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소설에 들앉은 김해의 표상 = A representation of Gimhae in Modern Korean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2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해는 가야로부터 이어지는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도시이다. 낙동강이 흐르고, 드넓은 김해평야가 펼쳐진 풍요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현대소설에서 김해가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김해 출신의 ‘가야부인’의 일대기를 다룬 요산 김정한의 「수라도」는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비극적 현실을 보여준다. 또한 김정한의 「어떤 유서」와 김성홍의 「갈꽃 먹는 섬」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김해 민중의 장소상실을 드러낸다. 하지만 요산은 김해 출신의 좌익 운동가 노백용을 그린 소설 「옥중회갑」과 「설날」을 통해, 해방기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한 전망과 김해지역의 민중적 투쟁과 응전의 정신을 보여준다.
      김원일은 김해 진영 출신의 작가로, 유년기 그는 좌익 운동에 투신했던 아버지로 인해 모진 수난과 고통을 겪는다. 진영에서의 수난과 고통은 김원일 문학의 원형적 주제가 된다. 「어둠의 혼」과 『노을』, 『불의 제전』에서 형상화되는 김해 진영이란 이데올로기적 대립의 최전선이자, 전쟁과 분단이 가져온 우리 민족의 비극을 오롯이 담지한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다.
      N. 빠르따사라띠의 『비단황후』와 김재영의 「꽃가마배」는 인도 아유타국으로부터 온 수로왕의 부인 허황옥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허황옥의 가야 도래는 가야의 문화적·기술적·종교적 발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된다. 허황옥은 가야 문화가 지녔던 환대의 정신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데, 김재영의 「꽃가마배」는 허황옥의 설화와 다문화 여성의 문제를 겹쳐 읽음으로써, 현재의 우리로 하여금 가야가 지녔던 환대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한편 최인호의 『제4의 제국』은 일본의 건국이 가야민들의 유입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무라타 기요코의 『용비어천가』와 『백년가약』은 일본의 도자기 문화 발전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김해 출신의 여성 도공 백파선을 그린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문명과 문화의 발원지로서 김해의 위상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김해는 가야로부터 이어지는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도시이다. 낙동강이 흐르고, 드넓은 김해평야가 펼쳐진 풍요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현대소설에서 김해가 어떻게 표상되고 있...

      김해는 가야로부터 이어지는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도시이다. 낙동강이 흐르고, 드넓은 김해평야가 펼쳐진 풍요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현대소설에서 김해가 어떻게 표상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김해 출신의 ‘가야부인’의 일대기를 다룬 요산 김정한의 「수라도」는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비극적 현실을 보여준다. 또한 김정한의 「어떤 유서」와 김성홍의 「갈꽃 먹는 섬」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김해 민중의 장소상실을 드러낸다. 하지만 요산은 김해 출신의 좌익 운동가 노백용을 그린 소설 「옥중회갑」과 「설날」을 통해, 해방기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한 전망과 김해지역의 민중적 투쟁과 응전의 정신을 보여준다.
      김원일은 김해 진영 출신의 작가로, 유년기 그는 좌익 운동에 투신했던 아버지로 인해 모진 수난과 고통을 겪는다. 진영에서의 수난과 고통은 김원일 문학의 원형적 주제가 된다. 「어둠의 혼」과 『노을』, 『불의 제전』에서 형상화되는 김해 진영이란 이데올로기적 대립의 최전선이자, 전쟁과 분단이 가져온 우리 민족의 비극을 오롯이 담지한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다.
      N. 빠르따사라띠의 『비단황후』와 김재영의 「꽃가마배」는 인도 아유타국으로부터 온 수로왕의 부인 허황옥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허황옥의 가야 도래는 가야의 문화적·기술적·종교적 발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된다. 허황옥은 가야 문화가 지녔던 환대의 정신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데, 김재영의 「꽃가마배」는 허황옥의 설화와 다문화 여성의 문제를 겹쳐 읽음으로써, 현재의 우리로 하여금 가야가 지녔던 환대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한편 최인호의 『제4의 제국』은 일본의 건국이 가야민들의 유입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무라타 기요코의 『용비어천가』와 『백년가약』은 일본의 도자기 문화 발전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김해 출신의 여성 도공 백파선을 그린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문명과 문화의 발원지로서 김해의 위상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 "한말·일제하 김해지역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역사문화학회 17 (17): 219-288, 2014

      2 강만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3 박태일,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1999

      4 김재영, "폭식" 창비 2009

      5 최인호, "제4의 제국 1-3" 여백 2006

      6 문선영, "정진업의 『김해평야』 연구" 부산지역문학회 (10) : 235-254, 2004

      7 한정호, "정진업 전집 2—창작⋅산문" 세종출판사 2006

      8 박태일, "정진업 전집 1—시" 세종출판사 2006

      9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0 무라다 키요코, "용비어천가" 자유문학사 1998

      1 김승, "한말·일제하 김해지역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역사문화학회 17 (17): 219-288, 2014

      2 강만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창작과비평사 1996

      3 박태일,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1999

      4 김재영, "폭식" 창비 2009

      5 최인호, "제4의 제국 1-3" 여백 2006

      6 문선영, "정진업의 『김해평야』 연구" 부산지역문학회 (10) : 235-254, 2004

      7 한정호, "정진업 전집 2—창작⋅산문" 세종출판사 2006

      8 박태일, "정진업 전집 1—시" 세종출판사 2006

      9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0 무라다 키요코, "용비어천가" 자유문학사 1998

      11 하상일, "요산 소설의 지역성과 동아시아적 시각" 영주어문학회 34 : 271-294, 2016

      12 송희복, "외국 소설 속에 그려진 김해의 여인: 허황옥과 백파선" 국제언어문학회 (38) : 37-56, 2017

      13 김원일, "어둠의 혼(김원일 중단편전집 1)" 문이당 1997

      14 박경숙, "약방집 예배당" 홍성사 2007

      15 유임하, "아버지 찾기와 성장체험의 역사화: 김원일의 분단서사" 실천문학사 (62) : 273-288, 2001

      16 이부순, "시인 김대봉의 작품세계 연구" 서강어문학회 10 : 281-300, 1994

      17 최미진, "사하촌(한국현대문학전집 16)" 현대문학 9-17, 2011

      18 김한식, "사실 복원의 의지와 이념에 대한 불만 -김원일의 『불의 제전』 연구-" 우리어문학회 (32) : 403-429, 2008

      19 N. 빠르따사라띠, "비단황후" 여백 2007

      20 김원일, "비단길" 문학과지성사 2016

      21 김원일, "불의 제전 1-7" 문학과지성사 1997

      22 무라타 기요코, "백년가약" 솔 2007

      23 박태일, "민중의료와 김해 시인 김대봉" 한국지역문학회 10 (10): 5-45, 2021

      24 강진호, "민족사로 승화된 가족사의 비극" 한국현대소설학회 (14) : 303-321, 2001

      25 김원일, "노을" 문학과지성사 1991

      26 이선미, "냉전과 소설의 형식, ‘(경남)진영’의 장소성과 사회주의자 서사 (1) - 김원일 소설의 아버지/아들 서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87) : 367-398, 2021

      27 정진업, "김해평야" 남광문화사 1953

      28 이광희, "김해의 민족 독립운동가들" 도서출판 경남 8 : 14-26, 1995

      29 김해뉴스, "김해 인물 열전" 해성 2015

      30 안근찬, "김해" 도서출판 안북 2013

      31 조갑상, "김정한전집 4" 작가마을 2008

      32 조갑상, "김정한전집 3" 작가마을 2008

      33 최미진, "김정한 소설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문학회 (54) : 243-272, 2010

      34 한정호, "김대봉전집" 세종출판사 2005

      35 이순욱, "광복기 요산 김정한의 문학 활동 연구(2)-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9) : 87-121, 2013

      36 김성홍, "갈꽃 먹는 섬" 문학과지성사 1979

      37 "『경상남도지』 중권" 경상남도지편찬위원회 1963

      38 박태일, "1920년대 부산 지역 청소년문학과 항왜의 경험" 영주어문학회 25 : 193-23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The Association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9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