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다약제내성 발현 암세포에서 99mTc-sestamibi와 99mTc-tetrofosmin 섭취의 비교 = Comparison of the Uptakes of 99mTc-sestamibi and 99mTc-tetrofosmin in Cancer Cell Lines Expressing Multidrug Resis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8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다약제내성이 유발된 암세포에서 ^99mTc-sestamibi와 ^99mTc-tetrofosmin의 암세포 내 섭취정도를 비교하고 다약제내성 극복제로 잘 알려진 verapamil 과 cyclosporin A 처리에 의한 두 방사성 의약품...

      목적 : 다약제내성이 유발된 암세포에서 ^99mTc-sestamibi와 ^99mTc-tetrofosmin의 암세포 내 섭취정도를 비교하고 다약제내성 극복제로 잘 알려진 verapamil 과 cyclosporin A 처리에 의한 두 방사성 의약품의 암세포 내 섭취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재료 및 방법 : Doxorubicin으로 다약제내성이 유발된 HCT15/CL02 대장암 세포와 doxorubicin과 vincristine으로 다약제내성을 유발시킨 K562(Adr)과 K562(Vcr) 백혈병 세포를 사용하였다. 다약제내성의 발현은 RT-PCR로 증명하였으며, vetapamil은 1, 10, 50, 100, 200 ㎛의 농도로, cyclosporin A는 0.1, 1, 10, 50, 100 ㎛의 농도로 각각 사용하였다. MIBI와 tetrofosmin의 암세포내 섭취는 37℃에서 1 × 10_6 cell/㎖ 농도의 단일세포 부유상태에서 1, 15, 30, 45, 60분 간격으로 배양하여 각 시간대별로 상층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각각의 방사능을 감마 계수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 다약제내성이 발현된 암세포에서는 모세포에 비하여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가 감소되었다. 두 방사성약품의 섭취정도는 HCT15/CL02세포와 K562(Adr)세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K562(Vcr)세포에서는 MIBI가 tetrofosmin보다 다소 높았다. Verapamil과 cyclosporin A를 처리하였을 때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율은 기저치보다 모두 증가하였고, verapamil에 의한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율(30분)을 기저치(30분)와 비교해 본 결과 HCT15/CL02세포에서 (100㎛)는 각각 11.9배와 6.8배, K562(Adr)세포에서(50 ㎛)는 각각 14.3배와 8배, K562(Vcr)세포에서(10㎛)는 각각 7배와 5.7배 증가하였다. Cyclosporin A에 의한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율(30분)을 기저치(30분)와 비교해 본 결과 HCT15/CL02세포에서(50 ㎛)는 각각 10배와 2.4배, K562(Adr)세포에서(50 ㎛)는 각각 44배와 13배, K562(Vcr)세포에서(10㎛)는 각각 18.8배와 11.8배 증가하여, MIBI의 섭취율이 tetrofosmin보다 1.2배에서 4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로 보아 MIBI와 tetrofosmin은 다약제내성의 발현을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성의약품으로 판단되며, 다약제내성 극복제의 효능평가에는 MIBI가 tetrofosmin보다 더 우수할 것으로 사료되나, 세포주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세포주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Cellular uptakes of ^99mTc-sestamibi(MIBI) and ^99mTc-tetrofosmin into cancer cell lines expressing multidrug resistance(MDR)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effects of verapamil and cyclosporin A, well-known multidrug resistant reversin...

      Purpose : Cellular uptakes of ^99mTc-sestamibi(MIBI) and ^99mTc-tetrofosmin into cancer cell lines expressing multidrug resistance(MDR)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effects of verapamil and cyclosporin A, well-known multidrug resistant reversing agents, on cellular uptake of both tracers were also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 Doxorubicin-resistant HCT15/CL02 human colorectal cell and doxorubicin-resistant K562(Adr) and vincristine-resistant K562(Vcr) human leukemic cells were studied. RT-PCR analysis was used for the detection of mdr1 mRNA expression. MDR-reversal effects with verapamil and cyclosporine A were evaluated at different drug concentrations after incubation with MIBI and tetrofosmin for 1, 15, 30, 45 and 60 min, using single-cell suspensions at 1×10_6 cell/㎖ incubated at 37℃. Radioactivity in supernatants and pellets were measured with gamma well counter. Results : The cellular uptakes of MIBI and tetrofosmin in K562(Adr) and K562(Vcr) were lower than those of parental J562 cell. In HCT15/CL02 cells and K562(Adr) cel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ular uptakes of both tracers, but cellular uptake of MIBI was higher than that of tefrofosmin in K562(Vcr) cells. Coincubation with verapamil resulted in a increase in cellular uptakes of MIBI and tetrofosmin. Verapamil increased cellular uptakes of MIBI and tetrofosmin by HCT15/CL02 cell by 11.9- and 6.8-fold, by K562(Adr) cell by 14.3- and 8-fold and by K562(Vcr) cell by 7- and 5.7-fold in maximum, respectively. Cyclosporin A increased cellular uptakes of MIVi and tetrofosmin by HCT15/CL02 cell by 11.9- and 6.8-fold, by K562(Adr) cell by 14.3- and 8-fold and by K562(Vcr) cell by 7- and 4.7-fold in maximum, respectively. Cyclosporin A increased cellular uptakes of MIBI and tetrofosmin by HCT15/CL02 cell by 10- and 2.4-fold, by K562(Adr) cell 44- and 13-fold and by K562(Vcr) cell by 18.8- and 11.8-fold in maximum, respectively. Conclusion : Taking together, MIBI and tetrofosmin are considered as suitable radiopharmaceuticals for detecting multidrug resistance. However, MIBI seems to be a better tracer than tetrofosmin for evaluation MDR reversal effect of the modulators. Since cellular uptakes of both tracers might differ in different cell types, further experiments regarding differences in cellular uptakes between cell types should be explor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외국어명 : 미등록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핵의학 분자영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8 0.27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