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마음이론에 대한 다학문적 연구: 진화적 관점에 기초한 발달심리, 정서심리, 정신병리 및 신경과학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volutionary viewpoint about theory of mind assumes that the ability to read the mental states and emotional states is one of the essential abilities to human beings who have to live social life with other people. These studies approached theory of mind interdisciplinary based on the evolutionary viewpoint; developmental psychology, psychopathology, and neuroscience.

      These studies dealt with three important questions that the evolutionary viewpoints about theory of mind have raised.
      (1) Do the mindreading abilities develop during the developmental course
      (2) Where do the mindreading abilities substantiated in the brain
      (3)Are the mindreading abilities related to social competence Is the person who is better at mindreading more sociable

      In order to deal with these three questions, the mindreading abil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component abilities, such as ① the ability to perceive moving things as intentional agents with mental states such as intentions and desires (intentionality reading), ② the ability to infer other’s mental states from their actions and verbal expressions (mental states reading), ③ the ability to infer other’s emotional states through their facial expressions (emotional states reading). Eight studi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indreading abilities increased as children got older, but the developmental patterns differed among the three component abilities. Even though the 3-year-olds interpreted the moving things as intentional objects, the intentionality reading increased dramatically between 7 and 9 years old (Study 1). For the mental state reading, progressive attainment of the various mental states reading had been found: children understood desire at age 3, beliefs and false beliefs at age 4, apparent emotion and traits at age 5, second-order false beliefs and misunderstanding at age 7, irony and white lie at age 9, and faux pas at 11 years of age (Study 2). The emotional states reading abilities increased as children got older by 9 years old and did not increased after 9 years of age. Children read the emotional states more accurately from the whole face than from the eye regions, and basic emotions better than the complex emotions (Study 3).

      Second, the following neurological substrates of mindreading abilities had been suggested from the fMRI studies. While the subjects were looking at the moving objects, the left superior temporal gyrus, parahippocampal gyrus, postcentral gyrus and the right inferior occipital gyrus, inferior parietal lobule, middle frontal gyrus were activated (Study 4). In contrast, frontal and temporal regions were activated while the subjects were doing false belief and faux pas tasks which required the mental states reading (Study 5). Amygdala and frontal regions had been activated for emotional states reading (Study 6).

      Third, the mindreading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competence, such as social skill and social preference (Study 7). Among three component mindreading abilities, the intentionality reading ability did not related to the social competence in all the five age groups from 5-year-olds to 13-year-olds. In contrast, the mental states reading and emotional states reading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compet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reading abilities and social competence was demonstrated in the groups that had social disabilities or problems (Study 8). The children who had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the prisoners in jail performed the mental states reading and emotional states reading worse that the typical children and the adults. In addition, the popular children performed better than the rejected children.
      번역하기

      The evolutionary viewpoint about theory of mind assumes that the ability to read the mental states and emotional states is one of the essential abilities to human beings who have to live social life with other people. These studies approached theory o...

      The evolutionary viewpoint about theory of mind assumes that the ability to read the mental states and emotional states is one of the essential abilities to human beings who have to live social life with other people. These studies approached theory of mind interdisciplinary based on the evolutionary viewpoint; developmental psychology, psychopathology, and neuroscience.

      These studies dealt with three important questions that the evolutionary viewpoints about theory of mind have raised.
      (1) Do the mindreading abilities develop during the developmental course
      (2) Where do the mindreading abilities substantiated in the brain
      (3)Are the mindreading abilities related to social competence Is the person who is better at mindreading more sociable

      In order to deal with these three questions, the mindreading abil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component abilities, such as ① the ability to perceive moving things as intentional agents with mental states such as intentions and desires (intentionality reading), ② the ability to infer other’s mental states from their actions and verbal expressions (mental states reading), ③ the ability to infer other’s emotional states through their facial expressions (emotional states reading). Eight studi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indreading abilities increased as children got older, but the developmental patterns differed among the three component abilities. Even though the 3-year-olds interpreted the moving things as intentional objects, the intentionality reading increased dramatically between 7 and 9 years old (Study 1). For the mental state reading, progressive attainment of the various mental states reading had been found: children understood desire at age 3, beliefs and false beliefs at age 4, apparent emotion and traits at age 5, second-order false beliefs and misunderstanding at age 7, irony and white lie at age 9, and faux pas at 11 years of age (Study 2). The emotional states reading abilities increased as children got older by 9 years old and did not increased after 9 years of age. Children read the emotional states more accurately from the whole face than from the eye regions, and basic emotions better than the complex emotions (Study 3).

      Second, the following neurological substrates of mindreading abilities had been suggested from the fMRI studies. While the subjects were looking at the moving objects, the left superior temporal gyrus, parahippocampal gyrus, postcentral gyrus and the right inferior occipital gyrus, inferior parietal lobule, middle frontal gyrus were activated (Study 4). In contrast, frontal and temporal regions were activated while the subjects were doing false belief and faux pas tasks which required the mental states reading (Study 5). Amygdala and frontal regions had been activated for emotional states reading (Study 6).

      Third, the mindreading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competence, such as social skill and social preference (Study 7). Among three component mindreading abilities, the intentionality reading ability did not related to the social competence in all the five age groups from 5-year-olds to 13-year-olds. In contrast, the mental states reading and emotional states reading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compet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reading abilities and social competence was demonstrated in the groups that had social disabilities or problems (Study 8). The children who had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the prisoners in jail performed the mental states reading and emotional states reading worse that the typical children and the adults. In addition, the popular children performed better than the rejected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얼굴표정에서 그 사람의 마음상태나 정서상태를 읽고 추론하는 능력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살아나가는 인간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능력인 만큼, 진화적 관점에서는 마음읽기 능력을 진화의 산물로 본다. 본 연구는 마음읽기 능력을 진화적 관점에 기초하여 발달심리학적, 정서심리학적, 정신병리학적, 그리고 신경과학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마음이론을 진화적 관점에서 접근할 때 제기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물음을 다루었다.
      ⑴ 마음읽기 능력은 발달과정에서 어떤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가
      ⑵ 마음읽기는 뇌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 진화적 관점에서 뇌는 자연선택과정에서 특정 적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된 특정 기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뇌에는 마음읽기를 담당하는 기제가 존재할 것이다.
      ⑶ 마음읽기 능력은 사회적 적응능력과 관련이 있는가 즉 마음읽기를 잘 하는 사람이 사회적으로 더 유능한가

      이러한 세 가지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마음읽기 능력을 ① 움직이는 자극을 바람, 목적, 정서와 같은 마음상태를 가지고 있는 행위자로 해석하는 지향적 해석 능력, ② 행동이나 말에서 마음상태를 읽는 능력, 그리고 ③ 표정에서 정서상태를 읽는 능력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으며, 3년에 걸쳐서 8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세 가지 큰 주제와 관련하여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읽기 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마음읽기 능력에 따라 발달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마음읽기 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능력은 움직이는 대상을 목적, 바람, 정서와 같은 마음상태를 가지고 행동하고 있는 행위자인 것으로 해석하는 지향적 해석 능력이다. 만 3세 정도의 어린 아동도 움직이는 자극을 지향적으로 해석하였으나 그 정도는 7세에서 9세 사이에 급격하게 향상되어서 두 자극이 교류하듯이 움직일 때 지향적으로 해석하는 정도가 크게 증가하였다(연구1). 행동이나 말에서 마음상태를 읽는 능력은 마음상태의 종류에 따라 이해하게 되는 시점이 달랐다. 바람은 3세, 시선, 믿음과 틀린 믿음은 4세, 정서위장과 특질은 5세, 2차 틀린 믿음과 오해의 말은 7세, 풍자와 선의의 거짓말은 9세, 헛디딤 말은 11세 정도에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2). 표정에서 정서상태를 읽는 능력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으나 9에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모든 연령대에서 눈표정보다 얼굴표정에서, 복합정서보다는 기본정서에서 정서상태 읽기를 더 잘 하였다(연구3).

      둘째, 마음읽기 능력의 신경생물학적 기제를 찾기 위하여 세 가지 하위 마음읽기 능력이 사용될 때 활성화 되는 뇌영역을 확인하는 fMRI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마음읽기 능력의 신경생물학적 기제를 시사받을 수 있었다.
      움직이는 자극에서 지향성을 탐지할 때에는 좌반구의 상측두회, 해마방회, 중심후회와 우반구의 하후두회, 하두정소엽과 중전두회가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연구 4). 마음상태 읽기가 요구되는 틀린 믿음 및 헛디딤 과제 수행 시에는 타인의 마음상태를 표상하는 전두 및 측두 영역이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5). 얼굴표정에서 정서상태를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할 때에는 편도와 전두 영역이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6).
      번역하기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얼굴표정에서 그 사람의 마음상태나 정서상태를 읽고 추론하는 능력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살아나가는 인간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능력인 만큼, 진화적 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얼굴표정에서 그 사람의 마음상태나 정서상태를 읽고 추론하는 능력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살아나가는 인간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능력인 만큼, 진화적 관점에서는 마음읽기 능력을 진화의 산물로 본다. 본 연구는 마음읽기 능력을 진화적 관점에 기초하여 발달심리학적, 정서심리학적, 정신병리학적, 그리고 신경과학적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마음이론을 진화적 관점에서 접근할 때 제기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물음을 다루었다.
      ⑴ 마음읽기 능력은 발달과정에서 어떤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가
      ⑵ 마음읽기는 뇌에서 어떻게 구현되는가 진화적 관점에서 뇌는 자연선택과정에서 특정 적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화된 특정 기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뇌에는 마음읽기를 담당하는 기제가 존재할 것이다.
      ⑶ 마음읽기 능력은 사회적 적응능력과 관련이 있는가 즉 마음읽기를 잘 하는 사람이 사회적으로 더 유능한가

      이러한 세 가지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마음읽기 능력을 ① 움직이는 자극을 바람, 목적, 정서와 같은 마음상태를 가지고 있는 행위자로 해석하는 지향적 해석 능력, ② 행동이나 말에서 마음상태를 읽는 능력, 그리고 ③ 표정에서 정서상태를 읽는 능력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으며, 3년에 걸쳐서 8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세 가지 큰 주제와 관련하여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읽기 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마음읽기 능력에 따라 발달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마음읽기 능력의 가장 기본이 되는 능력은 움직이는 대상을 목적, 바람, 정서와 같은 마음상태를 가지고 행동하고 있는 행위자인 것으로 해석하는 지향적 해석 능력이다. 만 3세 정도의 어린 아동도 움직이는 자극을 지향적으로 해석하였으나 그 정도는 7세에서 9세 사이에 급격하게 향상되어서 두 자극이 교류하듯이 움직일 때 지향적으로 해석하는 정도가 크게 증가하였다(연구1). 행동이나 말에서 마음상태를 읽는 능력은 마음상태의 종류에 따라 이해하게 되는 시점이 달랐다. 바람은 3세, 시선, 믿음과 틀린 믿음은 4세, 정서위장과 특질은 5세, 2차 틀린 믿음과 오해의 말은 7세, 풍자와 선의의 거짓말은 9세, 헛디딤 말은 11세 정도에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2). 표정에서 정서상태를 읽는 능력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으나 9에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모든 연령대에서 눈표정보다 얼굴표정에서, 복합정서보다는 기본정서에서 정서상태 읽기를 더 잘 하였다(연구3).

      둘째, 마음읽기 능력의 신경생물학적 기제를 찾기 위하여 세 가지 하위 마음읽기 능력이 사용될 때 활성화 되는 뇌영역을 확인하는 fMRI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마음읽기 능력의 신경생물학적 기제를 시사받을 수 있었다.
      움직이는 자극에서 지향성을 탐지할 때에는 좌반구의 상측두회, 해마방회, 중심후회와 우반구의 하후두회, 하두정소엽과 중전두회가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연구 4). 마음상태 읽기가 요구되는 틀린 믿음 및 헛디딤 과제 수행 시에는 타인의 마음상태를 표상하는 전두 및 측두 영역이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5). 얼굴표정에서 정서상태를 판단하는 과제를 수행할 때에는 편도와 전두 영역이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