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들의 표준어 사용 인식 실태에 대하여 -표준어 규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Awareness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focusing on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95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23 years sinc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was introduced. But, according to survey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we know that desirable language life was not reached ye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rough these research, we can know the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and realize that most people ranging from students to ordinary person have little interest in the standard language usage within the language standard. From now on we have an endless discussion that many problems of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have to be completely revised. However, the sad truth is tha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doesn``t reflect a variety of drawbacks of the real language life properly. It is essential for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s to the right standard language usage. This study looks into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based on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with K university student who learn the language standard. As a result, it found that conditions of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re in discord with the language standard. This result implies that we need to revis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rough study about the forms of language in actual use, because there is a great deal of difference real language life and the standard language as a rule. Due to the fact that language usage condition is not verified with distinctive features, it is sorry to not to grasp clearly regional awareness condition of standard language usage. Thus, future study that will be up and running is necessary to find out present condi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from student to ordinary person with more regional and hierarchical object of investigation.
      번역하기

      It has been 23 years sinc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was introduced. But, according to survey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we know that desirable language life was not reached yet in...

      It has been 23 years sinc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was introduced. But, according to survey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we know that desirable language life was not reached ye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rough these research, we can know the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and realize that most people ranging from students to ordinary person have little interest in the standard language usage within the language standard. From now on we have an endless discussion that many problems of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have to be completely revised. However, the sad truth is tha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doesn``t reflect a variety of drawbacks of the real language life properly. It is essential for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s to the right standard language usage. This study looks into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based on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with K university student who learn the language standard. As a result, it found that conditions of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re in discord with the language standard. This result implies that we need to revis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rough study about the forms of language in actual use, because there is a great deal of difference real language life and the standard language as a rule. Due to the fact that language usage condition is not verified with distinctive features, it is sorry to not to grasp clearly regional awareness condition of standard language usage. Thus, future study that will be up and running is necessary to find out present condi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from student to ordinary person with more regional and hierarchical object of investig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태, "현행 한글 맞춤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 고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32, 2001

      2 박영하,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사용 실태에 따른 지도 방안"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 김철순, "한글 맞춤법·표준어의 사용 방안 연구 : 서울 지역 20대들의 언어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황경수, "한국어문규정의이해" 청운 2008

      5 이주행, "한국어 어문 규범의 이해" 보고사 2005

      6 박형익, "한국 어문 규정의 이해" 태학사 2008

      7 남경완,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3) : 39-62, 2010

      8 조규태,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학회 (262) : 247-288, 2003

      9 장용수, "중학생들의 표준어 사용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 2학년을 대상으로"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김미진,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영주어문학회 26 : 61-89, 2013

      1 김정태, "현행 한글 맞춤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 고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8 : 1-32, 2001

      2 박영하,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사용 실태에 따른 지도 방안"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 김철순, "한글 맞춤법·표준어의 사용 방안 연구 : 서울 지역 20대들의 언어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황경수, "한국어문규정의이해" 청운 2008

      5 이주행, "한국어 어문 규범의 이해" 보고사 2005

      6 박형익, "한국 어문 규정의 이해" 태학사 2008

      7 남경완,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3) : 39-62, 2010

      8 조규태,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학회 (262) : 247-288, 2003

      9 장용수, "중학생들의 표준어 사용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 2학년을 대상으로"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0 김미진,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영주어문학회 26 : 61-89, 2013

      11 허춘, "제주 신문의 우리 말글 사용 실태 검토" 영주어문학회 29 : 375-408, 2015

      12 강옥미, "전남 지역 대학생의 표준어 수용 태도" 숙명여자대학교 (創刊) : 22-25, 1998

      13 이승주,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한 맞춤법 표기 및 표준어 사용 실태조사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14 남경완, "대학 글쓰기 교육 속에서 이루어지는 어문 규정 교육의 현황 분석과 방향 모색 - 각 대학의 신입생 대상 글쓰기 교재 분석을 통하여 -" 우리어문학회 (31) : 7-41, 2008

      15 오윤영, "대전 지역 고등학생의 표준어 사용 실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김선호, "대전 시민의 한글 맞춤법·표준어 규정에 대한 인지 실태 연구" 어문연구학회 40 : 5-34, 2002

      17 오창명, "국어사전의 오류에 대해서" 영주어문학회 9 : 21-32, 2005

      18 박선희, "고등학생의 어문 규정 활용 실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The Association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9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