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 The Mediating Role of Fixed Minds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growth in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English and mathematics),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and mathematics across 6 time points. In particular, we focused on examining the role of fixed mindset in medi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private education cost and academic achievement. Six waves of the 2012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 data (GEPS) were utilized. A total of 3,541 responses from students in grades 4 to 9 were analyzed. The analysis produced four major results. First, the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regardless of subject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Secon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revealed that, for both English and math, the initial levels of private education cos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itial levels and the changes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changes of private education costs positively predicted changes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initial level of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English was negatively related to achievement for English while the change of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math negatively predicted achievement for math. Finally, for English, the initial level of private education cost wa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fixed mindset, which was, in turn,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achievement as well as the change of achievement. A bootstrapping analysis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fixed mindse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might be reduced or increased by how students think about their own ability.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growth in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English and mathematics),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and mathematics across 6 time points. In particular, we focused on examining the role of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growth in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English and mathematics),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nglish and mathematics across 6 time points. In particular, we focused on examining the role of fixed mindset in medi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private education cost and academic achievement. Six waves of the 2012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 data (GEPS) were utilized. A total of 3,541 responses from students in grades 4 to 9 were analyzed. The analysis produced four major results. First, the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fixed mindset, and academic achievement regardless of subject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Secon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revealed that, for both English and math, the initial levels of private education cos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itial levels and the changes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changes of private education costs positively predicted changes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initial level of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English was negatively related to achievement for English while the change of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math negatively predicted achievement for math. Finally, for English, the initial level of private education cost wa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fixed mindset, which was, in turn,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achievement as well as the change of achievement. A bootstrapping analysis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fixed mindse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might be reduced or increased by how students think about their own 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교육 비용과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사교육 비용이 고정신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1-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3,541명-남학생 1,801명(50.9%), 여학생 1,740명(49.1%)-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초4에서 중3까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사교육 비용(영어, 수학),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 학업성취(영어, 수학)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영어와 수학 과목 모두에서 사교육 비용의 초기값은 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사교육 비용의 변화율은 성취도의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영어 과목에서는 고정신념의 초기값이 영어성취도의 변화율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수학 과목의 경우 고정신념의 변화율이 수학성취도의 변화율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 과목에서 사교육 비용의 초기값이 고정신념의 초기값을 매개로 영어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이론적·실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교육 비용과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교육 비용과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사교육 비용이 고정신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Gyu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1-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3,541명-남학생 1,801명(50.9%), 여학생 1,740명(49.1%)-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초4에서 중3까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사교육 비용(영어, 수학),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 학업성취(영어, 수학)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영어와 수학 과목 모두에서 사교육 비용의 초기값은 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사교육 비용의 변화율은 성취도의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영어 과목에서는 고정신념의 초기값이 영어성취도의 변화율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수학 과목의 경우 고정신념의 변화율이 수학성취도의 변화율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 과목에서 사교육 비용의 초기값이 고정신념의 초기값을 매개로 영어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이론적·실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수용,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문화자본의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53-82, 2008

      2 홍세희, "학업성취도 변화의 원인 분석 연구: 2012년과 2015년 중3패널 비교" 5-29, 2016

      3 박현정,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887-907, 2010

      4 신종호, "학부모 개입 정도에 따른 사교육 효과 분석" 157-171, 2008

      5 안도희,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적, 학업관련 태도,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723-745, 2007

      6 김경식, "학교 학업성적에 대한 과외학습의 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21-41, 2003

      7 김양분,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53-102, 2014

      8 김성식, "초등학교 시기 수학 선행학습이 중학교 시기 수학 학습, 학업효능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267-283, 2017

      9 임효진, "초기 청소년기 성장신념과 수업참여의 공존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23-41, 2018

      10 조은별, "청소년의 학습시간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개인공부시간과 사교육시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115-139, 2016

      1 변수용, "한국 고등학생의 교육결과에 대한문화자본의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53-82, 2008

      2 홍세희, "학업성취도 변화의 원인 분석 연구: 2012년과 2015년 중3패널 비교" 5-29, 2016

      3 박현정,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887-907, 2010

      4 신종호, "학부모 개입 정도에 따른 사교육 효과 분석" 157-171, 2008

      5 안도희, "학문적 미성취 중학생들의 학업관련 특성: 학업성적, 학업관련 태도, 지적능력에 대한 신념,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723-745, 2007

      6 김경식, "학교 학업성적에 대한 과외학습의 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21-41, 2003

      7 김양분,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53-102, 2014

      8 김성식, "초등학교 시기 수학 선행학습이 중학교 시기 수학 학습, 학업효능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267-283, 2017

      9 임효진, "초기 청소년기 성장신념과 수업참여의 공존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23-41, 2018

      10 조은별, "청소년의 학습시간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행동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개인공부시간과 사교육시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3 (13): 115-139, 2016

      11 채민정, "청소년의 지적능력과 인기에 대한 암묵적 신념,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수업참여 및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525-548, 2018

      12 장유진, "청소년의 지능변화신념과 수업이해도 간의 종단적 관계에서 도움요청 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종합연구원 26 (26): 149-169, 2017

      13 문병상, "청소년들의 지능변화신념의 종단적 변화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875-890, 2013

      14 김진구,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145-162, 2017

      15 임경미, "지능변화신념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885-904, 2007

      16 이수정,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비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141-166, 2009

      17 도승이, "중학생 학업성취도에 대한사교육 및 자기조절학습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학회 52 (52): 59-87, 2014

      18 김희삼, "영어 격차의 실태와 과제" 179-210, 2010

      19 임효진, "성장신념, 수업참여,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31 (31): 59-81, 2018

      20 박현정,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107-127, 2008

      21 김현진, "사교육비 지출 결정 변인 구조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27-46, 2004

      22 김성일, "사교육 시간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도의 변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103-124, 2010

      23 김태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SES)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사교육 시간, 학업흥미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22, 2009

      24 박병기, "변화신념,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의 인과구조 탐색: Dweck 모형의 확장"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333-350, 2008

      25 권용재, "교육생산성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분석:학급규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9 (19): 1-39, 2010

      26 김일혁,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와 가정배경 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2 (32): 193-221, 2005

      27 한대동, "고등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효과와 과외효과의 비교연구" 11 (11): 33-54, 2001

      28 이정환, "가족환경, 과외, 성적" 한국사회학회 36 (36): 8-20, 2002

      29 정양수, "가정환경과 영어 사교육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 (20): 273-295, 2008

      30 김양분, "Ⅵ. 집중 분석: 수능성적에 대한 특수목적고등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Ⅶ)" 한국교육개발원 2011

      31 Dweck, C. S., "Self-theorie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Psychology Press 2000

      32 Aronson, J., "Reducing the effects of stereotype threat on Afr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by shaping theories of intelligence" 38 (38): 113-125, 2002

      33 오숙영,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42) : 203-243, 2012

      34 Paumesku, D., "Mind-set interventions are scalable treatment for academic underachievement" 26 (26): 784-793, 2015

      35 Tabernero, C., "Implicit theories versus the social construal of ability in self-regulation and performance on a complex task" 78 : 104-127, 1999

      36 Dupeyrat, C.,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achievement: A test of Dweck's model with returning to school adults" 30 : 43-59, 2005

      37 Blackwell, L. 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78 : 246-263, 2007

      38 Dweck, C. S., "Implicit theories and their role in judgments and reactions: A world from two perspectives" 6 (6): 267-285, 1995

      39 Claro, S., "Growth Mindset Tempers the Effects of Poverty on Academic Achievement" 113 : 8664-8668, 2016

      40 Eccles, J. S.,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The impact of stage-environment fit on young adolescents' experiences in schools and in families" 48 (48): 90-101, 1993

      41 O’Rourke, E., "Brain points: A growth mindset incentive structure boosts persistence in an educational gam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3339-3348, 2014

      42 Henderson, V. L.,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3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95): 256-273, 1988

      44 통계청, "2017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보고서"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