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oncrete-Filled Tube is a concrete-filled steel tube structure. Steel tube confines the concrete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oncrete contains the buckling of the tube. CFT structures require a diaphragm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33703
2012
-
각형CFT ; 기둥-보 접합부 ; 다이아프램 ; 충전성 ; 유한요소해석 ; Rectangular CFT ; Beam-to-column Connection ; Diaphragm ; Concrete Filling ; FEM
KCI우수등재,SCOPUS
학술저널
107-115(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 Concrete-Filled Tube is a concrete-filled steel tube structure. Steel tube confines the concrete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oncrete contains the buckling of the tube. CFT structures require a diaphragm ...
<P> Concrete-Filled Tube is a concrete-filled steel tube structure. Steel tube confines the concrete to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oncrete contains the buckling of the tube. CFT structures require a diaphragm to prevent buckling of steel at connections. An outer diaphragm has better concrete filling than a through diaphragm due to a large bore, but being larger than the through diagram, it has poorer constructability and cooperation with building equipment. In this study, a rectangular CFT structure that uses different types of diaphragms in its upper and lower connections to improve the concrete filling was tested and analyzed via the FEM program. The building structure had a floor slab that was unified with the upper diaphragm, so the outer diaphragm was placed at the upper bound. Moreover, the through diaphragmwas placed at the lower connection to avoid obstruction frombuilding equipment. The CFT structure with the improved concrete filling showed the same structural behavior as the CFT structure with the use of the same type of diaphragms at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s.</P>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성곤, "혼합다이아프램 형식을 이용한 CFT기둥-보 접합부 내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 한국강구조학회, "콘크리트 강관구조설계 및 시공지침" 2003
3 박민수, "충전성을 개선한 원형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 구조적 거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 박민수, "충전성을 개선한 원형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 구조적 거동" 한국강구조학회 23 (23): 737-745, 2011
5 문태섭, "중심축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단주의 내력" 13 (13): 2001
6 최성모, "용접조립각형 CFT기둥-보합성반강접합부의 이력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31 (31): 2011
7 문태섭, "강관 보강형 충전 각형강관 기둥-보 플랜지 접합부의 인장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13 (13): 2001
8 최성모, "각형강관과 각형 CFT 기둥-보 접합부의 내력" 대한건축학회 25 (25): 2005
9 松井千秋, "コンクリート充填角形鋼管構造接合部スチフナの設 計式について" 中国・九州支部 317-320, 1981
10 宮尾俊明, "コンクリート充填角形鋼管柱鋳鋼ダイアフラ ムの強度について" 1641-1642, 1989
1 류성곤, "혼합다이아프램 형식을 이용한 CFT기둥-보 접합부 내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 한국강구조학회, "콘크리트 강관구조설계 및 시공지침" 2003
3 박민수, "충전성을 개선한 원형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 구조적 거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 박민수, "충전성을 개선한 원형CFT구조의 기둥-보 접합부 구조적 거동" 한국강구조학회 23 (23): 737-745, 2011
5 문태섭, "중심축하중을 받는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단주의 내력" 13 (13): 2001
6 최성모, "용접조립각형 CFT기둥-보합성반강접합부의 이력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31 (31): 2011
7 문태섭, "강관 보강형 충전 각형강관 기둥-보 플랜지 접합부의 인장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13 (13): 2001
8 최성모, "각형강관과 각형 CFT 기둥-보 접합부의 내력" 대한건축학회 25 (25): 2005
9 松井千秋, "コンクリート充填角形鋼管構造接合部スチフナの設 計式について" 中国・九州支部 317-320, 1981
10 宮尾俊明, "コンクリート充填角形鋼管柱鋳鋼ダイアフラ ムの強度について" 1641-1642, 1989
11 김영주, "T-스티프너로 보강된 CFT 기둥-H형강보 접합부의 내진성능" 한국강구조학회 15 (15): 701-709, 2003
12 문태섭, "T - 스티프너 보강 CFT 기둥 - H 형강보 실대형 접합부의 거동" 13 (13): 2001
초고층 건축물 재실자의 피난계단 이동 소요 시간 예측모델 개발
사무소 건물의 HVAC&R 시스템 에너지소비 특성 및 구성 시스템별 영향도 평가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3-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7 | 0.614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