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영우, "창덕궁과 창경궁 - 조선왕조의 흥망, 그 빛과 그늘의 현장" 열화당·효형출판 2003
2 장경희, "조선후기 혼전구성 목수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3 韓周成, "조선후기 궁궐건축의 행각 구성에 관한 연구 : 「동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9
4 윤정, "조선시대 혼전운영에 대한 기초적 정리" (28) : 2005
5 김동욱, "조선시대 창덕궁 희정당의 편전 전용에 대하여" 3 (3): 1994
6 안희재,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지원, "조선 왕실의 상·장례 절차 : 빈전과 혼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 : 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강근, "의로전의 연혁. 창덕궁 의로전 실측,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4
10 이정형, "동각잡기"
1 한영우, "창덕궁과 창경궁 - 조선왕조의 흥망, 그 빛과 그늘의 현장" 열화당·효형출판 2003
2 장경희, "조선후기 혼전구성 목수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3 韓周成, "조선후기 궁궐건축의 행각 구성에 관한 연구 : 「동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9
4 윤정, "조선시대 혼전운영에 대한 기초적 정리" (28) : 2005
5 김동욱, "조선시대 창덕궁 희정당의 편전 전용에 대하여" 3 (3): 1994
6 안희재,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지원, "조선 왕실의 상·장례 절차 : 빈전과 혼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 : 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강근, "의로전의 연혁. 창덕궁 의로전 실측,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4
10 이정형, "동각잡기"
11 소전성오, "덕수궁사" 이왕직 1938
12 문화재청, "덕수궁 복원 정비 기본계획" 2005
13 이혜원, "경복궁 중건 이후 전각구성의 변화 : 「경복궁배치도」와 「북궐도형」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4 "魂殿都監儀軌"
15 "殯殿魂殿都監儀軌"
16 "朝鮮王朝實錄"
17 "承政院日記"
18 "宮闕志 1,2"
19 "增補文獻備考"
20 "國朝續五禮儀"
21 "國朝五禮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