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기업교육의 ‘위기의 본질’과 ‘본질의 위기’: 단동십훈(檀童十訓)에서 배우는 한국기업교육의 위기극복 교훈 = The Substance of Crisis and the Crisis of Substance in Korean Corporat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교육의 위기는 경기불황과 같은 기업교육의 외생적 변수와 관계없는 기업교육 본질의 위기라고 가정한다. 한국 기업교육의 위기는 한국 기업교육현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성과 지식 창조 주체의 문제의식이 체화된 실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보다 실용적 가치와 경영성과 달성에 직결되는 기법적 지식(technical knowledge)을 서구에서 도입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본다. 이러한 한국 기업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담론으로 본 연구는 한국 기업교육의 본질을 단군 이래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일종의 놀이 육아법인 ‘단동십훈’(檀童十訓)에 내재된 교육의 본질과 원리에 비추어 법고창신하고 온고지신하는 시도를 전개해본다. 기업교육 본질론을 해명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기업교육이 전개되고 있는 맥락적 특수성에 비추어 불황에도 호황하고 호황에도 활황하는 영생불멸의 브랜드 전략에서 찾는다. 영생불멸의 브랜드로 진화하기까지 그들의 문화, 철학, 전략의 구조를 이해하면서 밝혀낸 3개의 ‘영생 유전자’(The Immortal DNA)는 변화에 앞서 먼저 변화하는 ‘하우이즘 폴립’ (Howism-Polyp), 강력함으로 단순화시킨 ‘슈퍼 심플’(Super-Simple), 이 모든 것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필라클라이언트’(Philoclient)다. 하우이즘 폴립과 실제적 지식의 강조, 슈퍼 심플과 자생적 문제의식에 근거한 기업교육 원칙과 본질 추구, 필라클라이언트와 한국기업교육 철학의 정립 및 한국 기업교육 작품 또는 명품의 개발의 필요성과 그 의의를 논의하면서 결론을 대신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업교육의 위기는 경기불황과 같은 기업교육의 외생적 변수와 관계없는 기업교육 본질의 위기라고 가정한다. 한국 기업교육의 위기는 한국 기업교육현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성...

      본 연구는 기업교육의 위기는 경기불황과 같은 기업교육의 외생적 변수와 관계없는 기업교육 본질의 위기라고 가정한다. 한국 기업교육의 위기는 한국 기업교육현장의 사회문화적 맥락성과 지식 창조 주체의 문제의식이 체화된 실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보다 실용적 가치와 경영성과 달성에 직결되는 기법적 지식(technical knowledge)을 서구에서 도입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고 본다. 이러한 한국 기업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담론으로 본 연구는 한국 기업교육의 본질을 단군 이래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일종의 놀이 육아법인 ‘단동십훈’(檀童十訓)에 내재된 교육의 본질과 원리에 비추어 법고창신하고 온고지신하는 시도를 전개해본다. 기업교육 본질론을 해명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기업교육이 전개되고 있는 맥락적 특수성에 비추어 불황에도 호황하고 호황에도 활황하는 영생불멸의 브랜드 전략에서 찾는다. 영생불멸의 브랜드로 진화하기까지 그들의 문화, 철학, 전략의 구조를 이해하면서 밝혀낸 3개의 ‘영생 유전자’(The Immortal DNA)는 변화에 앞서 먼저 변화하는 ‘하우이즘 폴립’ (Howism-Polyp), 강력함으로 단순화시킨 ‘슈퍼 심플’(Super-Simple), 이 모든 것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필라클라이언트’(Philoclient)다. 하우이즘 폴립과 실제적 지식의 강조, 슈퍼 심플과 자생적 문제의식에 근거한 기업교육 원칙과 본질 추구, 필라클라이언트와 한국기업교육 철학의 정립 및 한국 기업교육 작품 또는 명품의 개발의 필요성과 그 의의를 논의하면서 결론을 대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ssumes that the crisis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is the crisis of substance in Korean corporate education irrespective of the outer variables of corporate education. The crisis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has been come from the relative emphasis of technical knowledge from the western world, which is a close relationship with visible valu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rather than practical knowledge embedded in socio-cultural contextuality and a subjective view from the knowledge creator. The alternative discourse to overcome the crisis of and explore the substance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i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en lessons from the Dangun's children coming from legendary founding father of Gojoseon, which are the educational method for children based on play. One of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investigating the substance of corporate education is introduced to explore the immortal brand strategy which is quite unaffected by the severe economic depression from the lens of the contextual specificity. The three immortal brand DNAs, which has been resulted from the processes of investigating evolution from the new brand to the immortal brand are howism-polyp changing in the ahead of outside change, super-simple resulting from strong simplification, and philoclient which is combination of philosophy and client. The conclusions are made by discussing howism-polyp and the emphasis on practical knowledge, super-simple and pursuit to the principles and nature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philoclient and reestablishment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al masterwork.
      번역하기

      This article assumes that the crisis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is the crisis of substance in Korean corporate education irrespective of the outer variables of corporate education. The crisis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has been come from the rel...

      This article assumes that the crisis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is the crisis of substance in Korean corporate education irrespective of the outer variables of corporate education. The crisis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has been come from the relative emphasis of technical knowledge from the western world, which is a close relationship with visible valu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rather than practical knowledge embedded in socio-cultural contextuality and a subjective view from the knowledge creator. The alternative discourse to overcome the crisis of and explore the substance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i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en lessons from the Dangun's children coming from legendary founding father of Gojoseon, which are the educational method for children based on play. One of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investigating the substance of corporate education is introduced to explore the immortal brand strategy which is quite unaffected by the severe economic depression from the lens of the contextual specificity. The three immortal brand DNAs, which has been resulted from the processes of investigating evolution from the new brand to the immortal brand are howism-polyp changing in the ahead of outside change, super-simple resulting from strong simplification, and philoclient which is combination of philosophy and client. The conclusions are made by discussing howism-polyp and the emphasis on practical knowledge, super-simple and pursuit to the principles and nature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 philoclient and reestablishment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corporate educational master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nitas BRAND, "호황의 개기일식, 불황" 9 : 130-141, 2009

      2 유영만, "행복 비타민과 생태학적 HRD(Happiness Revitalization Development): 제 4세대 HRD에로의 탐구여정" 원미사 2006

      3 서경민,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8 (8): 71-87, 2006

      4 유영만, "한국기업교육학에 관한 b>/b> 생각, ‘보는’ 생각, ‘나는’ 생각: 한국기업교육학의 보편적 특수성과 정체성 해명을 위한 시론"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29-69, 2008

      5 유영만, "한국 HRD의 과거, 현재, 미래: 존재론적 HRD와 관계론적 HRD의 도전과 응전의 역사"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147-188, 2007

      6 장상호, "학문과 교육(하):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7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장상호, "학문과 교육(상):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9 김영민,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민음사 1996

      10 유영만, "청춘경영: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교수의 꿈과 현실을 이어주는 7가지 생각법" 명진출판사 2009

      1 Unitas BRAND, "호황의 개기일식, 불황" 9 : 130-141, 2009

      2 유영만, "행복 비타민과 생태학적 HRD(Happiness Revitalization Development): 제 4세대 HRD에로의 탐구여정" 원미사 2006

      3 서경민,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 현황 및 시사점: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8 (8): 71-87, 2006

      4 유영만, "한국기업교육학에 관한 b>/b> 생각, ‘보는’ 생각, ‘나는’ 생각: 한국기업교육학의 보편적 특수성과 정체성 해명을 위한 시론"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29-69, 2008

      5 유영만, "한국 HRD의 과거, 현재, 미래: 존재론적 HRD와 관계론적 HRD의 도전과 응전의 역사"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147-188, 2007

      6 장상호, "학문과 교육(하):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7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장상호, "학문과 교육(상): 학문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9 김영민, "탈식민성과 우리 인문학의 글쓰기" 민음사 1996

      10 유영만, "청춘경영: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교수의 꿈과 현실을 이어주는 7가지 생각법" 명진출판사 2009

      11 김영민, "진리․일리․무리: 인식에서 성숙으로" 철학과 현실사 1998

      12 유영만, "죽은 기업교육 살아있는 디지털 학습" 한언 2000

      13 유영만, "제4세대 HRD(Happiness Revitalization Development): 즐거운 학습, 건강한 지식, 버람찬 성과, 행복한 일터" 학지사 2009

      14 송미영, "자아창조와 공적연대를 지향하는 폐기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1 (11): 29-56, 2008

      15 신용한, "위기가 오기 전에 플랜B를 꺼내라" 위즈덤하우스 2008

      16 유재원, "우리말로 학문하는 길. 사이: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창간호 52-69, 2002

      17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용틀임" 채륜 2010

      18 최경옥,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사무침(공저)" 푸른사상 2008

      19 윤덕진, "우리말로 학문하기의 고마움" 채륜 2009

      20 이승환, "우리 학문의 현실과 나아갈 길. 사이: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창간호 137-149, 2002

      21 한형조, "왜 동양철학인가" 문학동네 2009

      22 차미란,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 성경재 2003

      23 진형준, "싫증주의 시대의 힘 상상력" 살림 2009

      24 서광원, "시작하라 그들처럼" 흐름출판사 2009

      25 남경태, "숨은 것의 힘"

      26 최수진, "수업설계자의 관계론적 역량모델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83-123, 2010

      27 이홍우, "성리학의 교육이론(성경재 연구총서1)" 교육과학사 2000

      28 권 민, "불황의 반작용" 9 : 6-8, 2009

      29 Unitas BRAND, "불황에서 소비자들과의 변곡 이중주" 9 : 39-43, 2009

      30 전경일, "레드 플래그: 당신의 맹신을 깨트리는 14가지 사인" 다산북스 2008

      31 정진홍, "단돈십훈을 아십니까? 중앙일보"

      32 신영복, "나무야 나무야" 돌베개 1997

      33 이인숙, "기업교육론" 학지사 2003

      34 김종표, "기업교육론" 양서원 2006

      35 나일주, "기업교육 10년, 회고와 전망" 한국기업교육학회 9 (9): 5-26, 2007

      36 정명교, "글숨의 광합성 - 한국소설의 내밀한 충동들" 문학과지성사 2009

      37 김희수, "글로벌 시대의 인간자원개발론" 도서출판 원미사 2007

      38 송영수, "국내 대기업의 인적자원개발(HRD) 동향: 대기업 HRD 관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139-160, 2007

      39 엄태동, "교육의 본질과 교육학" 학지사 2006

      40 유영만, "곡선이 이긴다: 직선들의 대한민국에 던지는 새로운 생존패러다임" 리더스북 2011

      41 신영복, "강의: 나의 동양 고전 독법" 돌베개 2004

      42 신영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돌베개 1998

      43 한준상, "生의 痂:배움" 학지사 2009

      44 이홍우, "敎育의 目的과 難點(第六版)" 교육과학사 1998

      45 이홍우, "敎育課程探究(增補)" 교육과학사 2004

      46 Charn, R., "The leadership pipeline: How th build the leadership powered company" John Wiley & Sons 2001

      47 Ryle,G, "The concept of mind" Barnes & Noble 1949

      48 Schön,D.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Basic Books 1983

      49 Oakeshott,M,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s(Rationalism in Politics)" Methuen 1962

      50 Gilley, J., "Principles of humanresources development" Addison-Wesley 1989

      51 Polanyi, M, "Personal Knowledge ln 개인적 지식" 아카넷 2001

      52 Nadler, L., "Manag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 practical guide" Jossey-Bass 1986

      53 Roberts, K, "Lovemarks: The fuure of brands" PowerHouse Cultural Entertainments ln 서돌 2005

      54 Nonaka, I, "Knowledge Creating Company ln 지식창조기업" Oxford University Press ln 세종서적 1998

      55 Phillips, J. J, "Investing in your compan's human capital: Strategies to avoid spending too little-or too much ln 성과중심 인적자본 투자전략" AMACOM ln 거목 2006

      56 최욱, "HRD 용어사전" 한국기업교육학회 2010

      57 유승우, "HRD 101:인적자원개발 원론" 문음사 2008

      58 Swanson, R. A., "Found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Berrett-Koehler 2001

      59 Schön,D.A,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Jossey-Bass 1987

      60 최연식, "CEO와 HRD: 초일류기업은 왜 직원교육에 몰두하는가" 학이시습 2009

      61 Kotter,J.P, "A sense of urgency" Harvrad Business Press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