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Centered o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6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numerical data on the status of music therapy practices i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for music therapists and coordinators were sent to 54 coordinators via email, and 47 (87%) hospitals and centers replied by email or post. The survey period was October 30 through December 5, 2014. Music therapists were asked to respond to 65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environment, session process, and personal competence. Coordinators were asked to complete 28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n their perspective setting. Twenty-two (46.8%) hospitals and centers were running music therapy programs with 28 music therapists, and 19 (67.9%) of these music therapists majored in music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therapists (M=3.43, SD=0.96) and coordinators (M=2.73, SD=0.77) regar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music therapy sessions (p<.05).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for music therapy are inadquate for optimal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practice. However, the perceived benefits of music therapy by coordinators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s research provides the first quantitative baseline data of music therapy statu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provides numerical data on the status of music therapy practices i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for music therapists and coordinators were sent to 54 coordinators via email, and 47 (87%) ho...

      This study provides numerical data on the status of music therapy practices i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for music therapists and coordinators were sent to 54 coordinators via email, and 47 (87%) hospitals and centers replied by email or post. The survey period was October 30 through December 5, 2014. Music therapists were asked to respond to 65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environment, session process, and personal competence. Coordinators were asked to complete 28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n their perspective setting. Twenty-two (46.8%) hospitals and centers were running music therapy programs with 28 music therapists, and 19 (67.9%) of these music therapists majored in music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therapists (M=3.43, SD=0.96) and coordinators (M=2.73, SD=0.77) regar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music therapy sessions (p<.05).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for music therapy are inadquate for optimal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practice. However, the perceived benefits of music therapy by coordinators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s research provides the first quantitative baseline data of music therapy statu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3.43, SD=0.96)와 코디네이터(M=2.73, SD=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3.43, SD=0.96)와 코디네이터(M=2.73, SD=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건세,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곤 현황 및 과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1 (11): 196-205, 2008

      2 강진아,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의 지역적 변이-2008년 말기 암환자 전문기관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기관 인력을 중심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2 (12): 132-138, 2009

      3 백유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실태조자"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5 (5): 31-42, 2002

      4 김은정, "음악치료가 암환자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16 (16): 1-20, 2014

      5 경민호,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3 (13): 143-152, 2010

      6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tilization rat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

      7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Therapeutic music services at-a-glance"

      8 Magill, L, "The use of music therapy to address the suffering in advanced cancer pain" 17 (17): 167-172, 2001

      9 Curtis, S. L, "The effect of music on pain relief and relaxation of the terminally ill" 23 (23): 10-24, 1986

      10 Certification Board for Music Therapists, "The certification board for music therapists"

      1 이건세,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곤 현황 및 과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1 (11): 196-205, 2008

      2 강진아,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의 지역적 변이-2008년 말기 암환자 전문기관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기관 인력을 중심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2 (12): 132-138, 2009

      3 백유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실태조자"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5 (5): 31-42, 2002

      4 김은정, "음악치료가 암환자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 16 (16): 1-20, 2014

      5 경민호,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3 (13): 143-152, 2010

      6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tilization rat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

      7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Therapeutic music services at-a-glance"

      8 Magill, L, "The use of music therapy to address the suffering in advanced cancer pain" 17 (17): 167-172, 2001

      9 Curtis, S. L, "The effect of music on pain relief and relaxation of the terminally ill" 23 (23): 10-24, 1986

      10 Certification Board for Music Therapists, "The certification board for music therapists"

      11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Scope of music therapy practice 2015"

      12 Kim, M. Y, "Recognition of terminal status of cancer patients in hospice palliative units and their family’s" Ewha Womans University 2014

      13 Kübler, R, "Questions and answers on death and dying : A companion volume to on death and dy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74

      14 National Hospice and Pallative Care Organization, "NHPCO facts and figures: Hospicecare in America"

      15 Gutgsell, K. J, "Music therapy reduces pain in palliative carepatients : Arandomized controlled trial" 45 (45): 822-831, 2013

      16 Dimaio, L, "Music therapy entrainment : A humanistic music therapist’s perspective of using music therapy entrainment with hospice clients experiencing pain" 28 (28): 106-115, 2010

      17 Gordon, M, "Music at the end of life. Bringing comfort and saying goodbye through song and story" 21 (21): 24-29, 2013

      18 Minnesota House of Representatives, "Minnesota statutes 2006(214.002)"

      19 National Hospice and Pallative Care Organization, "Hospice: A historical perspective"

      20 Hilliard, R. 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music therapy: A guide to program development and clinical care"

      21 Bercovitz, A, "Complementary andalternative therapies in hospice: The national home and hospice caresurvey: UnitedStates, 2007"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0

      22 O’Callaghan, C, "Bringing music to life : A study of music therapy and palliative care experiences in a cancer hospital" 17 (17): 155-160, 2001

      23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AMTA member survey and workforce analysis"

      24 Demmer, C, "A survey of complementary therapy services provided by hospices" 7 (7): 510-516, 2004

      25 Yoon, M. Y,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qualification procedures of music therapist in Korea and the comparison with qualification procedures in other countries" Sungshin Womans University 2014

      26 Shin, H. H, "A study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criminal law"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27 Kim, Y. L, "A case study of song psychotherapy for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life review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Sungshin Womans University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3-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음악치료교육연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46 0.741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