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잔디밭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개선하여 잔디의 생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토양 개량재들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돈분 50%를 주성분으로 한 새로운 유기질 개량재가 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69034
200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40(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잔디밭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개선하여 잔디의 생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토양 개량재들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돈분 50%를 주성분으로 한 새로운 유기질 개량재가 들...
지금까지 잔디밭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개선하여 잔디의 생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토양 개량재들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돈분 50%를 주성분으로 한 새로운 유기질 개량재가 들잔디와 한지형 잔디의 생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온실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모래에 동물성 유기질 토양 개량재(Animal Organic Soil Amendment, AOSA)를 10%, 20% 그리고 30% 혼합한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분석하였으며, 각 처리구에서 들잔디와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가시적 품질과 뿌리길이를 조사하였다.
모래에 AOSA를 10~30% 혼합할 경우 토양의 화학성이 크게 개선되며 특히 20% 혼합 처리구의 유기물은 0.7%로 이는 USGA(미국골프협회)의 그린 기준에 적합한 수준이다. 또한, AOSA 30% 혼합 처리구의 유기질함량은 1.1%로 이는 들잔디 지반에 적합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토양 물리성에서는, 모래에 AOSA를 혼합한 경우 투수계수가 감소하였는데 모래의 경우 높은 투수계수를 가지고 있으므로 잔디밭 토양의 투수계수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AOSA를 10~30%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 생육은 AOSA를 10~30% 혼합한 경우 90일까지 들잔디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시각적 품질이 모두 크게 상승하였으며 들잔디에서는 20%와 30%처리구의 뿌리길이가 좋았으며 켄터 키블루그래스에서는 20% 처리구의 뿌리길이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시적 품질 외에 잔디의 뿌리생육, 유기물 함량 그리고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들잔디에는 모래에 유기질 개량재를 20~30% 혼합하는 것이 좋고, 한지형인 켄터키 블루그래스 상토에는 20% 혼합하는 것이 적정한 혼합비율이라고 판단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soil amendments have been used nowadays to improve physical and chmical condition of turf soil, which might ultimately optimize turfgrass growth in golf cour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w organic soil amendment ...
Many soil amendments have been used nowadays to improve physical and chmical condition of turf soil, which might ultimately optimize turfgrass growth in golf cour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w organic soil amendment containing pig excreta 50% and sawdust 50% on growth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L.) and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in greenhouse.
Three applicable treatments with soil mixtures of 10, 20, and 30% (v/v) animal organic soil amendment(AOSA) with sand, were tested for chemical property, physical property, visual quality and root length of zoysiagrass and Kentucky bluegrass. As results, application of 10~30% AOSA mixtures were proper to grow turfgrass in soil nutrition. Especially, the treatment with 20% AOSA mixtures showed 0.7% in organic matter, which meets to green standard of USGA. Also, 30% AOSA mixtures was 1.1% in organic matter, which might be desirable for zoysiagrass-planted golf courses in Korea.
It was turned out that addition of AOSA decreased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 soil physical property. Because the sand possess high hydraulic conductivity, it is recommended to combine 10~30% AOSA with sand in order to sustain soil balance.
The treatment with 10~30% AOSA noticeably increased visual quality of both zoysiagras and Kentucky bluegrass during 90 days. However, treatments with either 20% or 30% AOSA were effective to develop root length of zoysiagrass but treatments with 20% AOSA were more effective than that of 30% AOSA mixtures to promote root length of Kentucky bluegrass at 60 days. In conclusion, considering all vital factors such as visible quality, root growth, organic matter content, and economical efficiency, was taken, it is recommended that a 20~30% mixture of AOSA with sand is good for the growth of zoysiagrass and 20% mixture for Kentucky bluegrass.
Fenitrothion과 Tebuconazole의 입상 활성탄 및 차콜에 의한 흡착과 용탈에 관한 연구
식물유래 천연물, TGR-N1의 잔디 진균병에 대한 방제효과 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