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수도의 개념과 명칭
- Ⅲ. 수도의 위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87267
2013
Korean
911
KCI등재
학술저널
1-31(31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37 : 1997
2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37 : 1997
3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4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5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6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7 전덕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8) : 85-124, 2007
8 고동환,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209 (209): 35-61, 2011
9 조영헌, "원·명·청 시대 首都 북경과 陪都의 변천" 역사학회 (209) : 63-106, 2011
10 전덕재, "신라의 왕경과 지방, 넘을 수 없는 경계" 역사문제연구소 (65) : 19-38, 2003
1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37 : 1997
2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37 : 1997
3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4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5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6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7 전덕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8) : 85-124, 2007
8 고동환,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209 (209): 35-61, 2011
9 조영헌, "원·명·청 시대 首都 북경과 陪都의 변천" 역사학회 (209) : 63-106, 2011
10 전덕재, "신라의 왕경과 지방, 넘을 수 없는 경계" 역사문제연구소 (65) : 19-38, 2003
11 전덕재, "신라의 王京과 小京" 역사학회 (209) : 3-33, 2011
12 전덕재, "신라 왕경의 역사" 새문사 2009
13 전덕재, "신라 왕경의 역사" 새문사 2009
14 최성철, "독일판 지성사?: 나인호, 『개념사란 무엇인가: 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역사비평사, 2011), 400 pp." 한국독일사학회 (21) : 211-224, 2011
15 홍영의, "고려전기 개경의 오부방리(五部坊里) 구획과 영역" 38 : 2000
16 홍영의, "고려전기 개경의 오부방리(五部坊里) 구획과 영역" 38 : 2000
17 박종진, "고려전기 開城府의 변천과 지리적 범위" 국학연구원 157 (157): 167-199, 2012
18 윤경진, "고려전기 京畿의 편성과 운영" 역사문화연구소 (33) : 37-70, 2009
19 김기덕, "고려시대 왕실 선원록의 복원시도 -『고려성원록』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43) : 141-186, 2002
20 朴龍雲, "고려시대 開京 연구" 일지사 1996
21 朴龍雲, "고려시대 開京 연구" 일지사 1996
22 정학수, "고려시기 개경 행정구획과 ‘里’의 양상" 한국중세사학회 (28) : 341-404, 2010
23 장지연,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4 장지연,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5 정학수, "고려 개경의 범위와 공간구조" 한국역사연구회 (59) : 159-195, 2006
26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27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28 나인호, "개념사란 무엇인가-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역사비평사 2011
29 邊太燮, "麗按察使考" 40 : 1968
30 盧明鎬, "高麗時代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105 : 1999
31 盧明鎬, "高麗時代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105 : 1999
32 蔡雄錫,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 -‘本貫制’의 施行과 地方支配秩序-"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3 蔡雄錫, "高麗時代의 國家와 地方社會 -‘本貫制’의 施行과 地方支配秩序-"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4 邊太燮, "高麗時代 京畿의 統治制, In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1971
35 邊太燮, "高麗時代 京畿의 統治制, In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1971
36 邊太燮, "高麗按察使考" 40 : 1968
37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38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39 "高麗史節要"
40 "高麗史節要"
41 "高麗史"
42 "高麗史"
43 邊太燮, "高麗前期의 外官制" 2 : 1968
44 邊太燮, "高麗前期의 外官制" 2 : 1968
45 李樹健, "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46 李樹健, "韓國中世社會史硏究" 一潮閣 1984
47 전덕재, "韓國 古代의 王京과 都城, 地方都市" 역사학회 (207) : 329-354, 2010
48 한국역사연구회, "譯註 羅末麗初金石文 (上·下)" 혜안 1996
49 한국역사연구회, "譯註 羅末麗初金石文 (上·下)" 혜안 1996
50 金鎬詳, "新羅王京硏究(1) -三國史記 에 표현된 三國의 王京名稱考察" 20 : 2001
51 金鎬詳, "新羅王京硏究(1) -『三國史記』에 표현된 三國의 王京名稱考察" 20 : 2001
52 "新增東國輿地勝覽"
53 "新增東國輿地勝覽"
54 崔宰榮, "唐 前期 三府의 정책과 그 성격―唐朝의 京畿强化策과 관련하여―" 동양사학회 77 : 2-80, 2002
55 "世宗實錄地理志"
56 "世宗實錄地理志"
57 여호규, "三國時期 都城史 硏究의 현황과 과제" 역사문화연구소 (26) : 143-188, 2007
58 "三國史記"
59 "三國史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2 | 1.48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