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Bertrand Westphal의 지리비평을 방법론으로 하여 도시, 교외지역을 배경으로 한 문학,문화 텍스트 안에서 실제와 상상의 공간이 만나고 상호작용하는 지점을 찾아 분석하고자 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8844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Bertrand Westphal의 지리비평을 방법론으로 하여 도시, 교외지역을 배경으로 한 문학,문화 텍스트 안에서 실제와 상상의 공간이 만나고 상호작용하는 지점을 찾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Bertrand Westphal의 지리비평을 방법론으로 하여 도시, 교외지역을 배경으로 한 문학,문화 텍스트 안에서 실제와 상상의 공간이 만나고 상호작용하는 지점을 찾아 분석하고자 한다. 도시와 교외지역의 공간 문제는 기존의 사회학적 접근방법이나 인문학적 연구 단독으로 파악, 해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특히 9/11 이후 미국의 Nationalism 담론이 20세기 후반에multiculturalism이 이룬 성과를 뒤엎고 겉으로는 colorblind인척 하지만 사실은 극도로 인종차별적인 노선을 따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 위해 『나는 전설이다』(2007)를 분석하면서 그 증거를 영화 속의 감염자들이 배치된 공간에서 찾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원작인 Richard Matheson의 소설 배경이 된 California의 교외도시인 Compton시가 1950년대에 처했던 인종 문제와의 대조를 통해 두 텍스트가 어떻게 각기 다른 공간에서 각기 다른, 하지만 일맥상통하는 인종 문제를 대면하고 있는지 다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