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T.a.P.(Transference after Posting)형 교사 전보제 모형 탐색 = A Study on a Model of T.a.P.(Transference after Posting) Teacher Transference System for Teacher Professionalism Impr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1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Republic of Korea move one’s place of work every certain period of time because of teacher rotation system. This type of teacher transference system, however, has negative aspects with securing fairne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Republic of Korea move one’s place of work every certain period of time because of teacher rotation system. This type of teacher transference system, however, has negative aspects with securing fairness, equity, putting the right person in the right place, and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normalizing the education of Korea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 transference system and to s uggest a new model of T.a.P., which means transference after posting. Related articl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have been analyzed, and basic model for teacher transference system is introduced to enhance the strengths of the existing system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model separated the process of teacher transference into three parts: Job-posting as the first selection, preceding placement of new qualified teachers, and rotation within the same teaching career group as the second selection. It also presents a table of the system operation procedures that Offices of Education, schools, and teachers need to follow.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it presents alternatives of existing teacher rotation system with pro blems. Second, it promotes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of both individual teachers and teaching community. Third, it still guarantees teachers the righ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by maintaining the part of the existing frame of teacher rot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 공립 초․중등교사의 순환전보제도는 공정성, 형평성, 적재적소배치, 효율성에 있어 일정부분 부정적 측면이 존재한다. 이에 교사 전문성 신장과 교사 순환전보제도의 연결...

      현재 우리나라 공립 초․중등교사의 순환전보제도는 공정성, 형평성, 적재적소배치, 효율성에 있어 일정부분 부정적 측면이 존재한다. 이에 교사 전문성 신장과 교사 순환전보제도의 연결을 통해 교육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성취를 위한 ‘T.a.P.형 교사 전보제 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관련 문헌과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고, 기존 교원 순환전보제도의 장점을 강화하면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전보제도 기본모형을 도출하였다. ‘T.a.P.’은 ‘공모제 이후 순환전보’라는 의미의 ‘Transference after Posting’를 두문자어로 나타낸 것이다. 해당 모형은 일자리 공시(Job-posting)의 형태를 표방하는 ‘공모형 전보(1차 전형)’와 경력교사 집단을 교육경력단계를 기준으로 나누어 기존의 순환전보방식으로 전보 배치하는 ‘경력할당 전보(2차 전형)’로 정기전보 절차를 순차적 분화하였다. 그리고 신규발령교사를 기간 상 먼저 배치하는 것을 모형의 일부로서 포함시켰다. 이와 함께 제도운영절차 안을 8월부터 3월까지의 시기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해당 기간 동안 필요한 업무를 시간순서대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의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현 순환전보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교직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순환전보제도 성격을 일부 유지시킴으로 써 교사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하는 측면도 존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삼철, "호주의 교원교육 연구 동향" 345-383, 2013

      2 김갑성, "한국과 일본의 중등교사 전보제도 비교 연구-서울특별시와 도쿄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105-127, 2010

      3 "한겨례"

      4 김갑성,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 인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중등교사 순환전보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5 이경진,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19-240, 2009

      6 김경애, "초등교사의 전문성 습득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부산지역 우수 초등 교사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51-178, 2015

      7 강세정,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요구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한강수,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문제와 개선방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갑성, "중등교원 전보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0 김갑성, "중등교원 전보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841-869, 2013

      1 박삼철, "호주의 교원교육 연구 동향" 345-383, 2013

      2 김갑성, "한국과 일본의 중등교사 전보제도 비교 연구-서울특별시와 도쿄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105-127, 2010

      3 "한겨례"

      4 김갑성,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 인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중등교사 순환전보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5 이경진,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 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19-240, 2009

      6 김경애, "초등교사의 전문성 습득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부산지역 우수 초등 교사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51-178, 2015

      7 강세정,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요구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8 한강수,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문제와 개선방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갑성, "중등교원 전보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0 김갑성, "중등교원 전보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841-869, 2013

      11 주현성, "인천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쏠림 현상 분석과 완화 방안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2015

      12 성준우, "승진가산점을 위해 벽지학교 전보를 희망하는 교사들의 교직생활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93-321, 2015

      13 성준우, "벽지학교 전보를 희망하는 교사들의 교직생활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김철중, "대구광역시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 실태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이윤식, "교직과 교사" 학지사 2007

      16 윤정일, "교육행정학원론" 학지사 2011

      17 이병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이론과 실제" 태영 2015

      18 허병기, "교육의 가치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6

      19 교육부, "교육공무원 인사관리규정"

      20 김순남, "교원순환전보제의 논리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97-118, 2017

      21 김순남, "교원순환전보제에 대한 교원의 인식" 교육연구소 24 (24): 57-78, 2018

      22 김순남, "교원 순환전보제 운영 실태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23 오욱환, "교사전문성" 교육과학사 2005

      24 박홍희, "교사의 생애발달 주기를 고려한 교사평가 연구" 30 (30): 1-25, 2009

      25 김한별, "교사의 무형식 학습에서 사회적 자본의 의미"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27-45, 2009

      26 한만길, "교사 전보 제도의 발전 방향" 14 (14): 43-51, 1992

      27 박삼철, "교사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호주의 교사자격제도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18 (18): 49-71, 2008

      28 이윤식, "교사 신규채용 및 전보제도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2

      29 김정원, "교사 생애단계별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30 강호수,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의 특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1-71, 2016

      31 이우경, "각 시·도교육청 인사관리원칙 비교 연구: 서울, 대구, 강원, 충남 중등교원 전보제도를 중심으로" 11 (11): 111-141, 2006

      32 Turner, M, "Supervision for change and innovation" HoughtonMifflin 1970

      33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2012

      34 Weber, H. C, "Personnel problems of school administrators" McGrow Hill Book Co 1954

      35 Lauglo, "Forms of decentralis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 31 (31): 5-30, 1995

      36 Katz, L, G.,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reachers" 73 (73): 50-54, 1972

      37 Gregorc, AF., "Developing plans for professional growth" NASSP bulletin 1973

      38 Desimone, L. M., "A primer on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92 (92): 68-71, 2011

      39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2018학년도 교육공무원 인사업무 처리요령"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