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발달장애의 변화가 주는 시사점 : 발달장애의 증가와 발견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 Implications of the Change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Japan : with Priority Given to an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tection Difficul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3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 문헌을 조사하는 이론 연구로 발달장애의 증가와 발견의 어려움을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0년 이후 발간된 발달장애관련 단행본 20권, DSM-5와 ICD-10, 발달장애백서, 발달장애연구, 발달장애연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했다. 연구결과로는 발달장애의 증가로는 첫째, 사회·복지측면에 학령기의 유병률 증가와 생애 주기별 복지 및 시설 이용의 증가가 크다. 둘째, 최근 과학과 의료의 발달로 염색체 규명, 조기 발견/판정에 의사의 참여, 장애개념의 확대도 크다. 셋째, 특별지원교육을 통한 의무교육지원단계의 발달장애학생 수의 증가가 크다. 발달장애의 발견의 어려움으로는 첫째, 의료에서 진단의 과잉/과소의 문제, 경계의 모호함, 다수의 원인불명, 발달과정상의 변화 가능성, 조기진단의 질의 확보에 애로가 있다. 둘째, 통합교육을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모두가 포함된다면 발달장애의 개념, 교사 양성과정에 변화가 요구되고,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문제도 제기된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시사점은 첫째, 진단분류의 범주적 접근과 차원적 접근의 적정한 사용 둘째, 공통된 도구로 증상 정도를 정량화하려는 노력 셋째, 조기진단의 충분한 근거 확보 등은 교육적 지원의 개입을 더욱 촉진 시킬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본 문헌을 조사하는 이론 연구로 발달장애의 증가와 발견의 어려움을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0년 이후 발간된 발달장애관련 단행본 20권, DSM-5...

      본 연구는 일본 문헌을 조사하는 이론 연구로 발달장애의 증가와 발견의 어려움을 밝혀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0년 이후 발간된 발달장애관련 단행본 20권, DSM-5와 ICD-10, 발달장애백서, 발달장애연구, 발달장애연감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했다. 연구결과로는 발달장애의 증가로는 첫째, 사회·복지측면에 학령기의 유병률 증가와 생애 주기별 복지 및 시설 이용의 증가가 크다. 둘째, 최근 과학과 의료의 발달로 염색체 규명, 조기 발견/판정에 의사의 참여, 장애개념의 확대도 크다. 셋째, 특별지원교육을 통한 의무교육지원단계의 발달장애학생 수의 증가가 크다. 발달장애의 발견의 어려움으로는 첫째, 의료에서 진단의 과잉/과소의 문제, 경계의 모호함, 다수의 원인불명, 발달과정상의 변화 가능성, 조기진단의 질의 확보에 애로가 있다. 둘째, 통합교육을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모두가 포함된다면 발달장애의 개념, 교사 양성과정에 변화가 요구되고,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문제도 제기된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시사점은 첫째, 진단분류의 범주적 접근과 차원적 접근의 적정한 사용 둘째, 공통된 도구로 증상 정도를 정량화하려는 노력 셋째, 조기진단의 충분한 근거 확보 등은 교육적 지원의 개입을 더욱 촉진 시킬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theoretical research into Japanese literatures to shed light on an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tection difficul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20 books, DSM-5, ICD-10, Japanese White Paper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Japanese Journal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Japanese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t were analyzed, which had been published since 2000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ociety and welfare, there were a rise of prevalence in school age and a great increase in the use of welfare and facilities by life cycle. Second, owing to the recent advancement of science and medicine, doctors were involved in the identification of chromosomes and early detection/identification, and the concept of disabilities was extended a lot. Thir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upport stage for compulsory education by special needs education increased greatly. The findings on difficulty with detec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roblems including over-diagnosis and under-diagnosis in the medical setting,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many unknown causes, the possibility of change during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quality of early diagnosis. Second, when the necessity of the actu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taken into account, changes in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urriculums geared toward pre-service teachers are required, and interaction between heredity and environments is another issue that ari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tegorial approach and dimensional approach should properly be taken toward diagnosis classification. Second, efforts to use common instruments to quantify the degree of symptoms should be made. Third, grounds for early diagnosis should fully be guaranteed. All the efforts will facilitate intervention by educational suppor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theoretical research into Japanese literatures to shed light on an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tection difficul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20 books, DSM-5, ICD-10, Japanese White Paper on 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theoretical research into Japanese literatures to shed light on an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etection difficul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20 books, DSM-5, ICD-10, Japanese White Paper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Japanese Journal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Japanese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t were analyzed, which had been published since 2000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increase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ociety and welfare, there were a rise of prevalence in school age and a great increase in the use of welfare and facilities by life cycle. Second, owing to the recent advancement of science and medicine, doctors were involved in the identification of chromosomes and early detection/identification, and the concept of disabilities was extended a lot. Thir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upport stage for compulsory education by special needs education increased greatly. The findings on difficulty with detec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roblems including over-diagnosis and under-diagnosis in the medical setting,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many unknown causes, the possibility of change during developmental stages and the quality of early diagnosis. Second, when the necessity of the actu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taken into account, changes in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urriculums geared toward pre-service teachers are required, and interaction between heredity and environments is another issue that ari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tegorial approach and dimensional approach should properly be taken toward diagnosis classification. Second, efforts to use common instruments to quantify the degree of symptoms should be made. Third, grounds for early diagnosis should fully be guaranteed. All the efforts will facilitate intervention by educational sup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추연구,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동향과 특징에 관한 연구" 2 (2): 1-29, 2009

      2 추연구, "발달장애아동의 연구 동향 고찰: 한국·일본·미국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21-43, 2011

      3 임정희, "발달장애를 깨닫지 못하는 어른들" 이아소 2011

      4 內山登紀夫, "靑年期/成人期発達障がい對應困難ケスヘの危機介入と治療·支援に関する" 厚生勞働科學硏究 2013

      5 岩波明, "誤解だらけの発達障害" 玉島社新書 2019

      6 "社會的支援と発達障害" 金剛出版 14 (14): 2014

      7 日本発達障害ネットワㅡク(JDDネット)(編), "発達障害年鑑, vol. 3" 明石書店 2012

      8 障害者保健福祉推進事業, "発達障害者の就勞相談ハンドブック" NPO法人ジョブコーチネットワーク発達障害者の就勞相談ハンドブック檢討委員會 2008

      9 "発達障害硏究の最前線" 金剛出版 14 (14): 2014

      10 日本発達障害福祉聯盟, "発達障害白書2020年版" 明石書店 2019

      1 추연구,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동향과 특징에 관한 연구" 2 (2): 1-29, 2009

      2 추연구, "발달장애아동의 연구 동향 고찰: 한국·일본·미국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21-43, 2011

      3 임정희, "발달장애를 깨닫지 못하는 어른들" 이아소 2011

      4 內山登紀夫, "靑年期/成人期発達障がい對應困難ケスヘの危機介入と治療·支援に関する" 厚生勞働科學硏究 2013

      5 岩波明, "誤解だらけの発達障害" 玉島社新書 2019

      6 "社會的支援と発達障害" 金剛出版 14 (14): 2014

      7 日本発達障害ネットワㅡク(JDDネット)(編), "発達障害年鑑, vol. 3" 明石書店 2012

      8 障害者保健福祉推進事業, "発達障害者の就勞相談ハンドブック" NPO法人ジョブコーチネットワーク発達障害者の就勞相談ハンドブック檢討委員會 2008

      9 "発達障害硏究の最前線" 金剛出版 14 (14): 2014

      10 日本発達障害福祉聯盟, "発達障害白書2020年版" 明石書店 2019

      11 日本発達障害福祉聯盟, "発達障害白書2014年版" 明石書店 2013

      12 日本発達障害福祉聯盟, "発達障害白書2013年版" 明石書店 2012

      13 下山晴彦, "発達障害支援必携ガイドブック" 金剛出版 2013

      14 總務省, "発達障害支援に関する行政評價·監視結果に基づく勸告" 2017

      15 山崎晃資, "発達障害基本理解" 金子書房 2008

      16 本田秀夫, "発達障害兒とその家族に対する地域特性に応じた繼續的な支援と実施と評價" 厚生勞働科學硏究 2013

      17 精神科治療學編集委員會, "発達障害ベストプラクテイス--子どもから成人まで" 星和書店 29 (29): 10-13, 2014

      18 神田橋條治, "発達障害は冶りますか" 花風社 2010

      19 原仁, "発達障害の診斷--理解と支援のために" 日本発達障害學會 35 (35): 189-196, 2013

      20 市川宏伸, "発達障害の早期発見と支援へつなげるアプロチ" 金剛出版 2018

      21 澤口俊之, "発達障害の改善と予防" 小学館 2016

      22 小西行郞, "発達障害の子どもを理解する" 集英社 2011

      23 本田秀夫, "発達障害の子どもを早期發見·早期支援することの意義" 28 (28): 1457-1460, 2013

      24 宮尾益知, "発達障害の基礎知識" 河出書房新社 2017

      25 杉山登志郎, "発達障害のいま" 講談社現代新書 2011

      26 氏家靖浩, "発達障害という記號(メンタルヘルス·ライブラリ21)" 批評社 2008

      27 太田昌孝, "発達障害" 日本評論社 2006

      28 岩波明, "発達障害" 文藝春秋 2017

      29 玉永公子, "用語発達障害批評" 論創社 2019

      30 市川宏伸, "現狀と課題—國內外の動向" 41 (41): 7-11, 2013

      31 "日本神經小兒學會"

      32 "日本兒童精神醫學會"

      33 中田洋二郎, "子どもの障害をどう受容するか--家族支援と援助者の役割(子育てと健康シリズ)" 大月書店 2002

      34 西永堅, "子どもの発達障害と支援のしかたがわかる本" 日本実業出社 2017

      35 內山登紀夫, "子ども·大人の発達障害診療ハンドブック" 中山書店 2018

      36 遠藤活, "地域及び施設で生活する高齢知的発逹障害者の実態把握及ニス把握と支援マニュアル作成" 厚生勞働科學硏究 2014

      37 WHO,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Clinical Descriptions and Diagnostic Guidelines" WHO 1992

      38 Accardo, P. J., "Dictionary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rminology" P. H. Brooks Publishing 1996

      3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