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광단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 및 계획적 함의 - 인천 운북 복합레저단지를 사례로 - = Prediction of CO2 Emission from Tourism Complex and Planning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urism emits considerable amount of greenhouse gases by variety of activi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investigate how tourism generates GHG emission and should be measure to reduce GHG emissions. Because tourism complex including accommodations, restaurants and conveniences etc. occupy wide area, it consumes energy concomitant carbon emiss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 CO2 emissions of tourism complex as estimate emissions of Unbuk Leisure Complex. The study suggests planning implications for low carbon tourism complex. The result of estimate shows that the reduction of tourism should be focus on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system. Tourism complex should be efficiently designed and managed to reduce emission.
      번역하기

      Tourism emits considerable amount of greenhouse gases by variety of activi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investigate how tourism generates GHG emission and should be measure to reduce GHG emissions. Because tourism complex including accommod...

      Tourism emits considerable amount of greenhouse gases by variety of activi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investigate how tourism generates GHG emission and should be measure to reduce GHG emissions. Because tourism complex including accommodations, restaurants and conveniences etc. occupy wide area, it consumes energy concomitant carbon emiss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 CO2 emissions of tourism complex as estimate emissions of Unbuk Leisure Complex. The study suggests planning implications for low carbon tourism complex. The result of estimate shows that the reduction of tourism should be focus on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system. Tourism complex should be efficiently designed and managed to reduce emi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관광산업은 많은 활동에 의해 상당량의 온실가스를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관광산업이 얼마만큼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지를 파악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광단지는 관광객들을 위한 숙박시설, 식음시설 등 여러 편의시설이 한 곳에 집적되어 있는 일정한 지역이기 때문에 탄소 배출을 수반하는 많은 에너지 소비 활동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운북 복합레저단지를 사례로 CO2 발생량을 산정·추정하여 관광단지의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밝히고 저탄소형 관광단지가 될 수 있는 계획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상지의 CO2 배출량 예측 결과, 관광산업의 온실가스 저감은 시설과 이동 수단에 집중되어야 한다. 관광단지는 여러 활동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공간으로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축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설계·운영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관광산업은 많은 활동에 의해 상당량의 온실가스를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관광산업이 얼마만큼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지를 파악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광산업은 많은 활동에 의해 상당량의 온실가스를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관광산업이 얼마만큼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지를 파악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광단지는 관광객들을 위한 숙박시설, 식음시설 등 여러 편의시설이 한 곳에 집적되어 있는 일정한 지역이기 때문에 탄소 배출을 수반하는 많은 에너지 소비 활동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운북 복합레저단지를 사례로 CO2 발생량을 산정·추정하여 관광단지의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밝히고 저탄소형 관광단지가 될 수 있는 계획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상지의 CO2 배출량 예측 결과, 관광산업의 온실가스 저감은 시설과 이동 수단에 집중되어야 한다. 관광단지는 여러 활동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공간으로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축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설계·운영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순, "집단에너지사업의 필요성과 전망" 48 (48): 27-29, 1999

      2 변병설, "지속가능한 생태도시계획" 국토지리학회 39 (39): 491-500, 2005

      3 문화체육관광부, "제3차 관광진흥 5개년 계획" 2009

      4 지식경제부, "에너지총조사 보고서" 2008

      5 경기개발연구원, "도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 방안" 2009

      6 김홍배, "도시 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35-48, 2010

      7 김남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관광의 연구과제 모색" 한국관광학회 33 (33): 85-104, 2009

      8 변병설, "기후변화대응계획 지표 개발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611-620, 2009

      9 조리나, "기후 변화가 겨울철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 해외 연구 동향 분석 -" 기후연구소 4 (4): 118-127, 2009

      10 환경부·환경관리공단,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2008

      1 이상순, "집단에너지사업의 필요성과 전망" 48 (48): 27-29, 1999

      2 변병설, "지속가능한 생태도시계획" 국토지리학회 39 (39): 491-500, 2005

      3 문화체육관광부, "제3차 관광진흥 5개년 계획" 2009

      4 지식경제부, "에너지총조사 보고서" 2008

      5 경기개발연구원, "도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및 흡수효과 증진 방안" 2009

      6 김홍배, "도시 내 탄소발생량 산정과 저탄소도시 개발의 핵심부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35-48, 2010

      7 김남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관광의 연구과제 모색" 한국관광학회 33 (33): 85-104, 2009

      8 변병설, "기후변화대응계획 지표 개발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611-620, 2009

      9 조리나, "기후 변화가 겨울철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 해외 연구 동향 분석 -" 기후연구소 4 (4): 118-127, 2009

      10 환경부·환경관리공단,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 2008

      1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관광산업의 신성장 모델 : 저탄소 녹색관광" 2010

      12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07

      13 박소연, "경인권 해양관광자원 개발사업의 특성분석" 국토지리학회 43 (43): 587-597, 2009

      14 Susanne Becken, "Understanding energy consumption patterns of tourist attractions and activities in New Zealand" 23 : 343-354, 2002

      15 Janet E Dickinson, "Tourism and climate change - An introduction" 18 : 445-446,

      16 Sabine Perch-Nielsen, "The greenhouse gas intensity of the tourism sector: The case of Switzerland" 13 : 131-140, 2010

      17 Colin Hunter, "The ecological footprint as a key indicator of sustainable tourism" 28 : 46-57, 2007

      18 V. Castellani, "Sustainable performance index for tourism policy development" 31 : 871-880, 2010

      19 World Travel and Tourism Council, "Progress and Priorities 2008/09" 2008

      20 Simin Davoudi, "Planning for Climate Change: Strategies for Mitigation and Adaptation for Spatial Planners" Earthscan 2009

      21 Susanne Becken, "Measuring national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tourism as a key step towards achieving sustainable tourism" 14 (14): 323-338, 2006

      22 Stefan Gössling, "Global environment consequences of tourism" 12 : 283-302, 2002

      23 Micheal R. Raupach, "Global and regional drivers of accelerating CO2 emissions" 104 (104): 10288-10293, 2007

      24 Stefan Gössling, "Ecological footprint analysis as a tool to assess tourism sustainability" 43 : 199-211, 2002

      25 Gjalt Huppes, "Ecoefficiency and Its Terminology" 9 (9): 43-46, 2005

      26 Abegg, B., "Climate impact assessment im Tourismus" 128 : 105-116, 1997

      27 Trista M. Pattersona, "Beyond “more is better”: Ecological footprint accounting for tourism and consumption in Val di Merse, Italy, Ecological Economics" 62 (62): 747-756, 2007

      28 Emma G. Coombes,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 eon visitor behaviour and habitat use at the coast: A UK case study" 20 : 303-313, 2010

      29 Mckercher, B., "Achieving voluntary reductions in the carbon footprint of tourism and climate change" 18 (18): 297-317, 2010

      30 한국관광공사, "2008 국민여행실태조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