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제두의 황극론 고찰 = A Study of Hwang-ji-lun in Jeng Je-du's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76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templates the meaning of Hwang-ji-lun in the philosophy of Jeng Je-du. The term 'Hwang ji' is first shown in the ancient script 『Shang shu -Hong fan pian』. In Zhu Xi's debate with Liu Jiu yuan over the meaning of this term, Zhu Xi translates it as 'Standard of Lord' connoting the Principle(li), while Liu Jiu yuan translates it as 'Great Mean' connoting the mind (xin). Zhu Xi attached a detailed annotation to the term, while Liu Jiu-yuan only mentioned it briefly.
      Jeng Je-du, being fully aware of both translation, follows Zhu Xi's translation in interpreting「Hong fan pian」; it is perhaps due to the fact that Liu's annotation is too brief. Jeng's translation, however, differentiates itself with that of Zhu Xi in some points. For instance, in interpreting 'Ji' Jeng incorporates Liu's translation, arguing that while 'Ji' refers to 'Great Mean', it has connotation of 'standard' as well. It signifies that Ji is not a subjective standard.
      At the same time, Jeng criticizes Zhu Xi that Zhu Xi overlooked the problem of Hwang ji's establishment, leaving it without any content. Jeng introduces lines of Dang ping as the content and the identity of 'Hwang ji'. In understanding Dang ping as the ideal state of mind, Jeng follows Liu's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in translating other lines of Dang ping, Jeng follows Zhu Xi.
      Thus seen, the philosophy of Jeng Je-du could be described as a compromise between Zhu Xi and Liu Jiu-yuan. On the other perspective, however, it could also be seen as standing on Liu's line while embodying Zhu Xi's interpretation now and then.
      번역하기

      This paper contemplates the meaning of Hwang-ji-lun in the philosophy of Jeng Je-du. The term 'Hwang ji' is first shown in the ancient script 『Shang shu -Hong fan pian』. In Zhu Xi's debate with Liu Jiu yuan over the meaning of this term, Zhu Xi tr...

      This paper contemplates the meaning of Hwang-ji-lun in the philosophy of Jeng Je-du. The term 'Hwang ji' is first shown in the ancient script 『Shang shu -Hong fan pian』. In Zhu Xi's debate with Liu Jiu yuan over the meaning of this term, Zhu Xi translates it as 'Standard of Lord' connoting the Principle(li), while Liu Jiu yuan translates it as 'Great Mean' connoting the mind (xin). Zhu Xi attached a detailed annotation to the term, while Liu Jiu-yuan only mentioned it briefly.
      Jeng Je-du, being fully aware of both translation, follows Zhu Xi's translation in interpreting「Hong fan pian」; it is perhaps due to the fact that Liu's annotation is too brief. Jeng's translation, however, differentiates itself with that of Zhu Xi in some points. For instance, in interpreting 'Ji' Jeng incorporates Liu's translation, arguing that while 'Ji' refers to 'Great Mean', it has connotation of 'standard' as well. It signifies that Ji is not a subjective standard.
      At the same time, Jeng criticizes Zhu Xi that Zhu Xi overlooked the problem of Hwang ji's establishment, leaving it without any content. Jeng introduces lines of Dang ping as the content and the identity of 'Hwang ji'. In understanding Dang ping as the ideal state of mind, Jeng follows Liu's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in translating other lines of Dang ping, Jeng follows Zhu Xi.
      Thus seen, the philosophy of Jeng Je-du could be described as a compromise between Zhu Xi and Liu Jiu-yuan. On the other perspective, however, it could also be seen as standing on Liu's line while embodying Zhu Xi's interpretation now and th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정제두의 황극론을 고찰한 것이다. 황극은 『상서』「홍범」에 나온다. 황극을 두고 주희와 육구연은 논쟁을 하였다. 주희는 황극을 군주의 기준으로, 육구연은 큰 가운데로 해석하였다. 이는 각기 리와 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런데 주희는 홍범편을 상세하게 주석한데 비하여, 육구연은 간략하게 언급하는 정도였다. 정제두는 두 사람의 해석을 알고 있었다. 그는 홍범편을 해석하면서, 육구연의 해석을 따르지 않고, 주희의 해석을 따른다. 이는 육구연의 해석이 간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희와 정제두는 세부적인 점에서 차이가 난다. 정제두는 극에 대한 해석에서 주희보다는 육구연의 해석을 따른다. 정제두는 극이 가운데의 의미를 갖지만 표준을 뜻하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주관적인 기준이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정제두는 주희가 황극의 세우는 문제에 등한시했다고 비판한다. 황극의 내용이 없다는 것이다. 황극의 내용으로 정제두는 탕평의 구절을 제시한다. 탕평이야말로 황극이라는 것이다. 탕평을 이상적인 마음의 경지로 이해하는 점에서 육구연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탕평 구절에 대한 세부적인 해석에서는 주희를 따르고 있다. 정제두의 철학은 주륙절충론이라고 규정할 수 있지만, 다른 점에서 보면 육구연을 중심으로 주희의 해석을 흡수하려는 사고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정제두의 황극론을 고찰한 것이다. 황극은 『상서』「홍범」에 나온다. 황극을 두고 주희와 육구연은 논쟁을 하였다. 주희는 황극을 군주의 기준으로, 육구연은 큰 가운데로 해석하...

      이 글은 정제두의 황극론을 고찰한 것이다. 황극은 『상서』「홍범」에 나온다. 황극을 두고 주희와 육구연은 논쟁을 하였다. 주희는 황극을 군주의 기준으로, 육구연은 큰 가운데로 해석하였다. 이는 각기 리와 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런데 주희는 홍범편을 상세하게 주석한데 비하여, 육구연은 간략하게 언급하는 정도였다. 정제두는 두 사람의 해석을 알고 있었다. 그는 홍범편을 해석하면서, 육구연의 해석을 따르지 않고, 주희의 해석을 따른다. 이는 육구연의 해석이 간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희와 정제두는 세부적인 점에서 차이가 난다. 정제두는 극에 대한 해석에서 주희보다는 육구연의 해석을 따른다. 정제두는 극이 가운데의 의미를 갖지만 표준을 뜻하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주관적인 기준이 아니라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정제두는 주희가 황극의 세우는 문제에 등한시했다고 비판한다. 황극의 내용이 없다는 것이다. 황극의 내용으로 정제두는 탕평의 구절을 제시한다. 탕평이야말로 황극이라는 것이다. 탕평을 이상적인 마음의 경지로 이해하는 점에서 육구연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탕평 구절에 대한 세부적인 해석에서는 주희를 따르고 있다. 정제두의 철학은 주륙절충론이라고 규정할 수 있지만, 다른 점에서 보면 육구연을 중심으로 주희의 해석을 흡수하려는 사고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상서, "한문대계본" 1982

      2 김교빈, "하곡 정제두" 예문서원 2005

      3 조남호, "주희-중국철학의 중심" 태학사 2005

      4 육구연, "육상산전집" 동양문화사 1984

      5 구스모토 마사스구, "송명유학사상사" 예문서원 2005

      6 이경룡, "나근계선생어록휘집" 신성출판사 2006

      7 정제두, "霞谷集" 민족문화추진회

      8 주희, "朱熹集" 四川敎育出版社 1996

      9 余英時, "朱熹的歷史世界" 삼련서점 2005

      10 "朱子語類" 中華書局 1994

      1 상서, "한문대계본" 1982

      2 김교빈, "하곡 정제두" 예문서원 2005

      3 조남호, "주희-중국철학의 중심" 태학사 2005

      4 육구연, "육상산전집" 동양문화사 1984

      5 구스모토 마사스구, "송명유학사상사" 예문서원 2005

      6 이경룡, "나근계선생어록휘집" 신성출판사 2006

      7 정제두, "霞谷集" 민족문화추진회

      8 주희, "朱熹集" 四川敎育出版社 1996

      9 余英時, "朱熹的歷史世界" 삼련서점 2005

      10 "朱子語類" 中華書局 1994

      11 吾妻重二, "朱子學의 新硏究" 창문사 2005

      12 莊秋華, "宋人洪範學" 대만대학출판부 1986

      13 이경룡, "17세기 後陽明學과 霞谷學의 定位" 한국양명학회 (15) : 229-26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23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