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요 국가의 국가브랜드 정책 비교 연구 = The Comparative Study of Nation Branding Policy in Advanced Coun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85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Nation Branding Policy Active and Policy drive
      system by looking at thos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at this point of
      time, Korea successfully held the G20 Seoul summit in 2010 and will hol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in 2018, it is worthy of attention that this study
      focuses on nation branding which is a kind of strategy of soft power, because
      Korea lacks resources of government positive policy while has many negative
      images: inter-Korean issue, labor dispute, ward-heeling politics, etc.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y among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me emphasize on government involvement on
      nation branding policy but others do not. Which makes this happen? This
      study tries to this question from new institutionalism, both historical and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To find the answer, firstly, this study empiric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basic and detailed concepts of nation branding from the communicational
      point of view which are nation branding, nation branding identity and image,
      nation branding personality and association.
      Secondly, this study will seek to find some implications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through the findings. The advanced countr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ferred to as competitive(British and the U.S),
      interventionist(Germany and Japan), and eclectic(Switzerland and New
      zealand). This study analyzes each group's characteristics, main policy, etc
      based on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ies among three
      state groups are closely related to difference in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m. It is interesting that the nation branding
      mechanism and interaction of all variables within each group are very simila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n advanced
      countries' nation branding policies in this study finally gives rise to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goal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Policy and the
      strategy for it.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sophisticated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nation branding, subdivided periods and done by integrated approach in
      respect of public administr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Nation Branding Policy Active and Policy drive system by looking at thos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at this point of time, Korea successfully held the G20 Seoul summit in 2010 and will hol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in ...

      This study analyzes Nation Branding Policy Active and Policy drive
      system by looking at thos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at this point of
      time, Korea successfully held the G20 Seoul summit in 2010 and will hol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in 2018, it is worthy of attention that this study
      focuses on nation branding which is a kind of strategy of soft power, because
      Korea lacks resources of government positive policy while has many negative
      images: inter-Korean issue, labor dispute, ward-heeling politics, etc.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y among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me emphasize on government involvement on
      nation branding policy but others do not. Which makes this happen? This
      study tries to this question from new institutionalism, both historical and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To find the answer, firstly, this study empiric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basic and detailed concepts of nation branding from the communicational
      point of view which are nation branding, nation branding identity and image,
      nation branding personality and association.
      Secondly, this study will seek to find some implications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through the findings. The advanced countr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ferred to as competitive(British and the U.S),
      interventionist(Germany and Japan), and eclectic(Switzerland and New
      zealand). This study analyzes each group's characteristics, main policy, etc
      based on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ies among three
      state groups are closely related to difference in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m. It is interesting that the nation branding
      mechanism and interaction of all variables within each group are very simila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n advanced
      countries' nation branding policies in this study finally gives rise to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goal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Policy and the
      strategy for it.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sophisticated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nation branding, subdivided periods and done by integrated approach in
      respect of public administ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4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4
      •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 1. 연구범위 5
      • 2. 연구방법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개념적 분석틀 9
      • 제 1 절 국가브랜드의 전략적 관리 9
      • 1. 브랜드와 국가브랜드의 정의 11
      • 2. 국가브랜드 정체성과 이미지 16
      • 3.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한 평가기능과 역할 20
      • 제 2 절 국가브랜드와 국제경쟁력의 이론적 논의 29
      • 1. 국제경쟁력의 정의 33
      • 2. 국가브랜드와의 관계성 38
      • 3.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평가기능과 역할 42
      • 제 3 절 비교연구를 위한 개념적 분석틀 49
      • 1. 비교분석의 논리와 쟁점 49
      • 2. 분석틀 52
      • 제 3 장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정책 55
      • 제 1 절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55
      • 1. 대한민국 각 정부별 국가브랜드 정책 55
      • 2. 조직의 구성과 역할 및 기능 58
      • 제 2 절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63
      • 제 3 절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66
      • 제 4 절 요약 66
      • 제 4 장 주요 국가별 국가브랜드 정책 72
      • 제 1 절 주요 국가별 국가브랜드 정책 사례분석 72
      • 제 2 절 주요 국가별 국가브랜드 정책 사례분석 75
      • 1. 경쟁형 국가의 국가브랜드 : 영국과 미국 75
      • 1) 영국 75
      •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75
      •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78
      •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83
      • 2) 미국 87
      •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87
      •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90
      •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92
      • 2. 개입형 국가의 국가브랜드 : 독일과 일본 94
      • 1) 독일 94
      •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94
      •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96
      •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99
      • 2) 일본 101
      •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101
      •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102
      •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108
      • 3. 절충형 국가의 국가브랜드 : 스위스와 뉴질랜드 110
      • 1) 스위스 110
      •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110
      •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111
      •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112
      • 2) 뉴질랜드 113
      •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113
      •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115
      •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118
      • 제 3 절 요약 119
      • 제 5 장 연구의 결론 124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24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128
      • 1. 이론적 시사점 128
      • 2. 정책적·실무적 시사점 130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31
      • 참고문헌 133
      • 1. 국내문헌 133
      • 2. 국외문헌 138
      • 3. 기타 142
      • Abstract 1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