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IPA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Tourism: Focusing on IP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2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to revitalize beauty tourism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beauty tourism curriculum. And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for workers in the beauty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iculum to revitalize beauty tourism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beauty tourism curriculum. And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for workers in the beauty tourism industry, and IP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08 valid sam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ll educational contents. And tha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educational contents that needed improvement, and the training courses that required continuous maintenance were field practice, major practice, service and manners, customer consultation, customer management, market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ducation content with low priority was found to be foreign language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ourism, and beauty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revitalizing beauty tourism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뷰티관광 교육과정의 중요도-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뷰티관광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

      본 연구는 뷰티관광 교육과정의 중요도-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뷰티관광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8개의 유효표본을 활용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선이 필요한 교육내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 및 유지가 필요한 교육과정은 현장실습, 전공실무, 서비스 및 매너, 고객상담, 고객관리, 마케팅, 대인관계 등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가 낮은 교육내용은 외국어, 다문화 이해, 관광학, 뷰티 경영 등으로 나타났으며 과잉 노력을 지양이 필요한 교육내용은 전공 이론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뷰티관광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효연 ; 조한나 ; 김봉석 ; 김대관, "한-아세안 관광협력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교육연수 협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1 (11): 39-57, 2014

      2 정하은 ; 김미영, "중국 관광객의 뷰티관광 선택속성과 한국문화 친밀성이 뷰티관광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학회 24 (24): 653-669, 2016

      3 정강국, "대학에서의 관광교육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 (34): 61-79, 2019

      4 전유진 ; 조현정, "대학 교양 교과목으로서의 미용교육 교과모형개발 - NCS 기반 훈련과정편성 방법의 활용"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 (20): 63-74, 2019

      5 고미영 ; 정철, "관광인적자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관광교육과정 개선방안" 관광연구소 25 (25): 111-127, 2013

      6 김대희 ; 김병국, "관광실습 및 실무교육의 평가가 전공만족과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32 (32): 1653-1670, 2019

      7 J. H. Chung, "The Tendency to Study Necessity of Tourism Education to Target Citizens and Society" 7 (7): 229-254, 2000

      8 Y. A. Hwang, "The Effect of the Beauty Education of K-Beauty Service Tourism Employees on Job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Arts Chung-Ang University 2021

      9 J. G. Kang, "Seoul invests 200 billion won in beauty and fashion industries. Fostering a global beauty hub"

      10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Search for ncs and learning modul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1 박효연 ; 조한나 ; 김봉석 ; 김대관, "한-아세안 관광협력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교육연수 협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1 (11): 39-57, 2014

      2 정하은 ; 김미영, "중국 관광객의 뷰티관광 선택속성과 한국문화 친밀성이 뷰티관광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학회 24 (24): 653-669, 2016

      3 정강국, "대학에서의 관광교육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2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 (34): 61-79, 2019

      4 전유진 ; 조현정, "대학 교양 교과목으로서의 미용교육 교과모형개발 - NCS 기반 훈련과정편성 방법의 활용"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 (20): 63-74, 2019

      5 고미영 ; 정철, "관광인적자원의 역량개발을 위한 관광교육과정 개선방안" 관광연구소 25 (25): 111-127, 2013

      6 김대희 ; 김병국, "관광실습 및 실무교육의 평가가 전공만족과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32 (32): 1653-1670, 2019

      7 J. H. Chung, "The Tendency to Study Necessity of Tourism Education to Target Citizens and Society" 7 (7): 229-254, 2000

      8 Y. A. Hwang, "The Effect of the Beauty Education of K-Beauty Service Tourism Employees on Job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Arts Chung-Ang University 2021

      9 J. G. Kang, "Seoul invests 200 billion won in beauty and fashion industries. Fostering a global beauty hub"

      10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Search for ncs and learning modul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11 박춘란, "NCS기반 2년제 뷰티미용과 교육과정 개편 연구 및 개편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만족도 연구 -C대 뷰티미용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00-512, 2019

      12 S. H. Kim, "Kotra to host '2018 K-Beauty in Canada'"

      13 Yang. Yang,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on Courses of Korean Beauty Education-Taking Students and Interns as Subject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19

      14 Y.G. Seo, "A Comprehensive Plan for Tourism Education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Jeju National University 2017

      15 H. N. Jung, "A Comparative Study on Overseas Cases of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15 (15): 5-19,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