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문헌분석: (1992년∼2014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Research Literatures on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Retardation: between 1992 and 2014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14년 7월까지 지적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실행한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총 21편을 대상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

      본 연구는 1992년부터 2014년 7월까지 지적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실행한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총 21편을 대상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재목적은 의사소통기능의 향상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중재가 유아와 초등학생연령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았음을 볼 때 유아 및 초등학생에게 많이 적용하는 중재임을 볼 수 있었다. 중재장소로는 학교와 복지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재시간은 별도시간과 놀이시간, 특별시간, 간식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별도구로는 지능검사와 적응검사, 언어검사를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는 52.4%로 나타났고 지능검사는 KEDI-WISC와 인물화에 의한 간편지능검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19%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진단도구사용은 교육진단 검사가 42.9%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발달 연령에 따른 PND는 중재초기에는 중간정도의 효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가 기초선-중재 1기에 높은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 보다 환경중심언어중재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analysis of research literatures 21 theses, dissertations and articles that offered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retardation only in between 1992 and July of 2014. The finding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analysis of research literatures 21 theses, dissertations and articles that offered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retardation only in between 1992 and July of 2014.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goal of the intervention wa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y. Many of the studies provided the intervention primarily for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denoted that this intervention was applied much to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st dominant place for the intervention was schools, followed by welfare centers. As for the time for the intervention, the most common case was providing it separately without using the regular timetable, and the second most case was doing it during play. The third most case was using a time for a special purpose, and the fourth most case was using a time for eating between meals. Second, concerning instrumentation, the case that an intelligence test, adjustment test and language test were all conducted at the same time accounted for 52.4 percent. In the case of intelligence test, the case that KEDI-WISC and DAP(Draw-a-Person) were both utilized accounted for 19 percent. Regarding instruments for communication diagnosis, PEP(Psycho Educational Profile) accounted for 42.9 percent. Third, as for PND according to the age of language development, it produced a medium level of effect in the initial stage of intervention, but the effec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reinforced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was highly effective in the baseline and the intervention stage 1, but the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use of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was more prevailing than that of reinforced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희, "훈련가능 정신지체학생의 항상적 시간지연법과 체계적 촉구증가법에 의한 어휘읽기 효과비교"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3

      2 이현주, "환경중심언어중재가 정신지체 아동의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0

      3 오성애,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대학원 1997

      4 이원희,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자발발화와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0

      5 이점조,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 학생의 언어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영향." 22 : 161-177, 1999

      6 성일환,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 아동의 표현언어능력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7 오보경, "환경중심 언어지도가 정신지체 아동의 구어표현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대학원 2004

      8 이영철,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의 언어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16 (16): 103-124, 1995

      9 차상우,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의 생활언어 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0 신의정,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자발적인 의사표현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2

      11 남기진,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자발어와 반응어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2 서지영,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 학생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김옥진,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박일수,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67-192, 2007

      15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화용론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277-300, 2008

      16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17 김소라, "형제, 자매의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적 언어와 자발발화에 미치는 효과" 36 (36): 55-76, 2001

      18 한성희, "특수교육에서의 단일대상연구 적용의 질적 개선을 위한 문헌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03-130, 2005

      19 이민식, "정신지체아동의 기본어휘력 발달 특성"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20 정소영, "장애인 의사소통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141-162, 2012

      21 박은영,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실행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고찰" 한국언어치료학회 14 (14): 167-196, 2005

      22 박지윤, "자폐범주성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환경중심언어중재와 PECS중재에 관한 문헌 분석: 2000∼2011년 국내ㆍ외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7 (17): 466-487, 2012

      23 김정민,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성 중재에 대한 국내·외 단일 대상 연구 메타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9 (29): 311-339, 2013

      24 박지윤,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법에 관한 문헌 분석 : 환경중심언어중재와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25 이소현, "자폐 범주성 장애: 중재와 치료" 시그마프레스 2005

      26 이성용, "자기교시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63-189, 2011

      27 이영철, "의사소통과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일반화 향상방안" 3 (3): 115-139, 1996

      28 김영태, "아동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2002

      29 이정희, "시간-지연과 요구-모델 언어지도가 시설 정신지체 학생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효과" 又石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0 심금희, "스크립트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중재(EMT)가 지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2

      31 민진홍, "발달장애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32 김윤정,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연구 동향 분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33 이영리, "그림이야기책 반복 읽기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2006

      34 이정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35 박서연,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 및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36 박서연,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 및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37 신연경,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 유아의 자발 발화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8 이영숙, "감탄사를 사용한 환경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4

      39 金榮桓, "精神遲滯兒와 自閉症兒의 認知, 言語와 適應行動의 特性"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1

      40 Fujiki, M., "The verbal noncommunicator : A case study" 22 : 322-333, 1991

      41 Scruggs, T. E., "Summarizing single-subject research : Issues and applications" 22 : 221-242, 1998

      42 Hert, B., "In vivo language intervention : Unanticipated general effects" 13 : 407-432, 1980

      43 Hemmeter, M. L., "Enhanced milieu teaching : Effects of parent-implemented language intervention" 18 : 269-289, 1994

      44 Kaiser, A. P.,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Vol. 2. Enhancing children’s communication: Research foundations for intervention"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993

      45 Kaiser, A. P., "Cause and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1" Paul H. Books Publishing Co 9-48,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