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定法師의 「詠孤石」詩考 = A Study on Dharma Master Chŏng’s “Singing of the Lone Roc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9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주로 南朝 陳代의 인물인 고구려 스님 정법사의 「영고석」시에서 ‘孤石’이 구체적으로 어떤 바위를 가리키는지, 그리고 시에 출현하는 ‘平湖’는 어느 호수인지를 밝히기 위하여 작성되었다.<BR>  정법사의 「영고석」은, 明代의 『古詩紀』뿐 아니라 唐代의 『初學記』와 宋代의 『文苑英華』 그리고 명대의 『古今禪藻集』 및 淸代의 『御定淵鑑類函』ㆍ『御定佩文齋詠物詩選』 등에 두루 수록되어 있다. 또 『초학기』와 『문원영화』 그리고 『고시기』에는 梁代의 인물인 朱超와 陳代의 佛僧인 惠標의 동일한 제명의 「영고석」 시가 각각 한 수씩 수록되어 있다. 이 세 사람의 시를 비교ㆍ검토한 결과, 이 세 수의 시는 내용상, 그리고 詩語의 사용상 모두 호수 한 가운데 우뚝 솟아난 동일한 孤石을 읊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주초와 혜표의 시에서 묘사된 ‘호수’는 중국 江西省에 위치한 ?陽湖이다. 따라서 정법사의 「영고석」에서의 ‘평호’ 역시 파양호를 가리킨다.<BR>  한편 파양호 속에 위치한 이 ‘고석’에 대해서는 이미 北魏 ?道元의 『水經注』에서 상세한 해설을 한 바 있고, 宋代의 『太平?宇記』를 비롯한 여러 지리서에는 ‘大孤山’ 또는 ‘鞋山’이라는 명칭으로 두루 수록되어 있다. 이 ‘고석’, 즉 대고산은 길이 약 500m 너비 약 200m, 면적 11,000㎡이고, 해발고도 90.7m에 달하는 바위산이며, 사면이 깎아지른 절벽인데 서남쪽에만 선착장과 정상으로 향하는 통로가 있다. 이 대고산은 북쪽 長江 속에 솟아있는 小孤山과 함께 역대로 唐代의 李德裕와 宋代의 蘇軟ㆍ黃庭堅을 비롯한 많은 문인들의 음영 대상이 되어왔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주로 南朝 陳代의 인물인 고구려 스님 정법사의 「영고석」시에서 ‘孤石’이 구체적으로 어떤 바위를 가리키는지, 그리고 시에 출현하는 ‘平湖’는 어느 호수인지를 ...

        이 논문은 주로 南朝 陳代의 인물인 고구려 스님 정법사의 「영고석」시에서 ‘孤石’이 구체적으로 어떤 바위를 가리키는지, 그리고 시에 출현하는 ‘平湖’는 어느 호수인지를 밝히기 위하여 작성되었다.<BR>  정법사의 「영고석」은, 明代의 『古詩紀』뿐 아니라 唐代의 『初學記』와 宋代의 『文苑英華』 그리고 명대의 『古今禪藻集』 및 淸代의 『御定淵鑑類函』ㆍ『御定佩文齋詠物詩選』 등에 두루 수록되어 있다. 또 『초학기』와 『문원영화』 그리고 『고시기』에는 梁代의 인물인 朱超와 陳代의 佛僧인 惠標의 동일한 제명의 「영고석」 시가 각각 한 수씩 수록되어 있다. 이 세 사람의 시를 비교ㆍ검토한 결과, 이 세 수의 시는 내용상, 그리고 詩語의 사용상 모두 호수 한 가운데 우뚝 솟아난 동일한 孤石을 읊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주초와 혜표의 시에서 묘사된 ‘호수’는 중국 江西省에 위치한 ?陽湖이다. 따라서 정법사의 「영고석」에서의 ‘평호’ 역시 파양호를 가리킨다.<BR>  한편 파양호 속에 위치한 이 ‘고석’에 대해서는 이미 北魏 ?道元의 『水經注』에서 상세한 해설을 한 바 있고, 宋代의 『太平?宇記』를 비롯한 여러 지리서에는 ‘大孤山’ 또는 ‘鞋山’이라는 명칭으로 두루 수록되어 있다. 이 ‘고석’, 즉 대고산은 길이 약 500m 너비 약 200m, 면적 11,000㎡이고, 해발고도 90.7m에 달하는 바위산이며, 사면이 깎아지른 절벽인데 서남쪽에만 선착장과 정상으로 향하는 통로가 있다. 이 대고산은 북쪽 長江 속에 솟아있는 小孤山과 함께 역대로 唐代의 李德裕와 宋代의 蘇軟ㆍ黃庭堅을 비롯한 많은 문인들의 음영 대상이 되어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em "Singing of the Lone Rock" by Dharma Master Ch?ng of Koguryo is recorded in 『ChuXueji 初學記』, 『WenYuanYingHua 文苑英華』, 『GuJinChanZaoJi 古今禪藻集』, and 『GuShiJi 古詩紀』. This essay is written for the clarification of the exact objects which the calm lake and the lone rock described in this poem indicate.<BR>  By examining the 『ChuXueJi』, 『WenYuanYingHua』 and 『GuJinChanZaoJi』,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ZhuChao(朱超) of the Liang(梁) Dynasty and HuiPiao(惠標) of the Chen(陳) Dynasty wrote the poems entitled "Singing of the Lone Rock" same as the poem of Dharma Master Ch?ng. These three poems are alike composed of four lines, each line five characters, therefore in sum twenty characters. The comparison of these poems indicates the close similarity of the contents and rhetoric of them The poems of ZhuChao and HuiPiao describe the figure of the Lone Rock emerging upright from the surface of the PoYang(?陽) Lake. Therefore the calm lake in the poem of Dharma Master Ch?ng also can be said to indicate the PoYang Lake.<BR>  This Lone Rock is already explained in details in 『ShuiJingZhu 水經注』, and described as the "DaGuShan 大孤山" or “XieShan 鞋山” in the topographical books such as the 『TiaPingHuanYuJi 太平?宇記』 and 『MingYiTongZhi 明一統志』. This Rock rising upright alone in the PoYang Lake is the rocky mountain 500m in length, 200m in width, 11,000㎡ in area, and 90.7m high above the sea level. Chinese poets have preferred to compose the poems about this Lone Rock such as ShuShi(蘇軾) and HuangTingJian(黃庭堅).
      번역하기

        The Poem "Singing of the Lone Rock" by Dharma Master Ch?ng of Koguryo is recorded in 『ChuXueji 初學記』, 『WenYuanYingHua 文苑英華』, 『GuJinChanZaoJi 古今禪藻集』, and 『GuShiJi 古詩紀』. This essay is written fo...

        The Poem "Singing of the Lone Rock" by Dharma Master Ch?ng of Koguryo is recorded in 『ChuXueji 初學記』, 『WenYuanYingHua 文苑英華』, 『GuJinChanZaoJi 古今禪藻集』, and 『GuShiJi 古詩紀』. This essay is written for the clarification of the exact objects which the calm lake and the lone rock described in this poem indicate.<BR>  By examining the 『ChuXueJi』, 『WenYuanYingHua』 and 『GuJinChanZaoJi』, we can find out the fact that ZhuChao(朱超) of the Liang(梁) Dynasty and HuiPiao(惠標) of the Chen(陳) Dynasty wrote the poems entitled "Singing of the Lone Rock" same as the poem of Dharma Master Ch?ng. These three poems are alike composed of four lines, each line five characters, therefore in sum twenty characters. The comparison of these poems indicates the close similarity of the contents and rhetoric of them The poems of ZhuChao and HuiPiao describe the figure of the Lone Rock emerging upright from the surface of the PoYang(?陽) Lake. Therefore the calm lake in the poem of Dharma Master Ch?ng also can be said to indicate the PoYang Lake.<BR>  This Lone Rock is already explained in details in 『ShuiJingZhu 水經注』, and described as the "DaGuShan 大孤山" or “XieShan 鞋山” in the topographical books such as the 『TiaPingHuanYuJi 太平?宇記』 and 『MingYiTongZhi 明一統志』. This Rock rising upright alone in the PoYang Lake is the rocky mountain 500m in length, 200m in width, 11,000㎡ in area, and 90.7m high above the sea level. Chinese poets have preferred to compose the poems about this Lone Rock such as ShuShi(蘇軾) and HuangTingJian(黃庭堅).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서언
        Ⅱ. 「詠孤石」의 詩語 표기상의 異同
        Ⅲ. 朱超 및 惠標의 「詠孤石」과의 비교
        Ⅳ. “孤石”의 실체
        Ⅴ. 「詠孤石」의 格律 분석
        Ⅵ. 「詠孤石」의 표기상의 混淆 검토
        Ⅶ. 결어
        提言
        參考文獻
        Abstract
        [부록]
      • 국문초록
        Ⅰ. 서언
        Ⅱ. 「詠孤石」의 詩語 표기상의 異同
        Ⅲ. 朱超 및 惠標의 「詠孤石」과의 비교
        Ⅳ. “孤石”의 실체
        Ⅴ. 「詠孤石」의 格律 분석
        Ⅵ. 「詠孤石」의 표기상의 混淆 검토
        Ⅶ. 결어
        提言
        參考文獻
        Abstract
        [부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