이 지나는 부위의 病症인 心痛, 咽乾, 眼黃, 脇痛, 手臂內側痛, 手心發熱 등을 치료 한다(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2012(이하 “경혈학, 2012a”)).
      五輸穴은 十二經脈의 肘膝關節 이하에 있는 중요한 經穴로서, 井·滎·兪·經·合의 다섯 經穴을 말하며(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2012(이하 “경혈학, 2012b”)), 임상에서 사용하는 주요 穴位이다. 五輸穴의 五行 속성과 五行의 相生相克 이론을 결합한 다양한 침법들이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경혈학, 2012b). 최근 고혈압의 침치료에 대한 연구로는 兎絲子(유윤조 et al., 1998), 丹蔘(김상희 et al., 1999) 藥鍼이 자연발증 고혈압 白鼠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耳鍼의 강압효과에 대하여(안초홍 et al., 1999), 고혈압의 응급치료로서 刺鍼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한명아 & 김동웅, 2001) 연구하였으나, 고혈압 치료에 대한 五輸穴의 혈위별 특성을 실헙적으로 糾明하고자 한 연구는 아직 접하지 못하였다.
      고혈압은 순환기계 질환으로 혈액 순환과 가장 밀접한 장기인 心과 관계된 手少陰心經을 선택하였고, 五臟의 불균형과 유관하므로 五臟과 밀접한 상관관계의 五輸穴을 사용하여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著者는 手少陰心經의 五輸穴 穴位別 鍼刺가 血壓에 미치는 影響을 觀察하기 위해서 L-NAME 경구 투여로 유발된 高血壓 白鼠에 대하여 少衝(HT9), 少府(HT8), 神門(HT7), 靈道(HT4), 少海(HT3) 穴位 각각에 鍼刺를 시행한 후 혈압, 심장비대지수, 혈액학적 변화 및 면역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혈압은 동맥 내의 압력으로 동맥 내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수축기에 전달된 에너지에 의하여 생성되며 대동맥의 탄력도 및 말초의 저항, 반사파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혈압은 말초에...

      혈압은 동맥 내의 압력으로 동맥 내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수축기에 전달된 에너지에 의하여 생성되며 대동맥의 탄력도 및 말초의 저항, 반사파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혈압은 말초에 혈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압력이 증가하면 혈관벽에 손상을 야기하여 동맥경화를 촉진하거나 혈관벽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최윤식 & 이영우, 2010). 혈압상승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혈압에 비례하여 발현되며, 고혈압의 기준은 혈압이 >140/90 ㎜Hg으로 지속될 때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삼는다(안지현, 2010).
      고혈압 환자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두통, 현기증, 피로감, 심계항진 등이 있고, 고혈압성 혈관계 질환으로 비출혈, 시력의 혼탁, 전신쇠약,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증상이 있으나, 일반적인 중등도 고혈압까지는 증상이 없다(의학교육연수원, 1999).
      고혈압 치료의 목적은 혈압 강하를 통해 뇌졸중(stroke), 심장동맥성 심질환(coronary heart disease), 심혈관계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등의 발병과 악화를 예방하고 사망률을 낮추는데 있으며 임상적으로도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을 통해 혈압 강하 작용에 이용하고 있다(Welton et al., 2002). 고혈압의 치료방법에는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요법이 있다. 생활습관 개선 방법에는 금연, 절주, 운동, 체중감량, 저염식 등이 있으며(최윤식 & 이영우, 2010), 약물요법에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s), 칼슘 길항제(calcium antagonists), 이뇨제(diuretics), 베타 차단제(β-blockers) 등이 있다(Neal et al., 2000).
      한의학에서는 고혈압을 “頭痛”, “眩暈”, “中風” 등의 病證 범주에 두었고, 肝火亢盛, 痰濁上擾, 陰虛陽亢, 陰陽兩虛 등으로 변증하여 침, 뜸, 한약 등을 이용하여 전신적인 陰陽과 氣血의 조화를 도모하여 혈압을 조절하는데 활용되고 있다(康鎖彬, 1995).
      『素問』「痿論」의 “心主身之血脈(王琦 et al., 1981)”, 「五藏生成篇」의 “諸血者, 皆屬于心(王琦 et al., 1981)”, 「脈要精微論」의 “脈者, 血之府也(王琦 et al., 1981)” 등을 통해서 한의학에서 心과 순환기 계통의 연관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十二經脈에서 手少陰心經은 주로 心·胸疾患 및 循環系病症, 神經精神疾患을 치료하고, 心經이 지나는 부위의 病症인 心痛, 咽乾, 眼黃, 脇痛, 手臂內側痛, 手心發熱 등을 치료 한다(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2012(이하 “경혈학, 2012a”)).
      五輸穴은 十二經脈의 肘膝關節 이하에 있는 중요한 經穴로서, 井·滎·兪·經·合의 다섯 經穴을 말하며(전국한의과대학·한의학전문대학원 경락경혈학 교재편찬위원회, 2012(이하 “경혈학, 2012b”)), 임상에서 사용하는 주요 穴位이다. 五輸穴의 五行 속성과 五行의 相生相克 이론을 결합한 다양한 침법들이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경혈학, 2012b). 최근 고혈압의 침치료에 대한 연구로는 兎絲子(유윤조 et al., 1998), 丹蔘(김상희 et al., 1999) 藥鍼이 자연발증 고혈압 白鼠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耳鍼의 강압효과에 대하여(안초홍 et al., 1999), 고혈압의 응급치료로서 刺鍼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한명아 & 김동웅, 2001) 연구하였으나, 고혈압 치료에 대한 五輸穴의 혈위별 특성을 실헙적으로 糾明하고자 한 연구는 아직 접하지 못하였다.
      고혈압은 순환기계 질환으로 혈액 순환과 가장 밀접한 장기인 心과 관계된 手少陰心經을 선택하였고, 五臟의 불균형과 유관하므로 五臟과 밀접한 상관관계의 五輸穴을 사용하여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著者는 手少陰心經의 五輸穴 穴位別 鍼刺가 血壓에 미치는 影響을 觀察하기 위해서 L-NAME 경구 투여로 유발된 高血壓 白鼠에 대하여 少衝(HT9), 少府(HT8), 神門(HT7), 靈道(HT4), 少海(HT3) 穴位 각각에 鍼刺를 시행한 후 혈압, 심장비대지수, 혈액학적 변화 및 면역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ⅰ
      • I. 緖論 1
      • II. 材料 및 方法 4
      • ABSTRACT ⅰ
      • I. 緖論 1
      • II. 材料 및 方法 4
      • 1. 실험 재료 4
      • 1) 동물 4
      • 2) 기기 4
      • 2. 실험 방법 5
      • 1) 고혈압 유발 5
      • 2) 군 설정 5
      • 3) 取穴 6
      • 4) 鍼刺 施術 7
      • 5) 혈압 측정 7
      • 6) 심장비대지수 측정 7
      • 7) 채혈 및 혈청 분리 8
      • 8) 혈액학적 검사 8
      • 9) 혈청 지질 및 아미노전이효소 측정 8
      • 10) Total RNA 분리 및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측정 9
      • 3. 통계 처리 11
      • III. 實驗 結果 12
      • 1. 수축기 혈압에 미치는 효과 12
      • 1) 시술 횟수별 수축기 혈압 변화 12
      • 2) 시술 혈위별 수축기 혈압변화 18
      • 3) 수축기 혈압 변화에 대한 시술 횟수 및 穴位 군간 비교 23
      • 2. 심장비대지수(Cardiac hypertrophy)에 미치는 효과 24
      • 3. 혈청지질에 미치는 효과 25
      • 1)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HO) 변화 25
      • 2) 고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변화 26
      • 3) 중성지방(Triglyceride, TG) 변화 27
      • 4. 혈청 아미노전이효소에 미치는 효과 28
      • 1)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변화 28
      • 2)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변화 29
      • 5. 혈액 Leukocytes에 미치는 영향 30
      • 1)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변화 30
      • 2) 단핵구(Monocytes, MO) 변화 31
      • 3) 호중구(Neutrophils, NE) 변화 32
      • 4) 호산구(Eosinophils, EO) 변화 33
      • 5) 림프구(Lymphocytes, LY) 변화 34
      • 6. 항산화능(Antioxidative Effectiveness)에 미치는 효과 35
      • 1) 과산화물제거효소(Cu/Zn-Superoxide Dismutase, Cu/Zn-SOD) 변화 35
      • 2) 글루타티온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GPX) 변화 36
      • IV. 考察 37
      • V. 結論 43
      • 參考文獻 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