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유연, "화장품 판매사원의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경험과정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397-419, 2017
2 김은정, "한국의 사회학 연구영역에서의 근거이론의 활용 방법과 전개, 그리고 향후 방향의 모색: 『한국사회학』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1 (51): 37-70, 2017
3 최정아, "학습자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페이스북 활용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9 (9): 155-180, 2013
4 강인애, "학습성찰도구로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를 위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95-506, 2011
5 김상수,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e-포트폴리오 설계 및 활용 교육" 한국콘텐츠학회 8 (8): 260-267, 2008
6 한안나, "학습 포트폴리오를 통한 '학습전략과 진로탐색' 교과목의 개선 효과 - A대학교 교양필수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241-267, 2012
7 이현정, "포트폴리오 자료 개발 및 수업 효과 분석- 중학교 기술가정과 반바지 만들기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 (19): 15-33, 2007
8 임채린, "폐쇄형 SNS 의 학술적 정의와 경험적 특성에 대한 연구:개방형 SNS와의 비교" 29-34, 2015
9 최선화,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 개발" 한양대학교 2014
10 김재경, "웹기반 자기주도성 e-포트폴리오가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5 (15): 115-134, 2012
11 김구, "온라인상에서 정보공유 의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22-41, 2013
12 손유진, "온라인 교육에서 포트폴리오 활용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력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17-235, 2005
13 김민정,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 개발 설계기반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6 (16): 525-552, 2010
14 정수정, "스마트폰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1 (11): 203-217, 2010
15 임걸,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91-114, 2010
16 조한무,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 교육과학사 1998
17 권혁일, "수행평가를 위한 전자 포트폴리오의 적용가능성 탐색" 12 : 201-238, 2002
18 이지연,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9-56, 2015
19 김선정, "소셜미디어(Social Media) 를 활용한 대학원 수업에서의 촉진 및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2014 (2014): 456-460, 2014
20 김소영,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사회적 자본형성, 학습만족도, 참여도 간의 정준상관관계" 한국교육공학회 34 (34): 165-196, 2018
21 성진희, "소셜러닝을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교수매체적 속성 탐색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31-55, 2012
22 설진아,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의 진화양상과 사회적 영향" 35-57, 2009
23 김도헌, "소셜 미디어 활용의 두가지 얼굴: 교육적 도구로서의 확장성과 마비성에 대한 고찰" 원격교육연구소 8 (8): 85-110, 2012
24 임걸, "소셜 미디어 콘텐츠 분석에 따른 참여유형 및 학습촉진방안 탐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95-509, 2011
25 손모아, "블로그 기반 e-포트폴리오에서 성찰 방법이 반성적 사고 수준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26 이나현, "메타인지 활동 촉진을 위한 어포던스 기반 e-포트폴리오 설계 전략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1 (21): 165-184, 2015
27 안정민,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와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37-160, 2017
28 안정민, "대학의 발표교육에서 내용구성력과 발표수행력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09-532, 2017
29 이종연, "대학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학습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93-124, 2012
30 최미나, "대학교육에서의 e-교수학습 포트폴리오 개념적 프레임웍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147-166, 2005
31 김지숙,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매체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8 (28): 497-529, 2012
32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753-786, 2016
33 최명숙, "대학 교수자가 지각하는 수업설계지원 e-티칭포트폴리오 시스템 활용 효과 차이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223-247, 2016
34 Levy, P, "누스페어" 생각의 나무 2003
35 안정민, "내러티브 사고와 표현 중심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2018
36 Strauss, A, "근거이론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6
37 최지영, "근거이론의 개념과 연구방법" 1-18, 2012
38 송연옥, "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사용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교육공학회 28 (28): 231-262, 2012
39 남금천, "경제학과 학생평가에 있어서의 포트폴리오의 의미와 그 활용방안" 9 : 145-164, 2001
40 Smith, E., "“A real double-edged sword:” Undergraduate perceptions of social media in their learning" 103 : 44-58, 2016
41 "https://en.wikipedia.org/wiki/Social_networking_service"
42 "https://en.wikipedia.org/wiki/Social_media"
43 엄미리, "e-포트폴리오 성찰일지 작성활동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7 (27): 213-246, 2011
44 Glaser, B., "Theoretical sensitivity" The Sociology Press 1978
45 Hallberg, L, "The ‘Core Category’ of Grounded Theory: Making Constant Comparisons" 1 : 141-148, 2006
46 Castells, M., "The internet galaxy: Reflections on the internet, business,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7 Mulder, M., "The daily power game" Martinus Nijhoff 1977
48 Boyd, D., "The John D. and Catherine T. MacArthur Foundation series on digital media and learning: Youth, identity, and digital media" MIT Press 119-142, 2007
49 Stern, S., "The John D. and Catherine T. MacArthur Foundation series on digital media and learning: Youth, identity, and digital media" MIT Press 95-118, 2007
50 Geertz, C.,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Selected Essays" Basic Books 412-435, 1973
51 Glaser, B.,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1967
52 Saldaňa, J.,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SAGE 2013
53 전은화, "SNS를 활용한 협력학습에서 학습자 특성이 협력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71-596, 2016
54 김명랑, "SNS를 활용한 협동학습에서의 인지적 평가와 대처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597-620, 2014
55 이시화, "SNS를 활용한 대학 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Edmodo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14 (14): 153-169, 2013
56 강문숙, "SNS 활용 프로젝트 학습 사례 질적 연구: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0 (10): 85-112, 2014
57 박혜진,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649-674, 2014
58 정회록, "SNS 기반 E-포트폴리오 운영방식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2016
59 Johnson, N., "Portfolio: Clarifying, constructing and enhancing" Technomic Publishing Co 1997
60 Barrett, H., "Online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s : Structuring electronic portfolios for lifelong and life wide learning" 17 (17): 142-252, 2000
61 Walker, L., "Nine reasons to twitter in schools" 29 (29): 50-, 2009
62 Jarvis, P., "Learning in later life: an introduction for educators and careers" Kogan Page 2001
63 Redecker, C, "Learning 2.0: The Impact of Web 2.0 Innovations on Education and Training in Europe"
64 Veletsianos, G., "Instructor experiences with a social networking site in a higher education setting: Expectations, frustrations, appropriation, and compartmentalization" 61 (61): 255-278, 2013
65 Dice, M., "How to Create a Professional Electronic Portfolio: A Guide for the Preservice and Beginning Teacher" Kendall Hunt 2002
66 Coiro, J., "Handbook of research on new literacies" Lawrence Erlbaum 1-21, 2008
67 Birks, M.,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SAGE 2015
68 Ahn, J., "Electronic portfolios: Blending technology, accountability & assessment" 31 (31): 12-, 2004
69 Garthwait, A., "E-portfolios: Documenting student progress" 40 (40): 22-27, 2003
70 Gibson, D., "Directions in Electronic Portfolio Development" 2 (2): 559-576, 2003
71 Hassell, M., "Digging deeper into the outcomes of social media use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2015
72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2014
73 Ahonen, M, "Building a Digital Portfolio that Supports Informal Learning, Creativity and Mobility – a Design Science Viewpoint"
74 Glaser, B.,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The Sociology Press 1992
75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8
76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