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혼전(魂殿)공간의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honjeon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uts its focus on Honjeon space which relatively small number of precedent studies chose as a subject of a study. The objective is to analyze Honjeon space's spatial relationship and palaces that consist Honjeon through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elements that affected construction of Honjeon space. The Royal Funeral, among other ceremonies of Joseon Dysnasty, carries religious characteristic along with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National Five Rites』, 『Uigwe for the State Funeral 魂殿都監儀軌』, and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study organized elementary details about Honjeon space and surrounding spaces to determine the symbolism of Honjeon space's location at each palace and compared them to see if any systematical features existed between Honjeon spaces of each palace. Through this study, it was apparent the king mainly used Jaseongdang Hall of Gyeongbokgung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he mainly used@ Sunjeongjun of Changdeokgung while the queen used Munjeongjun of Changgyeonggung as the time reached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lso in determination of Honjeon space,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records of avoiding Pyeonjeon space in need for political space. The study also determined that places other than Pyeonjeon space was intended to be used for Honjeon space through the analysis which indicates that spaces that were initially used as Pyeonju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imultaneously as Honjeon space were moved due to changes made in terms of theirs usages. Through the study, it could be also known that primary spaces of Honjeon was composed accordingly to『National Five Rites』and constant pattern of spaces existed among buildings near Honjeon which were arranged according to each palace's characteristic.
      번역하기

      This study puts its focus on Honjeon space which relatively small number of precedent studies chose as a subject of a study. The objective is to analyze Honjeon space's spatial relationship and palaces that consist Honjeon through analysis of spatial ...

      This study puts its focus on Honjeon space which relatively small number of precedent studies chose as a subject of a study. The objective is to analyze Honjeon space's spatial relationship and palaces that consist Honjeon through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elements that affected construction of Honjeon space. The Royal Funeral, among other ceremonies of Joseon Dysnasty, carries religious characteristic along with func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National Five Rites』, 『Uigwe for the State Funeral 魂殿都監儀軌』, and 『Annals of Joseon Dynasty』, the study organized elementary details about Honjeon space and surrounding spaces to determine the symbolism of Honjeon space's location at each palace and compared them to see if any systematical features existed between Honjeon spaces of each palace. Through this study, it was apparent the king mainly used Jaseongdang Hall of Gyeongbokgung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he mainly used@ Sunjeongjun of Changdeokgung while the queen used Munjeongjun of Changgyeonggung as the time reached the la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lso in determination of Honjeon space,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records of avoiding Pyeonjeon space in need for political space. The study also determined that places other than Pyeonjeon space was intended to be used for Honjeon space through the analysis which indicates that spaces that were initially used as Pyeonju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imultaneously as Honjeon space were moved due to changes made in terms of theirs usages. Through the study, it could be also known that primary spaces of Honjeon was composed accordingly to『National Five Rites』and constant pattern of spaces existed among buildings near Honjeon which were arranged according to each palace's characterist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빈전(殯殿), 진전(眞殿), 산릉(山 ) 등 다른 상장례 공간에 비해 비교적 적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혼전공간(魂 殿空間)을 대상으로, 혼전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주었고, 내부의 구성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 에 관한 분석을 통해 혼전공간의 위치관계 및 궁궐별 구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의례 중 흉례에 있어서 혼전 (魂殿)은 사상적, 종교적인 면뿐만 아니라 기능적이고 건축적인 특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국조오례의』,『 혼전도감의궤』,『 조선왕조실록』등을 분석하여, 국상 시 사용되는 혼전를 중심으로 혼전과 주변 공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하면서, 각각의 궁궐에서 혼전의 위치가 어떠한 상징성을 갖는지에 관한 의문점을 풀고 궁궐별 혼전공 간이 규칙화된 특징이 존재하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 초기에는 경복궁 자선당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창덕궁 선정전은 주로 왕이 이용하고, 창경 궁 문정전은 주로 왕후가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전을 선정함에 있어 정치적 공간이 필요해 편전의 사용을 꺼린 기록들과 조선후기로 가면서 조선 초기 편전공간으로 사용되었고 혼전으로도 사용되었던 공간들이 용도의 변화가 생기며 다른 곳으로 편전( 殿)을 이동한 분석들을 통해 편전이 아닌 다른 곳을 혼전으로 사용하려고 했음을 분석하였다. 조선시대 각 궁궐 에는『국조오례의』에 따라 혼전의 주요 공간이 구성되었고, 혼전의 주변전각들은 궁궐의 특성에 맞게 배치되어 일정한 패턴의 공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빈전(殯殿), 진전(眞殿), 산릉(山 ) 등 다른 상장례 공간에 비해 비교적 적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혼전공간(魂 殿空間)을 대상으로, 혼전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어떤 요소들이...

      본 논문은 빈전(殯殿), 진전(眞殿), 산릉(山 ) 등 다른 상장례 공간에 비해 비교적 적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혼전공간(魂 殿空間)을 대상으로, 혼전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어떤 요소들이 영향을 주었고, 내부의 구성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 왔는지 에 관한 분석을 통해 혼전공간의 위치관계 및 궁궐별 구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의례 중 흉례에 있어서 혼전 (魂殿)은 사상적, 종교적인 면뿐만 아니라 기능적이고 건축적인 특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국조오례의』,『 혼전도감의궤』,『 조선왕조실록』등을 분석하여, 국상 시 사용되는 혼전를 중심으로 혼전과 주변 공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하면서, 각각의 궁궐에서 혼전의 위치가 어떠한 상징성을 갖는지에 관한 의문점을 풀고 궁궐별 혼전공 간이 규칙화된 특징이 존재하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 초기에는 경복궁 자선당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창덕궁 선정전은 주로 왕이 이용하고, 창경 궁 문정전은 주로 왕후가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전을 선정함에 있어 정치적 공간이 필요해 편전의 사용을 꺼린 기록들과 조선후기로 가면서 조선 초기 편전공간으로 사용되었고 혼전으로도 사용되었던 공간들이 용도의 변화가 생기며 다른 곳으로 편전( 殿)을 이동한 분석들을 통해 편전이 아닌 다른 곳을 혼전으로 사용하려고 했음을 분석하였다. 조선시대 각 궁궐 에는『국조오례의』에 따라 혼전의 주요 공간이 구성되었고, 혼전의 주변전각들은 궁궐의 특성에 맞게 배치되어 일정한 패턴의 공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영우, "창덕궁과 창경궁 - 조선왕조의 흥망, 그 빛과 그늘의 현장" 열화당·효형출판 2003

      2 장경희, "조선후기 혼전구성 목수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3 韓周成, "조선후기 궁궐건축의 행각 구성에 관한 연구 : 「동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9

      4 윤정, "조선시대 혼전운영에 대한 기초적 정리" (28) : 2005

      5 김동욱, "조선시대 창덕궁 희정당의 편전 전용에 대하여" 3 (3): 1994

      6 안희재,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지원, "조선 왕실의 상·장례 절차 : 빈전과 혼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 : 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강근, "의로전의 연혁. 창덕궁 의로전 실측,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4

      10 이정형, "동각잡기"

      1 한영우, "창덕궁과 창경궁 - 조선왕조의 흥망, 그 빛과 그늘의 현장" 열화당·효형출판 2003

      2 장경희, "조선후기 혼전구성 목수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3 韓周成, "조선후기 궁궐건축의 행각 구성에 관한 연구 : 「동궐도형」의 분석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9

      4 윤정, "조선시대 혼전운영에 대한 기초적 정리" (28) : 2005

      5 김동욱, "조선시대 창덕궁 희정당의 편전 전용에 대하여" 3 (3): 1994

      6 안희재,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지원, "조선 왕실의 상·장례 절차 : 빈전과 혼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 : 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강근, "의로전의 연혁. 창덕궁 의로전 실측, 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4

      10 이정형, "동각잡기"

      11 소전성오, "덕수궁사" 이왕직 1938

      12 문화재청, "덕수궁 복원 정비 기본계획" 2005

      13 이혜원, "경복궁 중건 이후 전각구성의 변화 : 「경복궁배치도」와 「북궐도형」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4 "魂殿都監儀軌"

      15 "殯殿魂殿都監儀軌"

      16 "朝鮮王朝實錄"

      17 "承政院日記"

      18 "宮闕志 1,2"

      19 "增補文獻備考"

      20 "國朝續五禮儀"

      21 "國朝五禮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