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변수용,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문화자본의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53-82, 2008
2 홍세희, "학업성취도 변화의 원인 분석 연구: 2012년과 2015년 중3패널 비교" 5-29, 2016
3 박현정,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887-907, 2010
4 신종호, "학부모 개입 정도에 따른 사교육 효과 분석" 157-171, 2008
5 안도희,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적, 학업관련 태도,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723-745, 2007
6 김경식, "학교 학업성적에 대한 과외학습의 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21-41, 2003
7 김양분,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53-102, 2014
8 김성식, "초등학교 시기 수학 선행학습이 중학교 시기 수학 학습, 학업효능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267-283, 2017
9 임효진, "초기 청소년기 성장신념과 수업참여의 공존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23-41, 2018
10 조은별, "청소년의 학습시간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개인공부시간과 사교육시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115-139, 2016
1 변수용,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문화자본의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53-82, 2008
2 홍세희, "학업성취도 변화의 원인 분석 연구: 2012년과 2015년 중3패널 비교" 5-29, 2016
3 박현정,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887-907, 2010
4 신종호, "학부모 개입 정도에 따른 사교육 효과 분석" 157-171, 2008
5 안도희,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적, 학업관련 태도,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723-745, 2007
6 김경식, "학교 학업성적에 대한 과외학습의 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21-41, 2003
7 김양분,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53-102, 2014
8 김성식, "초등학교 시기 수학 선행학습이 중학교 시기 수학 학습, 학업효능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267-283, 2017
9 임효진, "초기 청소년기 성장신념과 수업참여의 공존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23-41, 2018
10 조은별, "청소년의 학습시간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개인공부시간과 사교육시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115-139, 2016
11 채민정, "청소년의 지적능력과 인기에 대한 암묵적 신념,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525-548, 2018
12 장유진, "청소년의 지능변화신념과 수업이해도 간의 종단적 관계에서 도움요청 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종합연구원 26 (26): 149-169, 2017
13 문병상, "청소년들의 지능변화신념의 종단적 변화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875-890, 2013
14 김진구,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145-162, 2017
15 임경미, "지능변화신념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885-904, 2007
16 이수정,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비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141-166, 2009
17 도승이, "중학생 학업성취도에 대한사교육 및 자기조절학습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학회 52 (52): 59-87, 2014
18 김희삼, "영어 격차의 실태와 과제" 179-210, 2010
19 임효진, "성장신념, 수업참여,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31 (31): 59-81, 2018
20 박현정,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107-127, 2008
21 김현진, "사교육비 지출 결정 변인 구조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27-46, 2004
22 김성일, "사교육 시간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도의 변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103-124, 2010
23 김태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SES)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사교육 시간, 학업흥미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22, 2009
24 박병기, "변화신념,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의 인과구조 탐색: Dweck 모형의 확장"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333-350, 2008
25 권용재, "교육생산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분석:학급규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1-39, 2010
26 김일혁,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와 가정배경 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2 (32): 193-221, 2005
27 한대동, "고등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효과와 과외효과의 비교연구" 11 (11): 33-54, 2001
28 이정환, "가족환경, 과외, 성적" 한국사회학회 36 (36): 8-20, 2002
29 정양수, "가정환경과 영어 사교육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 (20): 273-295, 2008
30 김양분, "Ⅵ. 집중 분석: 수능성적에 대한 특수목적고등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Ⅶ)" 한국교육개발원 2011
31 Dweck, C. S.,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sychology Press 2000
32 Aronson, J., "Reducing the effects of stereotype threat on Afr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by shaping theories of intelligence" 38 (38): 113-125, 2002
33 오숙영,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42) : 203-243, 2012
34 Paumesku, D., "Mind-set interventions are scalable treatment for academic underachievement" 26 (26): 784-793, 2015
35 Tabernero, C., "Implicit theories versus the social construal of ability in self-regulation and performance on a complex task" 78 : 104-127, 1999
36 Dupeyrat, C.,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achievement: A test of Dweck's model with returning to school adults" 30 : 43-59, 2005
37 Blackwell, L. 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78 : 246-263, 2007
38 Dweck, C. S., "Implicit theories and their role in judgments and reactions: A world from two perspectives" 6 (6): 267-285, 1995
39 Claro, S., "Growth Mindset Tempers the Effects of Poverty on Academic Achievement" 113 : 8664-8668, 2016
40 Eccles, J. S.,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The impact of stage-environment fit on young adolescents' experiences in schools and in families" 48 (48): 90-101, 1993
41 O’Rourke, E., "Brain points: A growth mindset incentive structure boosts persistence in an educational gam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3339-3348, 2014
42 Henderson, V. L.,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3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95): 256-273, 1988
44 통계청, "2017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보고서"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