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의 수, 배설물줄의 악취물질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Counts in Caecal Contents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2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E. coli, salmonella) counts in caecal contents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NH3, H2S, VFA)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Three hundred sixty layers at 34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20 hens each and each group was fed diets containing 0 (control), 0.4, or 0.8 ceramic powder for six weeks.It is concluded that 0.4% ceramic powder supplementation of diets decreased of E coli, salmonella counts in the intestine and emission of NH3 and VFA gas from excreta, and improved the laying performance and ratio of egg yolk fatty acids cont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E. coli, salmonella) counts in caecal contents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NH3, H2S, VFA)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ceramic powder on laying performance, Pathogenic bacterial (E. coli, salmonella) counts in caecal contents and excreta, malodorous substances (NH3, H2S, VFA) in excret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Three hundred sixty layers at 34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20 hens each and each group was fed diets containing 0 (control), 0.4, or 0.8 ceramic powder for six weeks.It is concluded that 0.4% ceramic powder supplementation of diets decreased of E coli, salmonella counts in the intestine and emission of NH3 and VFA gas from excreta, and improved the laying performance and ratio of egg yolk fatty acids cont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E. coli, salmolella)의 수, 배설물중의 악취물질(NH3, H2S, VFA)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총 360수의 34주령의 산란계를 120 마리씩 3처리구로 구분하여서 Ceramic 분말 0.0%(대조구), 0.4% 및 0.8%를 첨가한 사료로 6주 동안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34에서 40주령의 산란계 사료에 0.4%의 Ceramics 분말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 장관내 E. coli 및 Salmonella 수가 감소되어 배설물 중의 NH3 및 VFA의 발생량 감소 및 난황중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E. coli, salmolella)의 수, 배설물중의 악취물질(NH3, H2S, VFA)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

      본 연구는 Ceramic 분말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맹장 및 배설물중 병원성 미생물(E. coli, salmolella)의 수, 배설물중의 악취물질(NH3, H2S, VFA) 및 난황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총 360수의 34주령의 산란계를 120 마리씩 3처리구로 구분하여서 Ceramic 분말 0.0%(대조구), 0.4% 및 0.8%를 첨가한 사료로 6주 동안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34에서 40주령의 산란계 사료에 0.4%의 Ceramics 분말의 첨가는 생산성 향상, 장관내 E. coli 및 Salmonella 수가 감소되어 배설물 중의 NH3 및 VFA의 발생량 감소 및 난황중의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홍, "효모배양물의 첨가가 계사내 유해가스 발생 및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45 : 41-48, 2003

      2 최일, "황토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 32 (32): 1-8, 2005

      3 고재우, "장석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32 (32): 219-224, 2005

      4 박수영,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27 (27): 27-40, 2000

      5 김상호, "유산균과 버지니아 마이신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28 (28): 15-25, 2001

      6 일본세라믹협회, "세라믹재료의 기초와 응용" 야스미디어출판사 2003

      7 손장호, "사료내 맥반석의 첨가가 성장중인 육계의 배설물 수분함량 장내 암모니아 함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24 (24): 179-184, 1997

      8 김재황, "사료내 Zeolite 첨가가 이유자돈의 생산성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47 (47): 555-564, 2005

      9 "마점술 1987 항생제 및 약품에 대한 내성세균 문제 한국영양사료학회지 87년도 후반기 기술세미나 교재 12-22"

      10 이주홍, "동물 (젖소) 건강에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 경남 지역에서 우유내 항생제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역학적 평가" 38 (38): 544-552, 1998

      1 박재홍, "효모배양물의 첨가가 계사내 유해가스 발생 및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45 : 41-48, 2003

      2 최일, "황토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 32 (32): 1-8, 2005

      3 고재우, "장석의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및 난 성분에 미치는 영향" 32 (32): 219-224, 2005

      4 박수영,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27 (27): 27-40, 2000

      5 김상호, "유산균과 버지니아 마이신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28 (28): 15-25, 2001

      6 일본세라믹협회, "세라믹재료의 기초와 응용" 야스미디어출판사 2003

      7 손장호, "사료내 맥반석의 첨가가 성장중인 육계의 배설물 수분함량 장내 암모니아 함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24 (24): 179-184, 1997

      8 김재황, "사료내 Zeolite 첨가가 이유자돈의 생산성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47 (47): 555-564, 2005

      9 "마점술 1987 항생제 및 약품에 대한 내성세균 문제 한국영양사료학회지 87년도 후반기 기술세미나 교재 12-22"

      10 이주홍, "동물 (젖소) 건강에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 경남 지역에서 우유내 항생제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역학적 평가" 38 (38): 544-552, 1998

      11 "김태종 김익천 1991 돈육에서의 항생제 잔류와 회수에 관한 연구" 15 (15): 41-49,

      12 공창수, "규산염 광물질로 정수된 급이수 및 사료내 규산염광물질 첨가제의 급여가 돼지의 성장능력 및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46 (46): 743-752, 2004

      13 이우진, "고령토 첨가한 사료의 급여가 육용오리의 능력과 생산품의 품질 및 사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32 (32): 81-87, 2005

      14 Folch J, "Stanley GH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226 : 497-509,

      15 "Savory CJ 1984 Regulation of food intake by brown Leghorn cockerels in response to dietary dilution with kaolin" 253-8,

      16 SAS/STAT, "SAS User Guide, Release 6. 12th edition" SAS Inst Inc -6, 1996

      17 "Quiqsenderry JH 1968 The use of clay in poultry feed" 16 : 267-,

      18 Steel RGD, "Principles and Procedure of statistics"

      19 Almquist HJ, "Maurer J 1967 The effect of bentonites on nutrient retention by turkeys" 39 : 54-56,

      20 Mumpton FA, "Fishman PH 1977 The application of natural zeolites in anmal science and aquaculture" 45 : 1188-1203,

      21 14th Ed,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gricultural Chemists"

      22 "AAFCO 1986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 incorpora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6 0.64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