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gukji』 written by Junggeo, Won who is a clerk of the 11th Kyemisahaeng in 1763 includes the general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Japan based on the experience of writer. Junggeo. Won`s experience in Japan, included in 『Hwaguji』 expresse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47857
2011
-
800
KCI등재
학술저널
173-199(27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wagukji』 written by Junggeo, Won who is a clerk of the 11th Kyemisahaeng in 1763 includes the general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Japan based on the experience of writer. Junggeo. Won`s experience in Japan, included in 『Hwaguji』 expresses ...
『Hwagukji』 written by Junggeo, Won who is a clerk of the 11th Kyemisahaeng in 1763 includes the general information and materials for Japan based on the experience of writer. Junggeo. Won`s experience in Japan, included in 『Hwaguji』 expresses thought and view of Joseon`s classical scholar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is paper considered the meaning and limitation. The content for Japan and Japanese, which is seen newly, is significant. Junggeo. Won relieves the existed negative awareness for Japanese by distinguishing Thusima people and insiders. And he observed and recorded Japanese culture of technology in detail and insisted that we must not consider Japan as barbarians anymore with transformation of Munpung recently. But, it includes the serious limitation for knowing Japan correctly with new sight. Although Japan seeds the bud of internationalization by importing the Western culture from Ahranta through Nagasaki. Japan. Junggeo, Won didn`t sense effects Japan was made by the West by setting in the Confucian cul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It means the limitation of Joseon`s classical scholar who didn`t keep up with international new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숙, "현천 원중거의 대마도인 인식과 그 의미 In 우리 한문학사의 해외체험" 집문당 185-221, 2006
2 한태문, "조선후기 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부산대학교 1995
3 이혜순, "조선통신사의 문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467, 1996
4 김경숙, "조선 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소명출판 2006
5 山口啓二, "일본 근세의 쇄국과 개국" 혜안 1-351, 2001
6 하우봉, "원중거의 화국지에 대하여" 전북대사학회 11 : 237-251, 1989
7 박재금, "원중거의 『화국지』를 통해 본 일본인식"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223-248, 2005
8 이혜순, "우리 한문학사의 해외체험" 집문당 1-366, 2006
9 박재금, "와신상담의 마음으로 일본을 기록하다" 소명출판 2006
10 倉田信靖,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일본유학의 특질" 퇴계학연구원 19 : 171-174, 1978
1 김경숙, "현천 원중거의 대마도인 인식과 그 의미 In 우리 한문학사의 해외체험" 집문당 185-221, 2006
2 한태문, "조선후기 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부산대학교 1995
3 이혜순, "조선통신사의 문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467, 1996
4 김경숙, "조선 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소명출판 2006
5 山口啓二, "일본 근세의 쇄국과 개국" 혜안 1-351, 2001
6 하우봉, "원중거의 화국지에 대하여" 전북대사학회 11 : 237-251, 1989
7 박재금, "원중거의 『화국지』를 통해 본 일본인식" 한국고전연구학회 12 : 223-248, 2005
8 이혜순, "우리 한문학사의 해외체험" 집문당 1-366, 2006
9 박재금, "와신상담의 마음으로 일본을 기록하다" 소명출판 2006
10 倉田信靖,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일본유학의 특질" 퇴계학연구원 19 : 171-174, 1978
11 三宅英利, "근세일본과 조선통신사" 경인문화사 1-237, 1994
12 쿠로즈미 마코토, "근대화의 경험과 동아시아 유교-일본의 경우" (12) : 161-, 2005
13 이덕무,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1978
14 신유한, "海遊錄" 민족문화추진회 Ⅰ : 1977
15 조 엄, "海槎日記 In 국역해행총재Ⅶ" 민족문화추진회 1977
16 남 옥, "日觀記"
17 성대중, "日本錄"
18 원중거, "和國志" 아세아문화사 영인
19 원중거, "乘槎錄"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조선후기 대청(對淸) 의식과 문화 수용 논리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구한말 동아시아 지식인의 문화비전 -창강 김택영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10-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86 | 1.77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