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구례지역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에 대한 연구 = The Study of Natural Background of Geologic Units for Stream Sediments in the Gurye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76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구례지역의 1차 계수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을 채취하여 지질집단별 주성분 및 미량성분원소의 자연배경치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하상퇴적물은 구례지형도에서 오염의 우려가 없고 단일지질로 구성된 집수분지를 대표할 수 있는 시료를 1999년 4월과 5월에 걸쳐 채취하였고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해원소들의 부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olerable level을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 일부 지역에서 Ni과 Cr의 함량이 tolerable level의 허용한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이들 지역의 기반암인 변성암류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해금속원소의 종합적인 부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tolerable level을 이용하여 부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화강편마암지역은 0.39, 반상변정질화강편마암지역은 0.32, 흑운모편마암지역은 0.42, 혼성편마암지역은 0.41, 응회암지역은 0.30, 안산암지역은 0.46, 역암지역은 0.42, 화강암지역은 0.26으로 매우 낮은 부화지수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연구지역의 자연배경치는 유해금속원소의 오염에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구례지역의 1차 계수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을 채취하여 지질집단별 주성분 및 미량성분원소의 자연배경치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하상퇴적물은 구례지형도에서 오염의 우려가 없고 단일지...

      구례지역의 1차 계수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을 채취하여 지질집단별 주성분 및 미량성분원소의 자연배경치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하상퇴적물은 구례지형도에서 오염의 우려가 없고 단일지질로 구성된 집수분지를 대표할 수 있는 시료를 1999년 4월과 5월에 걸쳐 채취하였고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해원소들의 부화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olerable level을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 일부 지역에서 Ni과 Cr의 함량이 tolerable level의 허용한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이들 지역의 기반암인 변성암류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해금속원소의 종합적인 부화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tolerable level을 이용하여 부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화강편마암지역은 0.39, 반상변정질화강편마암지역은 0.32, 흑운모편마암지역은 0.42, 혼성편마암지역은 0.41, 응회암지역은 0.30, 안산암지역은 0.46, 역암지역은 0.42, 화강암지역은 0.26으로 매우 낮은 부화지수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연구지역의 자연배경치는 유해금속원소의 오염에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ollected the samples of stream sediments from primary channels in order to establish natural background of major and minor elements for geologic units in the Gurye area. Stream sediments samples having no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effect and representing drainage basins composed of uniform geology,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in 1999, the chemical analysis of which was carried out. The tolerable lev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nrichment degree of harmful elements. The contents of Ni and Cr exceeded the tolerance level in some sections. The tolerance level excess of those elements was regarded as the effect of the metamorphic rock which constituted the bed rock of the area.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enrichment pattern, the tolerable level was used in calculating the enrichment index. The enrichment index of harmful heavy metals showed that Granite gneiss area is 0.39, Porphyroblastic granite gneiss area 0.32, Biotite gneiss area 0.42, Migmatitic gneiss area 0.41, Tuff area 0.30, Andesite area 0.46, Congromerate area 0.42, and Granite area 0.26. Thos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background of Gurye area had not been exposed to harmful heavy metal elements.
      번역하기

      We collected the samples of stream sediments from primary channels in order to establish natural background of major and minor elements for geologic units in the Gurye area. Stream sediments samples having no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effect and re...

      We collected the samples of stream sediments from primary channels in order to establish natural background of major and minor elements for geologic units in the Gurye area. Stream sediments samples having no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effect and representing drainage basins composed of uniform geology,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in 1999, the chemical analysis of which was carried out. The tolerable lev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nrichment degree of harmful elements. The contents of Ni and Cr exceeded the tolerance level in some sections. The tolerance level excess of those elements was regarded as the effect of the metamorphic rock which constituted the bed rock of the area.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enrichment pattern, the tolerable level was used in calculating the enrichment index. The enrichment index of harmful heavy metals showed that Granite gneiss area is 0.39, Porphyroblastic granite gneiss area 0.32, Biotite gneiss area 0.42, Migmatitic gneiss area 0.41, Tuff area 0.30, Andesite area 0.46, Congromerate area 0.42, and Granite area 0.26. Thos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background of Gurye area had not been exposed to harmful heavy metal elem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6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